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해학술문화제 논문> 만해 한용운의 행적에 대한 종교학적 고찰

        강은애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5 禪文化硏究 Vol.18 No.-

        Manhae Han Yong-Un is a figure with various histories in his life. There are many researches on Han Yong-Un's achievements as a Buddhistic reformer, a fighter for national independence and a literary man. But there are few in-depth researches into his religious thought and aspects as a pure religious person. In oder to overcome such a biased tendency of researches, in this paper I tried to study comparative religiously on aspects of Han Yong-Un as a Buddhist, this is, as a religious person. For this purpose, I divided religious elements into three parts, that is, religious experience, religious thought and religious practice. And then I examined religious meanings of Han Yong-Un's various achievements on those three aspects. Han Yong-Un as a Sŏn master had a experience of enlightenment that is the essence of Buddhism. On the basis of this internal experience he tried to carry out a mission of the times and developed an independence movement against Japanese Empire and a Buddhistic reform movement as a realizations process of his mission for the society. We can get a glimpse of his martyrdom as a religious person, when he persisted in his belief and the non-violent movement without compromising with the Japanese Empire unlike many other people in those days. All these dramatic events shows that his religious experience is not kept indoors but reveals its power outside. On the basis of inner enlightenment Han Yong-Un dreamed of a revolution in gloomy circumstances of the colonial period through writing, an independence movement and a Buddhistic reform movement. The religious experience and religious thought of Han Yong-Un as a religious person made consequentially a driving force of his various achievements. He represented his internal experience of ascetic practices as various writings. Further he developed a series of practical movements which the times required. He was a religious person and man of Buddhistic practice who tried to realize his thought on the basis of religious experience in the world by solving social problems of his times . Religious studies on the basis of religious experience provide a clue to understand the religious nature of human beings and opened a new field for the stereoscopic understanding of human. Thus a serious reflection on religious experience of Han Yong-Un will broaden the scope of interpretation on him as a sŏn master and on his achievements which is an external manifestation of his enlightenment. 만해 한용운은 참으로 다채로운 삶의 이력을 가진 인물이다. 그 동안 불교 개혁가, 항일 독립투사 그리고 문학가로서 한용운의 업적에 주목한 연구는 많이 시도되어 왔다. 하지만 순수한 종교인으로서 한용운의 면모와 종교 사상에 대한 심층적 연구는 아직 미비한 수준이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연구의 편향성을 극복하기 위한 단초로서 불교인 즉 종교인으로서 한용운의 면모에 대한 종교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우선 종교의 구성 요인을 크게 종교 체험적인 영역과 종교 사상 그리고 실천론으로서 종교 행위로 범주를 나누어 한용운의 다양한 행적에 대한 종교학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선사(禪師)로서 한용운은 불교의 정수라 할 수 있는 오도(悟道)를 경험하게 된다. 그는 내적 체험을 바탕으로 당면한 시대적 사명을 감당하기 위해 사회화 과정으로서 항일 독립운동 및 불교개혁 운동을 전개하였다. 종교 체험이라는 극적인 사건이 단순히 내적 경험으로만 머물지 않고, 외부 세계로 그 힘을 발현한 것이다. 한용운이 당시 다른 운동가들과 달리 끝까지 일제에 타협하지 않고, 비폭력 투쟁을 고수하며 자신의 신념을 지킨 점은 종교인으로서 순교자적 일면을 엿볼 수 있게 한다. 한용운은 자신의 내적 깨달음을 바탕으로 식민지라는 암울한 상황 속에서 글쓰기와 항일 독립운동 및 불교개혁 운동을 전개하며 혁명을 꿈꾸었다. 종교 체험과 종교 사상은 한용운이 펼친 다양한 행적들의 근원적 추동력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수행의 내적 체험을 다양한 문자 활동으로 표상하였고, 나아가 시대 상황에 부합한 일련의 실천 운동을 전개하였다. 즉 내적으로는 불교 개혁 운동으로, 외적으로는 항일 독립운동 등 당대 사회 문제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자신의 종교 경험에 기반 한 사상을 세상 속에 구현하기 위해 노력한 종교인이자 불교 수행자였다. 종교 체험을 근간으로 한 종교 연구는 인간의 종교적 심성을 이해하는 하나의 실마리를 제공하여 보다 입체적인 인간 이해의 장을 열어준다. 그러므로 한용운의 종교 체험에 대한 진지한 성찰은 선사로서의 한용운과 깨달음의 외적 발현으로서 한용운의 행적에 대한 해석의 폭을 넓혀 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관음주송(觀音呪誦)’의 종교학적 함의

        강은애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17 불교문예연구 Vol.0 No.9

        The ‘Bodhisattva thought‘ of Mahayana Buddhism, noble spiritual heritage in human history, can be the essence of humanism that puts other people‘s relief to the fore. The embodiment of great mercy to relieve all sentient beings and to practice mercy is Avalokiteśvara Bodhisattva. The Mahayana Bodhisattva thought, which is the mother of all living beings and becomes a sanctuary and solves the temporal affliction of this world, forms the basis of a dynamic faith and practice culture of Buddhist believers in the subordinate Buddhism, it is an ideological eruption that solves their religious thirst. ‘Avalokiteśvara Mantra', constantly shouting the name of the Avalokiteśvara Bodhisattva, a solver of troubles and problems of believer and the savior, plays a role of collecting the mind of the believer. Furthermore, the believer himself experiences the ontological transformation by inducing the experience to become one with the object of faith. In other Words, the object of faith functions as a mediator of practice at any moment. It is a function that performs a transformative function of making the believer subject equal to the object of faith. The power of faith toward the object of faith gradually promotes the dramatic experience that the object and the subject become united by promoting the self practice. This phenomenon is similar to the mystery experience in the mystic tradition. The pursuit of the ultimate goal of individual religious tradition or community through various sounds (religious language), such as Avalokiteśvara Mantra, makes various emotional changes and mental and physical healing possible. In addition, it can extend the horizon of awareness by making change of consciousness through non-routine experience by highly intensive training. The ‘Avalokiteśvara Mantra', which simply recites the Avalokiteśvara Bodhisattva, is itself a ritual ceremonial gesture and practice method, and co-ordinates the complex religious function that includes the attribute of prayer as ‘Avalokiteśvara Prayer'. In other words, it is verbal rite, performance and prayer itself. Furthermore, the person performing the ‘verbal ritual' called ‘Avalokiteśvara Mantra' conducts various roles of religion as the subject of the ritual, the performer, and the subject of prayer. Linguistic rituals tend to personalize practical rituals. And rituals in language are more dynamic, internally repletive way of salvation instead of somewhat formal, stereotyped rituals, done by gestures and anti-ritualism. Avalokiteśvara Mantra can be understood as a typical mantra performing method that intentionally embodies the state of consciousness which gives religious insight by breaking from daily consciousness by using language as a tool of practice. and it is an example that can be adequately analyzed through the concept of deautomatization and atered sates of cnsciousness in that it aims at religious insight that transcends language by utilizing language. I wonder how the Avalokiteśvara faith, which has been passed down through Mahayana Buddhism and has been handed down to the basement of faith and practice, will converge on the desires and wishes of modern people living in this age and become an ideal model. 인류 정신사의 고결한 정신 유산인 대승불교의 ‘보살사상’은 타인 구제를 전면에 내세운 휴머니즘의 결정체이라 할 수 있다. 중생구제의 큰 원력을 세우고 자비를 실천하기 위한 대자비심의 화현이 관세음보살이다. 모든 중생의 어머니가 되고, 귀의처가 되어 사바세계의 현세적인 고통을 해결해 주는 대승 보살사상은 출가자 중심의 한국불교 수행문화 전통에서 소외되기 쉬운 기층 불교 신도들의 역동적인 신행문화의 근간을 이루며, 이들의 종교적 갈증을 해소시켜 주는 사상적 분출구라 할 수 있다. ‘관음주송’은 신행자의 문제나 어려움의 해결자이자 구원자인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쉼 없이 염하는 것으로 신행자의 마음을 오롯이 신앙 대상에 모으는 역할을 하며, 나아가 신행 주체가 신앙 대상과 하나 되는 체험을 유발하여 존재론적 변형을 경험하게 한다. 즉 신앙 대상이 수행의 매개체로 기능하는 가운데, 신행 주체가 신앙 대상과 분리되지 않는 불이의 전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신앙 대상에 대한 타력적 신앙이 점차 신행자 자신의 의지적 자력 수행을 통해 주체와 대상이 합일되는 극적인 체험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신비주의 전통에서 볼 수 있는 신비체험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관음주송을 위시한 각종 소리(종교언어)를 통해 개별 종교 전통이나 공동체가 지향하는 궁극적 경지를 추구하는 행위는 다양한 정서적 변화와 심신 치유를 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고도의 집중 수련에 의한 비일상적인 경험을 통해 의식의 변화를 도모하는 등 인식의 지평을 넓혀 나갈 수 있다. 관세음보살을 단순히 염하는 ‘관음주송’은 그 자체로 종교 의례적인 몸짓이자 수행법이며, ‘관음기도’라고 불리듯이 기도의 속성까지 아우르는 복합적인 종교기능을 그 속에 응집시키고 있다. 즉 관음주송 자체가 곧 언어적 의례(verbal rite)이자 수행이며, 기도라 할 수 있다. 나아가 ‘관음주송’이라는 ‘언어적 의례’을 실행하는 자신이 바로 의례의 집전자이자 수행자, 기도의 주체로서 종교의 다양한 역할을 스스로 행하는 것이다. 이처럼 언어적 의례는 실천적 종교 의례를 보다 개인화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몸짓으로 행하는 다소 형식적이고, 정형화된 의례를 대체하여 보다 역동적이고, 내적으로 충만한 구원의 방식을 지향하며, 반의례주의적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관음주송은 언어를 수행의 도구로 삼아, 일상적인 의식 상태를 탈피해 종교적 통찰을 주는 의식 상태를 의도적으로 구현하는 대표적인 만트라 수행법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언어를 활용해 언어를 초월하는 종교적 통찰을 목적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탈자동화와 변형의식상태의 개념을 통해 적절하게 분석될 수 있는 사례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를 관통하며 기층 신행의 저변에 도도히 전승되어온 관음신앙이 이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바램과 희구를 어떻게 수렴하여 이상적 모델로 현현될지 자못 궁금하다.

      • KCI등재
      • KCI등재

        만해 한용운의 실천성과 지성성 ― 『불교대전(佛敎大典)』을 중심으로 ―

        강은애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22 한국불교사연구 Vol.21 No.-

        His unique Buddhist practice and intellect are reflected behind Manhae Han Yong-un's ability to actively participate in national and social issues and to lead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historical field of the time. The Great Texts of Buddhism, which can be said to be the embryonic product of modern Buddhism, is a text that can simultaneously examine Manhae's existential practicality and epistemic intelligence as a kind of doctrinal classification theory. You can see how they tried to interpret and reorganize Buddhism in the new era of ‘modern’. The third Buddha's work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Bodhisattva by placing the original source, wisdom, and mercy of Bodhisattva in the field of the Buddha's original source, wisdom, and mercy, respectivel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idea of Bodhisattva is deeply embedded in the root of Manhae's practicality, and the process of planning and editing The Great Texts of Buddhism itself is a religious practice of patience and shows the practical intelligence of Manhae by performing Bodhisattva. Manhae sublimated the spiritual spirit of the righteous and virtuous, which he had deep in his heart as a child, into the power of the Mahayana Bodhisattva, and the Buddha-nature theory of the Buddha-nature of all living beings is freedom and equality. By securing a place in the modern ideological system of Manhae, he built a world of practical intelligence. Compilation of The Great Texts of Buddhism is an example of trying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time in both tradition and modernity. Manhae's intellect can be evaluated as being wen-gu-zhi-xin(溫故知新). By learning the merits of Confucianism, which is the old one, creatively inheriting the new modernity by putting it off, he tried to respond to the demands of the times through Buddhist reinterpretation. In other words, The Great Texts of Buddhism, which reflects the practicality of bodhisattvas and the intellect of wen-gu-zhi-xin(溫故知新), can be said to be a joint product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Manhae tried to reinterpret his religious belief, Buddhism's ideal, in a turbulent era where tradition and modernity intersect, to find a concrete solution to the problem at hand and to realize it in the field of history through practical actions. This practical intelligence of Manhae can be said to be a valuable legacy that is more desperately requested in this era when life and knowledge are divided and fragmented. The biggest reason Manhae is still being talked about today is probably because of his courageous practical ability and consistent attitude to life in harmony with her own intellectual abilities to make history on this earth without isolating her intellectual knowledge in the metaphysical and ranscendental world. He can be said to be a representative figure in the modern Korean intellectual world, who personally practiced equality and a savior-like life through an Unconstrained Conduct based on universal intellect, going beyond religion and ethni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