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토마스 아퀴나스의 예술론에 따른 미(美)의 개념

        강윤희(Kang Yoonhee)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8 누리와 말씀 Vol.- No.42

        We understand that if Study pursues true value, Religion pursues holy value; esthetics pursues esthetic value (in a broad meaning). When we say pursuing esthetic value, we assumed creative hard work of artist. But in sensitivity and homesick boundary, the important thing is not hard effort but contemplation and experiences. Esthetics is not just creative but a contemplative thing. It is not a work by effort but the reception of sensitivity. In front of art, it is also required passive attitude as well as active. In such a meaning, we should not forget the mental attitude required for the art takes importance on internal experiences. Art is the esthetic sublimation and expression of true life. Old saying is that when we say an esthetic thing that is the one of truth. If we can get the truth of life through art, that is a beautiful thing. To Plato, the art was an imitation technique of human action for work. He knows well about the great importance that of art influence to human spirit. He thought that the art was related to human ethic value. So his esthetic theory is firstly linked to ethical goal. If ethical element came from the exterior norms and the esthetics is subjected to these norms, it can t be mentioned that the autonomy of art to Plato. On the contrary, Aristotle mentioned esthetic s autonomy. Aristotle thought esthetics is part of human action. He paid attention to relationship between esthetics and human mental action; he separated the esthetics from the nature. He put emphasis on the life as to the ace of esthetics. The imitation underlies in human nature, he emphasized that is the function to stimulate human ability. The imitation that Aristotle mentioned is not just expression of the nature itself, but expressing the idea that is supposed to be. So his saying of imitation is not saying of copy itself. He pointed out the intellectual element and said the esthetics without norms is not existed. The creative process is understandable and controllable. So, contrary to Plato, the mystic characteristic is lost. In the work of St. Thomas Aquinas on esthetics, he did not mention largely and in detail. But he expanded his own thinking on esthetics considerably. He defined on esthetics in general. According to his definition, esthetics makes eye-vision joyfully. He thought esthetics is related to goodness; esthetics and goodness are the same in principal. Esthetics, goodness are based on the same thing, that is on form. So goodness is praised as to esthetics. But St. Thomas Aquinas clearly stated that esthetics and goodness are different in idea. Thomas Aquinas said that esthetics has meaning of integrity, perfection and completion. Firstly, being esthetics means taking in center not in boundary, not limited but endless, not in imperfection status but in comprehensive perfection. Secondly, being esthetics is in definite ratio and perfect balance from objective side. Thirdly, being esthetic should manifest obviousness. In his thinking, transcendental side takes larger part in the definition of meaning of esthetics. To him, esthetics was not concluded by external beauty of sense. With that, he extended the meaning of esthetics to spiritual beauty, Divine beauty, harmony of virtue, even to the beauty of human soul to perfection. Eventually, when Thomas Aquinas say about esthetics, he did not remain on sensible and internal dimension, but reached to transcendental, metaphysical and spiritual dimension. 학문이 참된 가치를 추구하고 종교가 성스러움의 가치를 추구한다면 예술은 미적 가치를, (넓은 의미에서) 아름다움의 가치를 추구하는 것으로 우리는 이해한다. 아름다움을 추구한다고 하는 것은 창작하는 예술가로부터 이루어지는 노력이나 행동으로 볼 수 있지만 예술적 감수(感受)와 향수(鄕愁)의 영역에 국한 할 때에는 노력과 행동이 아니고 관조와 체험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아름다움은 창작적인 것만이 아니라 관조적인 어떤 것으로서, 그것은 노력하여 실천되어야 할 것이 아니라 받아들이고 향수되어야 할 것이기도 하다. 예술 앞에서 능동적인 태도도 필요하지만 수동적인 태도도 요구되는 것이다. 예술에 필요한 정신적 태도가 이런 의미에서 내면적 체험을 중요시 여긴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예술은 참된 삶의 미적 승화이며 표현이다. 우리는 아름다운 것을 말할 때 그것은 참된 것(眞)과 하나라는 의식이 오래 전부터 자리하고 있었다. 우리가 예술을 통해서 삶의 진실을 얻을 수 있다면 그것은 아름다운 것이다. 플라톤에게 예술은 인간의 제작 활동을 위한 모방 기술이었다. 그는 또한 예술이 인간 영혼에 미치는 강력한 영향력을 잘 알고 있었다. 그래서 그는 예술이 ‘현실의 인간 삶 속에서 인간이 어떻게 윤리적으로 살 수 있는가?’ 하는 윤리 덕목 과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므로 그의 예술관은 윤리적인 목표와 우선적으로 결부되어 있다. 윤리적인 요소는 예술 외부에서 오는 규범으로, 예술이이 규범에 종속되어야 하는 한 플라톤에게 예술의 자율성은 언급될 수 없었다. 반대로 아리스토텔레스는 예술의 자율성을 언급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예술을 인간의 활동으로 보았다. 그는 예술과 인간의 정신 활동 관계를 중요시 했고 예술을 자연으로부터 분리하였다. 그는 예술의 근간으로 삶을 중요시하고 또 모방이 인간의 고유한 본성에 내재해 있으며, 인간의 능력을 신장시키는 삶의 기능임을 강조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모방은 현실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있어야 할 이상(理想)을 표현하는 것이다. 그래서 아리 스토텔레스가 말하는 모방은 하나의 복사가 아님을 잊지 말아야 한다. 그는 예술 창작에서 지적 요소를 강조하고 규칙이 없는 예술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창작과정은 이해할 수 있는 것이고 통제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플라톤과는 달리 신비적 성격을 상실한다. 성 토마스는 자신의 미학에 관한 견해를 저서를 통해서 크게 그리고 상세하게 언급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고려할만한 강력한 자신의 미학에 관한 사상을 전개하였다. 성 토마스는 아름다움(美)에 관하여 아주 일반적으로 정의하였다. 그의 정의에 따르면 아름다움은 시각(視覺)을 즐겁게 하는 것이다. 토마스는 아름다움을 선과 연관시켜 사유하고 있는데 미(美)와 선(善)이 그 주체에 있어서는 같은 것이라는 것이다. 선(善)이건, 아름다움(美)이건 모두 같은 사물에, 즉 형상에 근거의 이유를 두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선(善)은 아름다움(美)으로서 찬양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토마스는 선(善)과 미(美)는 개념에 있어서는 다른 것임을 명백히 한다. 또한 토마스는 첫 번째로 아름다움이란 온전함(integritas), 완전함(perfectio), 완성(complexio)의 의미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아름다운 것으로 있다고 하는 것은 주변에 있는 것이 아니라 중심을 차지하는 것이고 제한된 것이 아니라 무한한 것이며 미완성의 단계에 머물고 있는 것이 아니라 종합적인 완성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말한다. 두 번째로 아름다운 것은 그것의 객관적인 측면에 확실한 비율과 정확한 균형이 속하는 것이다. 세 번째로 아름다운 것으로 존재한 다는 것(ens)은 자체로 명백함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토마스의 사고 안에는 미(美)의 개념 정의에 있어서 초월적 측면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토마스에게 있어서 아름다움은 단지 외모의 감각적인 아름다움만으로 종결지어지는 것은 아니었다. 그것뿐만 아니라 영적인 아름다 움, 신(神)의 아름다움, 덕(德)과 조화를 이룸으로서 완덕에 이르는 빛나는 인간 영혼의 아름다움에까지 미(美)의 개념을 확대한다. 결국 토마스는 아름다움을 말하는데 있어서 감각적이고 내재적인 차원에만 머문 것이 아니라 초월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차원, 영적인 차원에까지 이르게 한 것이다.

      • KCI등재

        “커피 배우기”

        강윤희(Kang, Yoonhee)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5 비교문화연구 Vol.21 No.2

        이 논문은 ‘맛"과 ’향"에 대한 감각적 경험이 어떻게 언어적으로 구성되는지를 논의하기 위하여, 현대 한국사회의 대표적인 기호 식품 중 하나인 커피를 대상으로 언어인류학적인 분석을 시도한다. 특히 맛과 향이라는 일상적이고 신체적인 감각이 어떻게 경험되고 소통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커피 향미에 대한 언어적인 표현과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한다. 여기서 특정 커피 향미를 분류하고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문적 커피 향미 용어는 단순히 그 향미의 자질을 지시하고 표현할 뿐만 아니라, 화자의 사회적 위치나 정체성을 나타내는 지표성을 가지고 있음에 주목한다. 구체적으로 이 논문은 커피 향미의 분별을 가르치는 커피전문가와 수강생들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커피전문가가 어떠한 언어 전략을 통해 일반인들의 감각적인 경험을 정의하고 규정하는지, 나아가 그러한 언어적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어떻게 커피에 대한 전문성과 감식안의 권위와 위세가 구성되고 재확인되는지 살펴본다. With the increasing popularity and influx of specialty coffee to South Korea, a growing number of coffee shops have started to offer various coffee classes. Specialty coffee, with its various origins and unique taste features, now deserves a field of education and connoisseurship—that is, coffee is not only “good to drink,” but also “good to learn.” Given this background, I attempt to analyze the discursive construction of sensory experiences of coffee, especially focusing on coffee flavor terms and registers. The linguistic expressions of coffee tastes and aromas are critical in analyzing sensory experiences of coffee, as their linguistic codability both reflects and shapes people"s sensory perceptions and experiences. In doing so, I pay close attention to verbal interactions between coffee experts and their students, through which the students are able to learn how to discern different coffee flavors and how to express them. Coffee experts utilize various technical and aesthetic coffee registers to explain and express different coffee flavors. The experts teach their students, not only how to verbally “express” different flavors of coffee, but also how to “experience” the very senses of tastes and aromas. They always name and regiment specific senses of qualia through the process of “glossing” the students" sensory experiences. By adopting the concept of indexicality,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in which specific coffee registers and terms serve to index an expert"s connoisseurship and his/her power to ‘name’ a specific flavor and ‘frame’ people"s sensory perceptions and experience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한국 언어인류학 연구의 성과와 전망

        강윤희(Kang, Yoonhee) 한국사회언어학회 2020 사회언어학 Vol.28 No.3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achievements of linguistic anthropology research conducted by Korean anthropologists since the mid-1980s. It examines the main themes which Korean linguistic anthropologists have investigated for the last three decades. The categories of the main topic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culture, (2) ethnography of communication, (3) verbal art and performance, (4) the issues of language ideology, globalization, and semiotic approaches. My review of the previous works on these topics demonstrates that Korean linguistic anthropology has evolved from the works mainly devoted to documentation and description of specific language communities to more critical approaches to language practices and ideologies as embedded in wider social contexts. The recent works tend to criticize the previous works’ static and fixed notions of language and culture, while emphasizing individual speakers’ strategic and political uses of language and the power dynamics that constitute and reconstitute the social effects of language in context.

      • KCI등재

        한국 정치학에서의 성정치학(Gender Politics) 연구현황과 제언

        강윤희(Yoonhee Kang),김경미(Kyungmi Kim),최정원(Jeongwon Choi) 한국정치학회 2004 한국정치학회보 Vol.38 No.3

        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성정치학 연구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성정치학 연구의 발전을 위한 이정표를 제시하기 위해 『한국정치학회보』, 『국제정치논총』, 『아세아여성연구』, 『여성학논집』, 『여성연구』, 『한국여성학』 등 6개 간행물을 선정하여 관련 논문들을 분석하였다. 한국에서의 성정치학 연구는 1980년대에 등장하여 1990년대 이후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정치학계에서의 위상은 아직까지 낮은 편이며 여전히 정치학의 관심 영역에서 주변부에 속하고 있다. 기존의 성정치학 연구는 한국정치와 비교정치 분야 등의 특정 연구영역에 집중되어 있다. 특히 정치과정ㆍ정치참여, 정치사회화, 여성운동에 관한 연구들이 다수를 이룬다. 이는 여성의 정치적 저대표성를 해소하고 여성의 정치참여를 증대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의 모색이라는 실천적 목적에서 연구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반면, 정치이론과 국제정치 분야는 연구가 미흡한 분야이다. 정치이론 분야는 심도 있는 성정치학 연구를 위해서는 필수적인 기초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제한된 담론에 집중되어 있을 뿐 발전적 차원에서의 이론의 재구성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국제정치 분야도 국제적 환경 변화에 따라 성인지적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연구가 활발하지 않다. 향후 성정치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방법론적 차원에서의 고민이 필요하다. 경험주의적 연구의 축적도 중요하지만 성정치학의 이론적 발전을 위해서는 경험주의적 연구의 틀을 넘어선 젠더 관점에서의 개념의 재구성 및 새로운 패러다임의 형성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further development of studies on gender politics in Korea by conducting a critical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 on the subject. Articles concerning gender politics were selected from 6 journals listed as the following: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Relations, Asian Women’s Studies, Women’s Studies, Korean Women’s Studies, and The Journal of Women’s Studies. Research reveals that it was only in the 1990s that gender sensitive research in the field of political science began to be carried out in earnest in Korea, although it first emerged in the 1980s. Despite the growth in volume, the study of gender politics is still but a marginal subject within the field of political science. Moreover, it is concentrated in the area of Korean politics and comparative politics that deals with issues such as political process, political participation, and women’s movements. undoubtedly these studies have done much to further promote women’s participation in politics and to overcome the under-representation of women in politics. By Contrast, relatively little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on political theor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from a gender sensitive point of view. For further development in the study of gender politics, this unbalance should be redresse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not only to accumulate empirical data concerning women and gender relations, but also to reformulate existing concepts and theories according to gender sensitive perspectives and to look for new paradigms within that umbrella of information.

      • KCI등재

        글로벌 IT 기업 직원의 단체지향적 성향, 선제적 시민행동 및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관계

        강윤희(Kang Yoonhee)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20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10 No.4

        본 연구는 단체지향적 성향이 선제적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글로벌 IT 기업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 및 통계하여 연구하였다. 홉스테드의 문화 요인인 단체지향적 문화 성향은 아시아 국가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홉스테드 문화 요인을 개인적 차원으로 확장 하여 설문화한 문화 가치 등급인 Cultural Value Scale을 선택, 국내 글로벌 전자기업의 직원 200명을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배포하여 3주 동안 수집 후 통계 분석했다. 결과적으로 직원의 단체지향적 성향은 선제적 시민행동에 유의한 (+) 영향을 준다고 나타났으며 개인의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단체적 성향과 선제적 시민행동을 완전 매개한다는 결과가 도출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직원의 단체적 성향이 조직성과의 결과 요인인, 변화적 조직시민행동에 유의적 영향을 준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이어서 결과를 바탕으로 단체적 성향과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선제적 시민행동의 선행요인의 가능성이란 새로운 시사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단체적 성향과 임파워먼트의 관계 및 선제적 행동의 선행요인 가능성도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제시하였다. In this research, collectivism s effect on individual s change 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COCB hereafter) with mediation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were examined.. Yoo s Cultural Value Scale was adapted to measure collectivistic tendencies at individual levels with its influence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COCB. For such purpose, 200 paper based self reporting surveys were administered to employees of fortune 100 electronic company in Korea for three weeks period. Findings indicated individual s collectivism positively influenced COCB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mediated between collectivism and COCB. In conclusion and applic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displaying collectivistic culture s positive influence on COCB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as possible antecedents of Change 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KCI등재

        푸틴 집권기 러시아 정부와 인권운동의 갈등 관계: 프레이밍 과정과 정치적 기회구조를 중심으로

        강윤희 ( Yoonhee Kang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4 슬라브연구 Vol.30 No.2

        러시아 인권운동의 뿌리는 소련 시절의 반체제운동에서 찾을 수 있으나, 현대 러시아의 인권운동은 소련 붕괴 후 변화된 사회상을 반영하며 다양한 인권이슈들을 다루는 운동으로 발전하여왔다. 러시아 인권운동은 인권문제를 야기하는 법적, 정치적,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도록 러시아정부에 압력을 가하여 왔으나, 푸틴 집권 이후 러시아 정부는 이러한 요구를 긍정적으로 수용하기보다는 인권단체들을 탄압하고 인권운동을 억압하는 정책을 취하여 왔다. 이 글의 목적은 푸틴 집권기의 프레이밍 과정 및 정치적 기회구조를 분석함으로써 러시아 인권운동이 직면한 현실을 조명하는데 있다. 푸틴 정권이 어떠한 프레이밍을 통해 인권운동의 운신의 폭을 좁히는 전략을 사용하는지, 그리고 러시아 인권운동에 대해 어떤 방식으로 탄압 및제재를 가하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정권 차원의 대응이 러시아 인권운동에 미치는영향을 가름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권위주의 정권 하에서의 사회운동의 가능성과 한계를 드러내는 데 기여할 것이다. Since the breakup of the Soviet Union, NGOs mushroomed all over Russia. The human rights movement, with its roots in the Soviet-era dissident movement,also grew rapidly. Human rights NGOs, dealing with specific issues such as politicalrepression, women’s rights and soldiers’ human right, have actively sought toinfluence government policies and regularly criticized the government’sperformance. However, they have been put under sustained attack from the Russiangovernment led by Put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raming processes and the politicalopportunities that are seriously limiting the choices of human rights movement. This paper addresses two questions: first, in what way the human rights movementhas been framed by the Putin government; second, to what extent did the politicalopportunities have been diminished for human rights movement under theauthoritarian regime. This will clearly illustrate the harsh reality that Russian humanrights movement is now fac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