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문화도시의 장소마케팅 관점으로 본 홍대지역 클럽문화에 관한 연구
고경모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05 국내석사
The rapid development of network allowed the world to become closer, enjoy material margin, spiritual composure and a sense of abundance, and consume them as part of their leisure. In the times, as a result of realizing the limitations of enjoying their leisure through mass media, the masses use their leisure in their lives in such a way as gaining their experience at first hand and wanting more stimuli. And their leisure creates the area of communication where they come together and share their lives. They want to gather together regularly at a particular place and enjoy life. One of the places where they enjoy life in that way is the clubs establishing itself in the region of Hongik University. The clubs hold Club Day Event regularly, and produce many cultural infrastructures. The region develops through the event the cultural tourist merchandise which connects all the clubs in it spatially with one another, and is promoting geographically connected place marketing in connection with cultural tourist resources distributed in the neighboring regions including the region of Shinchon. Korean cultural space is now concentrated on a large city compared to that of other regions. Also, the insufficient space cannot fully accept performances, events and so on. For that reason, they devote themselves to 'Cultural Street'. Also, the street culture is not actually distributed evenly in a broad region but limited to a particular region. The 2002 World Cup motivated many street events to be held, and also the region of Hongik University to advance small and large cultural events. While the events were advanced, 'club culture', a new kind of culture, began to attract attention with the proper culture in the region. The culture takes the color of a colatec for adults because it can be said to be a new culture of youth that the masses come together, enjoy life and create communication rather than a culture of excessive or unsound drinking. With regular events held it has been highlighted as a well-known product in the region. Beginning with the concept of a cultural city and the exploratory study of city and place marketing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exploring from the viewpoint of place marketing the club cultures in the region watched as a cultural city including the overseas cases of using them, and seeking a plan for their developing culturally in the future. In a study of city marketing I investigated target market and marketing strategies according to it, and researched the relevance between the marketing and place marketing together. Besides I examined interurban competitions and strategies for urban growth in connection with the changes of economic structure in city marketing. And in a study of place marketing I had a chance to study place marketing for Korean cities, simultaneously understand its types and importance, and explore its applications and limitations together. One will have to take a broader view of the relevance between the club cultures in the region and place marketing. It is because the region is restricted to Hongik University, but because as a cultural city it shows the process in which place marketing is formed and developed as one model. As the area of a peculiar type where leisure and culture, industry and region meet each other the region has excellent cultural potential and discriminating regional particularization, and strongly shows its own peculiar identity. Also, its club cultures bring about economic interest through particularizing regions by playing the role of locomotive for cultures. In particular, it establishes itself as a cultural city and cultural region by activating autogenous culture and developing the industry connected with it through private initiation. Governmental administrative support and cultural variety will have to be acknowledged to keep developing the culture peculiar to the region. 네트워크의 급속한 발전으로 세계는 더욱 가까워 졌으며, 물질적·정신적 여유와 풍족감을 누리게 됨과 동시에 이것을 여가의 일부분으로 소비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에 대중들은 대중매체를 통해 여가를 즐기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그보다는 직접 몸으로 체험하며 보다 자극을 원하는 생활의 여가를 따르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여가는 대중들이 함께 모여 나누는 커뮤니케이션의 장을 만들게 되었으며, 그들은 정기적으로 특정장소에 모여 즐기는 것을 원하게 되었다. 바로 그렇게 즐기는 장소들 중 하나가 홍대지역에 자리 잡은 클럽이다. 그 클럽들은 정기적으로 클럽데이 행사를 개최하며, 많은 문화적 인프라를 생산해 내고 있다. 홍대지역은 클럽데이 행사를 통해 지역의 모든 클럽들을 공간적으로 연계한 문화관광상품을 개발함과 아울러, 신촌 지역 등 인근 지역에 분포한 문화관광자원과 연계하여 지리적으로 연계된 장소마케팅을 추진하고 있는 지역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문화공간은 타 지역과 비교하여 대도시에 집중되어 있다. 또한 이렇게 집중되어진 문화공간 또한 부족하여 공연, 행사 등을 제대로 소화 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문화의 거리’ 부분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이 거리문화 또한 넓은 지역에 골고루 펼쳐져 있는 것이 아닌 특정지역에 국한되어 있는 현실이다. 지난 2002년 월드컵을 계기로 많은 거리행사가 개최되었으며, 홍대지역 역시 월드컵을 계기로 크고 작은 문화행사를 진행하게 되었다. 이러한 행사들을 진행하게 되면서 홍대지역의 고유문화와 더불어 신종문화인 ‘클럽문화’가 주목을 끌기 시작하였다. ‘클럽문화’는 어찌 보면 성인용 콜라텍의 색깔을 띠고 있는데, 그 이유는 지나친 음주나 건전치 못한 음지의 문화 보다는 대중들끼리 서로 만나서 즐기며 커뮤니케이션을 만들어 내는 새로운 젊음의 문화라고 말할 수 있다. 이 클럽문화는 정기적인 행사의 개최와 더불어 홍대지역의 명물로 각광받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도시의 개념에서 시작하여 도시마케팅, 장소마케팅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그것을 활용한 해외사례를 포함하여 문화도시로서 주목 받고 있는 홍대지역의 클럽문화를 장소마케팅 관점에서 탐구하여 앞으로 문화적으로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의의를 둔다. 도시마케팅의 연구에서는 표적시장과 그에 따른 마케팅 전략을 조사하였으며, 장소마케팅과의 연관성을 함께 연구 하였다. 아울러 도시마케팅에 있어서 경제구조의 변화와 관련하여 도시간의 경쟁들, 그리고 도시성장을 위한 전략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장소마케팅의 연구에서는 한국도시의 장소마케팅에 관한 연구와 동시에 유형과 중요성을 파악하고 그것의 적용과 한계점을 함께 알아보는 기회를 삼았다. 홍대지역의 클럽문화와 장소마케팅과의 연관성은 보다 넓은 시각에서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 그것은 홍대지역만의 국한된 장소이긴 하나 문화도시로서 장소마케팅이 하나의 본보기처럼 형성되었고 발전되어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홍대지역은 여가와 문화, 산업과 지역이 만나는 독특한 유형의 장으로서 문화적 잠재력이 우수하며 지역적으로 특화되어 차별성이 보이는 지역으로서 홍대지역만의 독특한 정체성이 강하게 보여지는 장소이다. 또한 홍대지역의 클럽문화는 문화의 견인차 역할을 함으로써 지역특화를 통한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주고 있다. 특히 홍대지역은 민간주도를 통하여 자생문화의 활성화와 연계산업을 발전시켜 문화도시, 문화지역으로서 자리매김 하고 있는 지역이다. 이러한 홍대지역만의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정부의 행정적 지원과 문화의 다양성이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주소병,리해구의 <대외한어교학입문> 번역 : 제일장.제이장.제삼장
对外汉语教学是指对外国人的汉语教学,是一种外语教学。它的任务是训练、培养学生正确使用汉语进行社会交际;对以汉语教学、研究和翻译为终身职业的学生则要求掌握必要的基础理论知识。对外汉语教学的对象多半是成年人。对外汉语教学是一门新兴的交叉学科。它跟一些传统学,如语言学、心理学、教育学、生理学、社会学等,有不可分割的关系;对外汉语教学的成型和发展,离不开作为横断科学、工具学科的数学;此外,它跟一些新兴学科,如计算机科学、通讯工程科学、跨文化交际学等、也有密切关联。 第二语言习得研究始于20世纪70年代初,并很快成为应用语言学(语言教学)中最有影响的部分。第二语言习得通常指母语习得之后的任何其他语言学习。人们从社会、心理、语言学等角度去研究它。第二语言习得研究作为一个独立学科。它对学习者的第二语言特征及其发展变化、学习者学习第二外语时所具有的共同特征和个别差异进行描写,并分析影响二语习得的内外部因素。与其他社会科学相比,二语习得研究是个新领域,大都借用母语研究、教育学研究或其他相关学科的方法。概括地说,这一领域的研究是为了系统地探讨二语习得的本质和习得的过程,其主要目标是:描述学习者如何获得第二语言以及解释为什么学习者能够获得第二语言。到目前为止,二语习得的研究范围远比20世纪七八十年代广,涉及语言学、心理学、心理语言学、语用学,社会语言学等众多方面。 语言教学法是关于语言学习和语言教学的科学。它的研究对象是语言教学的全过程和这个过程中的各个环节,包括语言教学的总体设计、教材编写、课堂教学以及对语言学习能力和实际语言水平的测试等广泛的领域。语言教学法实际上是语言规律、语言学规律和语言教学规律的总和。各种教学法都有其心理学和哲学基础。虽然教学法多种多样,但从其理论基础来看,可以把多数教学法分成两大类:一类以听说法为代表,又称改革派教学法,行为主义的刺激反应理论是它们的心理学基础。另一类以认知法为代表,又称传统派教学法,心灵主义的惟理论是其心理学依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