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호흡기 알레르기 환아에서 집먼지진드기 감작과 출생 월 분포의 연관성

        강은경,나규민,강희,유영,고영률,Kang, Eun Kyeong,Na, Kyu Min,Kang, Hee,Yoo, Young,Koh, Young Yull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4

        목 적 : 출생 후 영아기에 알레르겐에 대한 노출 여부가 추후 감작과 알레르기질환의 발생에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집먼지진드기가 알레르기질환의 주요 흡입 알레르겐으로, 집먼지진드기 항원량은 계절적으로 가을에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 호흡기 알레르기 환자에서 집먼지진드기에 대한 감작 여부에 따라서 출생 월 분포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5년 1월부터 2002년 5월까지 만성 호흡기 증상으로 서울대학교병원 어린이병원을 방문하여 알레르기 피부단자시험과 메타콜린 유발시험을 시행 받은 환아 1,327명을 대상으로 집먼지진드기에 대한 감작 여부와 출생 월을 조사하여, 집먼지진드기 감작 유무에 따라 출생 월 분포를 비교하였다. 결 과 : 한 가지 이상의 알레르겐에 피부시험 양성을 보인 아토피군은 864명(65.1%)이고 비아토피군은 463명(34.9%)이었다. 아토피군에서 집먼지진드기에 양성을 보인 환아의 수는 787명(91.1%)이고 집먼지진드기를 제외한 나머지 피부시약에 양성반응을 보인 수는 77명(8.9%)이었다. 집먼지진드기 아토피군과 비아토피군의 출생 월별 분포를 기대 환자수와 비교했을 때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를 가진 환아들은 계절적으로 8월에서 11월까지 기대 환자수 보다 유의하게 많이 출생하였고(P=0.03) 비아토피군에서는 상기와 같은 출생 월 분포를 보이지 않았다. 천식으로 진단된 환아는 총 543명(40.9%)이었고 이중 아토피성 천식 환아는 421명(77.5%)이었고 비아토피성 천식 환아가 122명(22.5 %)이었다. 아토피성 천식 환아 중 집먼지진드기 아토피성인 환아는 387명(91.9%)이었다. 집먼지진드기 아토피성 천식과 비아토피성 천식 환아에서 출생 월의 계절별 비교에서 8월에서 11월까지 집먼지진드기 아토피성 천식 환아가 비아토피성 천식 환아보다 유의하게 많이 출생하였다(P=0.002). 결 론 : 출생 월은 알레르겐에 대한 감작 여부에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우리나라에서는 8월에서 11월까지의 출생이 집먼지진드기에 대한 감작의 위험이 큰 시기로 보인다. Purpose :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exposure to aeroallergens during early infancy after birth is important in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sensitization and allergic diseases. In Korea, the level of house dust mites as one of the important aeroallergens is known to be the highest in autum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test whether the distribution of month of birth bears a relationship to the presence of mite sensitization in children with respiratory allergy. Methods : Skin prick tests and methacholine provocation tests were performed on 1,327 patients with chronic respiratory symptoms who visited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from January 1995 to May 2002. An analysis of patients' month of birth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mite sensitization was performed. Results : Atopic subjects who had at least one positive skin test numbered 864(65.1%); and non-atopic subjects numbered 463(34.9%). Among atopic subjects, 787(59.3%) had positive skin tests to mites and 77(5.8%) had positive skin test only to minor allergens. A significantly greater than expected number of mite atopic subjects were born in the months between August and November(P=0.03), however, the birth month of non-atopic subjects didn't show a consistent seasonal preference. Asthma patients numbered 543(40.9%). Among these, atopic asthmatics numbered 421(77.5%) and non-atopic asthmatics, 122(22.5%). Dust-mite atopic asthmatics numbered 387(91.9%) out of 421 atopic asthmatics. Dust-mite atopic asthmatics were born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eason lasting from August to November in comparison to non-atopic asthmatics(P=0.002). Conclusion : Month of birth seems to be related with sensitization to allergens. Our results show that August to November is the risk period for the development of mite sensitization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소아 폐쇄성 수면 무호흡에서 지속기도양압기 치료

        강은경(Eun Kyeong Kang) 대한수면의학회 2023 수면·정신생리 Vol.30 No.2

        Adenotonsillar hypertrophy is the most common cause of pediatric obstructive sleep apnea (OSA) in children, and therefore, ad-enotonsillectomy is the first-line therapy in most pediatric patients. In cases of residual OSA after adenotonsillectomy, and in cases where surgical intervention is not feasible, positive airway pressure (PAP) therapy is often employed. Those conditions in-clude obesity, craniofacial malformation, Down syndrome, and neuromuscular disorders. In this article,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preparation, titrations, barriers to effective CPAP therapy, monitoring, and adherence to CPAP in children will be described.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Mycoplasma pneumoniae 폐렴 환아에서 급성기 및 회복기의 호산구 지표의 비교

        나규민,강은경,강희,박양,고영률,Nah, Kyu Min,Kang, Eun Kyeong,Kang, Hee,Park, Yang,Koh, Young Yull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10

        목 적: Mycoplasma pneumoniae 감염과 천식은 급성기에 호산구 지표의 증가가 관찰되며 두 질병간에 공통적인 병리기전이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호산구 지표는 천식의 질병경과를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Mycoplasma pneumoniae 폐렴의 임상경과에 따른 호산구 지표의 변화를 분석하는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0년 10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외래에서 진단된 Mycoplasma pneumoniae 폐렴 환자군 33명을 대상으로 급성기 및 회복기 말초혈액 TEC, 혈청 ECP를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이들을 다시 천명음양성군과 음성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또한, 급성기 Mycoplasma 항체가와 말초혈액 TEC, 급성기 Mycoplasma 항체가와 혈청 ECP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전체 33명의 환자군에서는 급성기 말초혈액 TEC, 혈청 ECP가 회복기 때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8, P=0.005) 천명음 양성군과 음성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천명음 양성군 내에서는 급성기 말초혈액 TEC, 혈청 ECP가 회복기에도 유의한 감소를 보이지 않았으나 천명음 음성군 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6, P=0.018). 급성기에 Mycoplasma 항체가와 말초혈액 TEC, Mycoplasma 항체가와 혈청 ECP 사이에는 각각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Mycoplasma pneumoniae 폐렴에서 호산구 지표인 말초혈액 TEC와 혈청 ECP는 급성기에 증가하고 회복기에 감소하여 Mycoplasma pneumoniae 폐렴의 임상경과를 반영하며, 급성기에 천명음이 청진된 환아는 청진되지 않은 환아에 비해 회복기에 도 호산구성 염증이 지속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Purpose :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increases of eosinophil markers are common findings of asthma and Mycoplasma pneumoniae infection, and eosinophil markers reflect the clinical stage of asthm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eosinophil markers according to the clinical stage of Mycoplasma pneumonia. Methods : The patient group consisted of 33 outpatient children with Mycoplasma pneumonia. Peripheral blood total eosinophil count(TEC) and serum eosinophilic cationic protein(ECP) level were measured at both acute and recovery stages and were compared between both stages. The patient group was subdivided into the wheezing(n=16) and the nonwheezing group(n=17), and the TECs and the ECPs of one group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other group. The correlation between Mycoplasma antibody titer and the eosinophil markers of acute stage were analyzed. Results : In the whole patient group, the TECs and the ECPs of the acute stag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recovery stage(P=0.018, P=0.005),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TEC and the ECP between the wheezing and the nonwheezing group. In the wheezing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EC and the ECP between acute and recovery stages. There were no correlations between acute stage Mycoplasma antibody titer and the eosinophil markers. Conclusion : Eosinophil markers reflect the clinical stage of Mycoplasma pneumonia and eosinophilic inflammations may continue even after the acute stage in wheezing patients with Mycoplasma pneumonia.

      • KCI등재

        천식 및 알레르기성 비염 환아에서의 호기 일산화질소 농도 : 아토피 및 기도과민성과의 연관성

        나규민,박양,강은경,강희,고영률,이선화,백도명,Nah, Kyu Min,Park, Yang,Kang, Eun Kyeong,Kang, Hee,Koh, Young Yull,Lee, Sun Wha,Paek, Domyung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3

        목 적 : 호기 NO 농도는 비침습적인 하기도 염증의 지표로 주목받고 있으며 기도과민성과 아토피와의 관련성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만성천식 및 알레르기성 비염 환아에서 호기 NO 농도를 측정하고 기도과민성과 아토피 여부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방 법 : 기관지 천식(n=55), 알레르기성 비염(n=17)으로 진단 된 환아 및 대조군(n=14)을 대상으로 2001년 1월부터 4월까지 호기 NO 농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다시 천식환아군은 아토피성(n=37) 및 비아토피성 천식군(n=18)으로 나누어 비교하였고 알레르기성 비염군은 기도과민성 유무에 따라 나누어 비교하였다(각각, n=7, n=10). 또한 천식군과 알레르기성 비염군을 대상으로 각각 피부 단자시험에서 양성항원 수 및 메타콜린 $PC_{20}$과 호기 NO 농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호기 NO 농도는 천식군과 알레르기성 비염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아토피성 천식군이 비아토피성 천식군보다, 비아토피성 천식군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알레르기성 비염군은 기도과민성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P=0.50). 천식군에서는 피부 단자시험에서 양성항원 수 및 메타콜린 $PC_{20}$과 호기 NO 농도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r=0.32, P=0.02; r=-0.38, P<0.01), 알레르기성 비염군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r=0.42, P=0.09; r=-0.06, P=0.83). 결 론 : 호기 NO 농도는 천식환자에서 아토피에 의한 병태생리와 연관성이 있으며 기도과민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그러나 알레르기성 비염에서는 기도과민성 이외의 다른 인자가 호기 NO 농도와 관련성을 가질 것으로 추정되며 향후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 A new airway inflammatory marker, exhaled nitric oxide(ENO) has been reported to correlate with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BHR) and atop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ENO with BHR or atopy in patients with asthma and with allergic rhinitis. Methods : The subjects consisted of 55 children with asthma, 17 with allergic rhinitis, and 14 healthy controls. The asthma group was subdivided into the atopic asthma group(n=37) and the nonatopic asthma group(n=18) and the allergic rhinitis group into BHR group(n=7) and non-BHR group(n=10). All were investigated with spirometry and measurements of ENO concentration. The correlations between ENO concentration and both methacholine $PC_{20}$(provocative concentration causing a 20% decrease in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and the number of allergen skin test positivity were analyzed. Results : ENO concentrations of both asthma and allergic rhinitis group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control(P<0.01). ENO concentration of atopic asthma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nonatopic asthma(P<0.01). In allergic rhinitis, ENO concentration did not differ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BHR(P=0.50). ENO concentration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number of skin test positivity(r=0.32, P=0.02) or methacholine $PC_{20}$(r=-0.38, P<0.01) in asthma group, but not in the allergic rhinitis group(r=0.42, P=0.09; r=-0.06, P=0.83). Conclusion : In asthma patients, some pathogenetic mechanisms associated with atopy and BHR seem to influence ENO concentration. In allergic rhinitis patients, some factors other than BHR may be important in determining ENO concentration.

      • 천식 환아와 정상 소아에서 비만에 대한 비교

        강희 ( Hee Kang ),강은경 ( Eun Kyeong Kang ),나규민 ( Kyu Min Nah ),유영 ( Young Yoo ),고영률 ( Young Yull Koh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3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3 No.1

        목적:지난 20년간 성인, 소아 모두에서 천식과 비만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근래에 천식과 비만사이에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천식의 심한 정도와 과체중 사이에도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천식과 비만의 연관성과 관련하여 한국인 천식 환아를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는 문헌상 보고된 바 없다. 이에 천식 소아에서 정상 소아보다 비만의 유병률이 높은 지 분석하고, 아토피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 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Purpose: An increase in the prevalence of obesity and asthma over recent decades has been reported. While there is evidence of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asthma and obesity, there is no report about association between asthma and obesity in Korea. Th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