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하천 유역에서의 유출해석모형 비교

        강인식 한국수자원학회 1996 물과 미래(한국수자원학회지) Vol.29 No.4

        It may be difficult to make exact estimates of peak discharge or runoff depth of a flood and to establish the proper measurement for the flood protection since water stages or discharges have been rarely measured at small river basins in Korea. Three small catchments in the Su-Young river basin in Pusan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reas. Various runoff parameters for the study areas were determined, and runoff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ree different runoff models available in literatures; the storage function method, the discrete, linear, input-output model, and the linear reservoir model. The hydrographs calculated by three different methods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flood hydrographs, indicating that the models selected are all capable of sucessfully modeling the flood events for small watersheds. The storage function method gave the best results in spite of its weakness that it could not be applicable to small floods, while the linear reservoir model was found to provide relatively good results with less parameters. The capabilities of simulating flood hydrographs were also evaluated based on the effective rainfall from the storage function parameters, the $\Phi$-index method, and the constant percentage method. For the On-Cheon stream watershed, the storage function parameters provided better estimates of effective rainfall for regenerating flood hydrographs than any others considered in the study. The $\Phi$-index method, however, resulted in better estimates of effective rainfall for the other two study areas. 우리나라 대부분의 소하천 유역은 수위나 유량의 관측이 행해지지 않은 미계측 유역으로 방치되어 있어 홍수시 정확한 유출량의 추정이나 홍수피해 경감을 위한 적절한 대책수립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방 수영강 수계 중 3개 소하천 유역을 연구대상유역으로 선정하여 측정된 수문자료를 근거로 각종 유출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유출해석 모형중 저류함수법과 선형 이산화 입력-출력 모형 및 선형저수지 모형을 채택하여 유출해석을 실시하였다. 각 모형에 의한 계산 수문곡선은 실측 수문곡선과 잘 일치하였으며, 이들 모형은 소유역의 홍수사상을 성공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채택한 모형 중 저류함수법은 크기가 작은 홍수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가장 양호한 결과를 제공하였으며, 선형저수지 모형은 적은 수의 매개변수로도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저류함수법 매개변수를 이용한 방법, $\Phi$-index법 및 일정비손실법 등 세 가지 방법의 유효강우 산정법에 따른 모형의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온천천 유역의 경우에는 저류함수법 매개변수를 이용한 방법이 가장 용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다른 두 연구대상유역의 경우에는 $\Phi$-index법이 더 나은 결과를 제공하였다.

      • 나선형태에 의한 표현연구

        강인식 한국꽃예술학회 2000 한국꽃예술학회지 Vol.2 No.-

        본 연구의 목적은 꽃작품에 있어서 꽃의 생명력과 식물의 성장성과 관련이 있는 나선형태의 동적 특성을 강조하여 표현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 있어서 대상의 표집방법은 공간, 시간, 속도의 변화 속에서 무한히 선회하는 역동감을 표현할 수 있고 광범하게 활용되는 우수한 동적 형태로서 꽃의 생명력과 식물의 성장성과 관련이 있는 나선형태를 목적 표출하였다. 나선형태의 특성을 추출하여 수평구조 또는 수직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운동감, 방향감, 속도감, 통일감 등을 표현하고 공간과 양감, 질감, 색채, 운동 등을 관점으로 하여 작품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명료한 나선운동의 공간과 양에 의하여 반복구성된 수평과 수직구조의 나선형태는 무한히 선회하는 지속성과 더불어 확장성과 성장성이 표현되었다. 철봉과 철근, 꽃과 잎에 의한 다양한 양의 형성과 더불어 질감의 대비효과에 의하여 생동감이 강조되었다. 단색조화에 의한 단순하고 소박한 색채조화와 다양한 색채의 혼합에 의하여 강하고 화려하며 경쾌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나선운동의 속도의 변화나 나선구조에 의하여 원심성과 구심성의 조화를 보이며 안정된 균형을 이룸으로써 복합나선운동에 의한 통일성 있는 상승효과를 창출하였다. 앞으로 꽃작품 표현에 있어서 생명성과 성장성을 강조할 수 있는 나선형태에 의한 광범위하고 진지한 실험적 추구가 요구된다.

      • 사석방파제에 의한 파랑변형에 관한 연구

        강인식,곽기석,김도삼,양윤모,Kang, I. S.,Kwak, K. S.,Kim, D. S.,Yang, Y. M. 한국항해항만학회 1994 韓國港灣學會誌 Vol.8 No.2

        A theoretical formulation i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wave reflection and transmission ratios by a submerged multi-layered rubble-mound breakwater. This theory, which is based on the linear boundary integral method, can be extended to the multi-layered breakwater with arbitrary cross section. In the theoretical analysis evanescent mode wave is not considered, since fictitious open boundaries are put on the places far from the structure. Therefore the mathematical presentation may be simpler, and computational time shorter. The validity of obtained numerical results is demonstrated by comparing with ones of impermeable and permeable breakwaters. Comparison shows resonable agreement. On the basis of these verifications this theory is applied to the one and two-layered submerged rubble-mound breakwater with trapezoidal type.

      • KCI등재
      • SCOPUSKCI등재

        Ustilago maydis의 Mating 과정에 따른 Virus 유전자의 변이에 관한 연구

        강인식,이세원 한국미생물학회 1997 미생물학회지 Vol.33 No.2

        한국에서 분리한 U. maydis에서 바이러스 혹은 dsRNA를 가지고 있는 A series와 SH series를 조합하여 옥수수에서 인위적으로 mating시켜 A45, A23, A211, A310, SH614, SH24의 6개 교배형 균주를 분리하였다. 새로운 교배형 균주에서 바이러스 dsRNA를 비교 분석하여 본 결과, mating전 양친형 균주에서 보이고 있는 H, M, L strand의 dsRNA 양상을 모두 가지고 있고 균주간 특별한 molecular exclusion 현상은 보이지 않았다. 교배형 6개으 균주에서 바이러스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바이러스로부터 dsRNA를 분석한 결과 균주간 mating시 dsRNA 재조합을 통한 새로운 encapsidation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oxin test 결과, SH614는 SH9, SH10, SH11 균주에 대해서, A310과 SH24의 2종은 SH11 균주에 대해 특이적 성장억제 현상을 보였다. 이는 mating에 따른 dsRNA의 재조합이 toxin gene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Ustilago maydis strains (A-series and SH-series) containg virus or viral dsRNAs were artificially mated in corn seedling to generate 6 progeny strains, designated A23, A45, A21l, A31O, SH24 and SH61O. The dsRNA patterns of progeny strains were identical to those of the parental strains and there was no molecular exclusion mechanism among dsRNAs of parental strains. Virus particles were purified from 6 progeny strains and viral dsRNAs were analyzed on 5% PAGE. There was no mixed encapsidation between virus or dsRNAs of parental strains. Progeny strain SH6l4 produced toxin which inhibits the growth of SH9, SHIO and SH11. Likewise, toxins from A310 and SH24 inhibited growth of the SH11 strai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esence of different types of dsRNA does not interfere the expression of toxin gene.

      • KCI등재

        소하천 유역에서의 유출해석모형 비교

        강인식 한국수자원학회 1996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29 No.4

        우리나라 대부분의 소하천 유역은 수위나 유량의 관측이 행해지지 않은 미계측 유역으로 방치되어 있어 홍수시 정확한 유출량의 추정이나 홍수피해 경감을 위한 적절한 대책수립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방 수영강 수계 중 3개 소하천 유역을 연구대상유역으로 선정하여 측정된 수문자료를 근거로 각종 유출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유출해석 모형중 저류함수법과 선형 이산화 입력-출력 모형 및 선형저수지 모형을 채택하여 유출해석을 실시하였다. 각 It may be difficult to make exact estimates of peak discharge or runoff depth of a flood and to establish the proper measurement for the flood protection since water stages or discharges have been rarely measured at small river basins in Korea. Three sm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