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動+個+補”結構的句法硏究

        강춘화 한국중어중문학회 2005 中語中文學 Vol.37 No.-

        현대 한어에서 補語를 나타내는 두 개의 표지는 바로 “得”와 “”이다. “得”의 용법에 대해서는 대부분 잘 알고 있지만, “”의 용법에 대해서는 그다지 익숙하지 않다. 대외 한어 교학에서도 “”字구문의 사용 빈도가 낮은 편이고, 한국의 대부분 중문과 학생들도 이 “”字구문을 활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심지어 “得”가 사용된 문장과 “”字구문의 화용론적 차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못한다. 따라서 “”字구문의 구조 유형에 대한 분석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이다.“”字구문은 구조상 대략 5개의 유형으로 나뉜다. “주어+동사++보어”; “주어+동사+得++보어”; “주어+동사+了++보어”; “주어+동사+他////我++보어”; “주어+동사+了+一++보어”등의 유형이다. “”字구문은 主, 述, 등의 문장성분이 있다. 일반적으로 ①주어가 있는데 어떤 경우에는 주어를 생략하기도 한다. ②술어는 대부분 동사이고 단음절이다. “得”가 사용된 “得”字구문의 술어와 “”字구문의 술어 사이에는 공통점이 있기도 하고, 분명한 차이점도 있다. “得”字구문에 쓰이는 형용사 술어가 보편적인데 반해, “”字구문에 사용된 형용사 술어는 많지 않다. “”字구문의 술어성분 뒤에는 “了”가 올 수 있지만, “得”字구문의 술어성분 뒤에는 “了”를 추가할 수 없다. “”字구문의 술어 동사는 중첩 형식을 취할 수 없고, “得”字구문의 술어를 담당하는 동사나 형용사도 중첩이 될 수 없지만 대등 병렬한 두 개 이상의 동사 형용사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字구조의 ③보어는 구조상의 기능과 문형상의 기능에 따라 8개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긍정과 부정의 각도에서 긍정형과 부정형(6개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긍정형에서 보어를 담당할 수 있는 성분은 형용사, 형용사구, 단독동사, 동사구, 성어, 4자구, 관용어, 속어, 의성어, 主謂句, 수식구 등이다.A. 긍정형 보어의 어법 특징은, 대다수의 단음절 형용사(동사)와 일부 이음절 형용사가 “”를 생략하여 직접 술어와 결합하여 “술어+결과보어” 형태의 술보구조를 이룬다는 것이다. 또 어떤 때는 뒤에 “了”를 붙일 수 있는데, 이러한 유형의 보어는 일반적으로 술어 앞에 위치할 수 없고, 이 유형의 보어 대부분은 앞쪽의 “/他////我”를 “得”로 바꿀 수 있다. B. 부정형 보어의 특징은, 보어는 주로 술어 동작의 지속 상태를 보충 설명하는데, 동작이 완성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지 못하므로 일반 술어에는 “了”가 붙을 수 없다. 보어 형식의 술어 앞에 위치하는 부사어는 의성어가 적지 않은데, 상태의 묘사를 더욱 생동감있게 표현해 준다. 이러한 보어는 일반적으로 “得”字구조의 술보구조로 바꿀 수 없다.“”가 있는 술보구조 뒤에는 직접 ③빈어가 올 수 없는데, 만약 빈어가 있을 때에는 “述(了)+++”의 어순이 된다. 빈어를 앞으로 전치시키면, 술보구조는 “述語++”의 일반적인 형식이 되고, 보어는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게 된다. ““字구조의 빈어는 대부분 대사 ”我///“이고, 상하 문맥으로 가리키는 대사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일부 “(他)”는 지시하는 것이 무엇인지 설명하기 어려운데, 비록 빈어 앞쪽에 위치하더라도 그 지시대상이 불분명하므로 한층 더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글에서는 “”字가 있는 술보구조에 대한 문형론적 분석을 시도하였고, 의미론적 분석과 화용론적 고찰은 다음 연구로 남겨두고자 ...

      • KCI등재
      • KCI등재

        “A+点兒/些”句的語義語用模式

        강춘화 한국중국언어학회 2013 중국언어연구 Vol.0 No.47

        중국어의 ``A+点兒/些`` 형식은 사용 빈도가 높은 반면 한국인에게 중국어를 교학하 는 데 있어 난제가 되기도 한다. 본 논문은 ``A+点兒/些``의 의미 및 화용의 문제를 밝혀 그 구조를 명확히 한다면 중국어 교학에 실용적인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보고 ``A+点兒/些``의 의미 및 화용적 특정을 분석한 후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해보았다. 먼저 ``A+点兒/些``구조의 의미적 특정을 살펴보면, ``A+点兒/些``의 의미는 ``点兒/些``의 기본 의미에서 파생되어 나온 것으로 정도의미(程度意), ``비교의미(比較意)``, ``기원의 미(祈使意)``, ``동태의미(動態意)``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A+点兒/些``는 기본적으로 형용 사가 양과 폭에 적은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는 ``정도의미``를 가진다`` 또 평서문에서는 ``물 물비교의미(物物比較意)``, ``경과비교의미(歷時比較意)``, ``경험비교의미(經驗比較意)`` 동의 ``비교의미``를 가지며, 기원명령문(祈使句)에서는 기본 용법에서 파생(引申)되어 ``기원명 령의미``를 가지고, 서술어로 사용될 때는 ``동태의미``를 가진다. 다음으로 ````A+点兒/些`` 구조의 화용적 특정은 그 의미적 특정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는데, 구체적으로 첫째, 의미의 초점을 강조한다. 즉 ``A+点兒/些``에서 형용사는 문장에서 의미의 초점이 되는데, ``点/些``가 바로 이 초점을 부각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둘째, 어체(語體)의 성향을 나타내는데``点兒`` 의 경우 구어의 색채를 띠고 ``些``의 경우 서면어의 색채를 띤다. 셋째, 어기의 강약을 표현한다. 즉 ``点兒``을 사용하면 문장의 어기가 급 해지고,``些``를 사용하면 문장의 어기가 다소 완만해진다 넷째, 친근한 어기를 나타낸 다. 특히 `` A点兒의 경우 상대방에 대한 화자의 걱정과 염려를 나타내며 쌍방 관계의 친근함을 표현한다. 다섯째, 구체적인 언어 환경이나 뒤에 오는 조사에 따라 경과나 미경 과를 나타내는데, ``A点兒``의 경우 뒤에 ``着``가 오면 지속성을 가지며 아직 미연(未然)임을 나타내고, 뒤에 ``了``가 오면 이미 경과(己然)되었음올 나타낸다. 여섯째. 주관적 색채를 나타낸다. 특히 비교의 결과를 서술할 때 주관적 색채를 드러낼 수 있으며, ``A+点兒/些``로 사용될 때 화자가 싫어하거나 원하지 않는다는 비교적 강한 주관색채를 가진다.

      • KCI등재
      • KCI등재

        중국조선족 민요 자료의 아카이브 구축 현황과 과제

        강춘화 한국민요학회 2018 한국민요학 Vol.54 No.-

        This article was prepared with the idea of establishing a folk song material archive. Among the art genres that express human emotions, nothing will have more ethnic characteristics than folk songs. The folk song is fitted for our emotional melody and inheriting pleasure, joy and sorrow of life. Today's reality is that such folk songs are becoming increasingly detached from our life. Therefore, this article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the existing folk song archives along with the situation of the Chinese-Korean ethnic folk songs of "folk song collections" collected from the three northeastern provinces of the "Chinses folk song integration". Presenting the requirements and tasks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deal archive of folk songs in the future. With international view of archive which is already gets long-term history and continuously obtains development. On the contrary, music archive construction has not been actively conducted in the Chinese-Korean ethnic region. In addition, the process of excavation, collection and management folk song has not been smoothly come true in a long-term national dimension. In this regard, if the traditional music archive is successfully established in the Chinese-Korean region. it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and expanding the value of folk songs along with creating a folk song culture in the future. So that I proposed three important tasks that should be prioritized in the construction of archives of Chinese-Korean folk songs as center on <YANBIAN CULTURE &ART RESEARCH CENTER>, those are classified as collection,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 of folk songs. 이 글은 민요 자료 아카이브의 구축을 염두에 두고 마련된 것이다. 인간의 정서를 표현하는 예술 장르 중에서 민요만큼 민족적 특성을 지닌 것은 없을 것이다. 우리의 정서에 맞는 가락에 삶의 기쁨과 애환을 담아 전승되는 것이 민요이다. 그러한 민요가 점차 일상에서 멀어지고 변형되어 가는 것 또한 오늘의 현실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중국민간가곡집성』의 동북3성권과 중국조선족 지역에서 수집한 『민요곡집』들의 조선족 민요 수록 상황과 함께 기존 민요 자료 아카이브의 현황에 대해 분석하고, 미래의 이상적인 민요 자료 아카이브 구축의 필요성에 대한 요건과 과제에 대해 제시하였다. 국제적으로 볼 때 아카이브에 대한 역사는 이미 오래되었고,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에 반해 중국조선족 지역에서는 아카이브 구축이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한 상황이다. 또한 장기적으로 국가 차원에서 민요를 발굴하고 수집 정리하는 일련의 과정도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 점에서 중국조선족 지역에서도 전통음악관련 아카이브가 성공적으로 구축되면 미래 민요문화의 창조와 더불어 민요의 가치 제고와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연변문화예술연구중심≫을 중심으로 중국조선족 민요 자료의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일에서 마땅히 우선시 되어야 할 과제들을 민요 자료의 수집, 분류, 관리의 세 가지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不用"得"連接的程度補語分析

        강춘화 한국중어중문학회 2003 中語中文學 Vol.32 No.-

        정도보어는 구조동사"得"으로 연결되는 형식 이외에 "個"로 연결되는 형식과 구조동사 없이 술어 중심어 뒤에 "死了·極了" 등이 오는 세 가지 형식이 있다. 본 논문은 그 중 구조동사 없이 술어 뒤에 오는 정도보어에 초점을 맞추어 이러한 정도보어의 구조·내용·특징·중심어·한국어 대응 형식 등을 분석하였다. <br/> 구조동사 "득"이 없이 술어 뒤에 오는 정도보어의 구조는 "주어 + 형용사/심리동사 +정도보어"인데 그 중 정도보어는 두 가지 유형으로 구성된다. 하나는 "極", "多", "壤", "遠", "死", "透" 등 단음절로 구성되고 뒤에는 반드시 구조조사 "了"가 있어야 하며 정도가 아주 높음을 나타낸다. 다른 하나는 "一些, 一點" 등 부정수량단어로 구성되는 정도보어로 뒤에 조사 "了"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으며 정도가 아주 낮음을 나타낸다. 지금까지의 정도보어에 대한 선행 연구는 정도의 높음을 나타내는 한 면만 강조하고 그 반면인 정도의 낮음을 나타내는 부분은 별로 연구가 되지 않고 있다. 본문은 정도보어가 정도의 높음과 낮음 두 방면을 모두 보충하는 역할을 하는 점을 강조하였다. <br/> 구조조사 "득"이 없어 술어 뒤에 오는 정도보어의 중심어는 성질형용사와 심리동사 두 종류이며, 그 문법 특징은 부사성 정도보어와 중심어 사이에는 "료", "적" 등 기타 성분을 삽입할 수 없으며, "透", "死", "壤", "着了" 등은 "把" 자구와 被자구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정도보어는 대응되는 부정식이 없고 동사가 목적어를 지닐 경우에는 동사를 중복할 수도 있고 중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정도보어인 "多", "壤", "遠", "死", "透" 등은 결과보어인 "多", "壤", "遠", "死", "透" 와 글자는 같지만 뜻은 달라 결과를 나타내지 않고 단지 정도만 나타낸다.<br/> 구조조사 "득"이 없이 술어 뒤에 오는 정도보어가 한국어에 대응될 때, 보어의 위치가 중심어 앞으로 옮겨 와 정도 부사어 역할을 하면서 중심어를 수식한다. 문법 구조와 문장 성분이 바뀌어 중국어의 정도보어가 한국어의 정도 부사어로 된다. 이러한 한국어의 정도부사는 여러 개의 중국어 정도보어에 대응된다. 이외에 정도보어가 한국어로 대응될 때 정도부사어를 중복하여 사용함으로서 정도의 아주 높음을 강조하는 방법과 두 개 이상의 사물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그 차이가 큼을 강조하는 방법, 그리고 "좀, 조금, 약간" 등 부사어를 사용하여 정도가 아주 낮음을 강조하는 대응형식 등이 있다.

      • KCI등재

        朱熹 證驗說과 이전 證驗說 간의 비교 고찰

        강춘화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14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36

        This thesis discusses about the evolution of Zhuxi’s positivist theory. This theory is a methodology for verifying if your knowing is correct or not. The first part of my thesis discusses some correlative theories during the period that predates the advent of Zhuxi’s positivist theory, such as the theory of “Can-yan(compare and verify)”、“San-biao(three standard of measurement)”、“Fu-yan(corroborate)”、“Cha-yan(inspect)”、“Gui-yan(regarde the experiences as the important things)”、“Jian-wen(experiences)”. The above theories regarded vaguely the experiences as standards of judging right or wrong, but they failed to loosen the bonds of the sociopolitical theory ,so they did not become the truly epistemology. “Xing(doing)” and “Zheng-yan(verification)” did not become the important standards until after the debates in knowing and doing in the period from Song to Yuan. The second part of my thesis discusses Zhuxi examed the theory of Zheng-yan(verification)with the practical example about physical science. This part have mentioned three problems:1) “Armillary sphere” and the theory of Zheng-yan(verification); 2) “Xuanji-yuheng” and the theory of Zheng-yan(verification); 3) “Two opposite mirrors” and the theory of Zheng-yan(verification). Though “Yan(verification)” and “Xing(doing)” suggested by Zhuxi is only personal moral practice and scientific experiment, they are the standards of judging right or wrong in the theory of Zheng-yan(verification). Zhuxi have made many important questions (such as how to the criterion of truth) included in the category of Epistemology.,and therefore the theory of Zheng-yan(verification) can be thought of as the transition of “Shi-zheng( factual proof)”. Moreover, the theory of Zheng-yan(verification) has pushed old epistemology to a new s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