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켈링 시 구강마취액(해피카인)의 통증완화 정도

        강윤주 ( Yoon Joo Kang ),임진희 ( Jin Hee Lim ),송지나 ( Ji Na Song ),김지희 ( Ji Hee Kim ) 한국치위생학회 2012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2 No.3

        Objectives: Today, one of the most basically used procedures to dental patients is scaling for removing tart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effect of Happycaine during scaling for pain relief. Methods: This study was used self-questionnaire from 202 patients. SPSS 18.0 vision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Group A was used Happycaine, but group B wasn`t used Happycaine. The degree of pain relief depending on use of Happycaine, was analyzed by Independent-two-sample t-test. Emotion and reaction during scaling was analyzed b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Results: 1. 52.5% participants answered ``require scaling`` and 12.9% answered ``required scaling very much``. so 65.4% participants recognized the need of scaling. 2.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Happycaine during scaling, differences in pain was by Likert 5 pints scale, Group B`s pain was higher than Group A`s(p=0.000). 3.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Happycaine during scaling, the mean of panic from Group B was a little higher than Group A (p=0.036). In case of cold symptom during scaling, Group B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11). In Group B, pain from dental hygienis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00). Group A was interested in Happycaine use in future scaling (p=0.004).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recommend Happycaine during scaling in order to decrease mental burden and pain for patients.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 전통식문화 인식 및 교육방안

        강윤주 ( Yoon Joo Kang ),정희선 ( Hee Sun Jeong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3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28 No.3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전통식문화 이해를 돕기 위해 필요한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다문화가정을 이루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의 설문을 통해 전통행사 및 전통음식에 대한인식과 선호, 전통 식문화 교육 경험과 교육 방안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우리나라 전통행사 가운데 인식도에서는 설(2.82점), 추석(2.75점)순으로 나타났고, 선호도에서는 삼복(2.57점), 추석(2.56점) 순으로 나타났다. 설날, 정월대보름, 삼복, 추석, 동지에 먹는 대표적인 절기 음식에 대한 인식도는 삼계탕(2.86점), 떡국(2.75점), 오곡밥(2.57점) 순이었으며, 선호도는 삼계탕(2.67점), 떡국(2.37점), 팥죽(2.30점) 순으로 나타났다.한국 전통식문화교육 경험여부는 20대에서 40.2%, 결혼기간 1년미만에서 56.3%가 교육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결혼 초기 식문화에 대한 교육지원은 아주 미흡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과거 전통 식문화교육이 식문화 이해에 도움을 주었냐는 질문에 5점 만점에 4.16점으로 교육은 꼭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육받기를 원하는 전통식문화 분야는 전통음식 조리법(53.5%), 상차림과 예절(16.5%), 전통음식 영양(15%) 순으로 조사되었고, 가장 배우고 싶은 음식으로는 생활가정 음식이 69.5%로 조사되어 일상식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적절한 교육방법으로는 강의+조리실습(48.0%), 조리실습위주(34.5%)로 대부분 실습을 통한 식문화교육을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통식문화교육을 받았거나 받을 경우 어려운 점에 대한 조사결과, 언어의 어려움, 제철식품 및 재료구분의 어려움, 전통문화 이해 부족, 조리방법의 어려움 순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교육매체로는 직접강의가 71.5%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책, 신문 등 10.5%, 인터넷9.5% 순이었다. 전통식문화 활성화 방안으로 다양한 교육 자료의 개발이 31.5%, 교육접근의 용이성 25%, 문화간 이질감해소 22%, 교육환경 개선이 21.5%로 조사되었다.다문화 지원센타 등에서 한국 문화와 관련된 상당히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결혼이주여성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시간적?공간적 제약이 많아 교육접근성이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이해하기 쉽게 작성된 이론교재 보급 및 실습을 위한 동영상을 제작하여 이들이 자주이용하는 포털에 등재시킴으로써 이용확대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맞춤형 교육 방안으로, 결혼이주여성들이 선호하는 전통음식을 우선적으로 개발 보급하고, 그들이 이러한 교육을 통해서 전통음식 조리법을 습득한다면 결혼초기 서로 다른식문화로 어려움을 겪는 다문화가정의 화합에도 일조를 할수 있을 것이다. 이밖에 본 연구에서 심도 있게 제시하지 못한 전통 식문화에 대한 맞춤형 교육 방안은 선행 연구와 더불어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awareness of traditional Korean food culture among immigrant housewives in multicultural families, with the aim of introducing educational plans suitably designed for them. Our survey shows that Korean traditional holidays most well-known to the immigrant housewives are New Year`s Day and Chusuk. Sambok and Chusuk are at the top in terms of preference. Samgyetang, Ddukguk, and Ogokbab are among the best known festive food to immigrant housewives for holidays such as New Year`s Day, Jeongwol Daeboreum, Sambok, Chusuk, and Dongji; Samgyetang is the most preferred food, followed by Ddukguk and Patjuk. In addition, a vast majority of immigrant housewives who have ever attended Korean traditional cuisine education programs found the need for such an experience, with the score of 4.16 out of 5. In addition, the survey shows the order in which the immigrant housewives want to learn: the recipe of Korean food (53.5%), followed by table setting and manners (16.5%) and then nutrition (15%). The recipe of interest for most respondents is the one concerning daily food (69.5%). And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prefer cooking practice as a desirable educational method. The difficulties that they have when attending such an educational course are usually inability to understand the language, difficulty in identifying the ingredients (seasonal), and lack of cultural understanding. The most preferred educational method is direct lecture (71.5%), followed by written materials such as books and newspaper (10.5%) and the Internet (9.5%). Finally, strategies for promoting traditional food culture are suggested as following: developing educational resources (31.5%), maki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more available (25%), narrowing the cultural gap (22%), and improv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21.5%).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diffuse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first, and then provide many immigrant housewives with a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It is expected that these efforts will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cultural differences in the early stage of international marriages and eventually contribute to the harmony in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청소년 식이태도와 식이행동의 횡문화적 연구

        백영석,안동현,조연규,남정현,최보율,강윤주,고복자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3

        연구목적 : 청소년을 대상으로 장애가 있는 식이태도 및 식이행동과 관련된 요인들에서 인종과 문화적 차이가 있는가를 보는 것이다. 방 법 : 1996년도에 3129명의 중고등학교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장면에서 신체 계측과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하였으며 연령은 13세부터 16세 사이의 학생들로 분포되었다. 학생들의 분포는 서울 지역의 663명, 양평 지역의 821명, 조선족이 사는 연길 지역의 830명 그리고 한족이 사는 길림 지역의 815명이었으며, 그들은 모두 키, 몸무게, 신체질량지수, 부모의 수입, 아버지의 학력, 체중조절 설문지, 신체상 척도 및 식이태도검사 등의 내용을 완성하였다. 결 과 : 신체질량지수(BMI)에서는 지역, 성별, 사회경제적 상태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연길과 길림 지역의 학생들이 서울과 양평 지역의 학생들보다 심한 저체중과 심한 과체중을 갖는 학생들이 많았다. 연길과 길림 지역의 학생들이 서울과 양평의 학생들보다 식이태도검사(EAT-26)의 평균치가 높아 식이태도와 식이행동이 나빴다. EAT-26의 20점 이상인 식이장애의 고위험군은 연길 지역의 학생이 6.9%로 네 집단 중에서 가장 많았다. 한국의 양평지역과 서울 지역의 학생들이 신체상 척도(BIS)의 평균치가 연길 지역과 길림 지역의 학생들보다 의미있게 높았다. 즉 한국의 학생들이 중국의 학생들보다 자신의 신체에 대하여 부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었다. 체중조절 행동의 유병율은 서울 지역 학생들이 26.7%, 양평 지역 학생들이 23.2%, 연길 지역 학생들이 10.6%, 그리고 길림 지역 학생들이 4.6%이었다. 식이조절과 운동은 한국의 학생들이, 식이조절과 약물사용은 중국의 학생들이 가장 많이 하는 방법이었다. 결 론 :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과 중국에서도 식이장애가 결코 적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식이장애는 인종과 사회문화적 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 마지막으로 식이태도와 식이행동 및 그와 관련된 요인들을 통해서 네 지역간의 문화전이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s :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attempt to examine ethnic and cultural differences in factors associated with disordered eating attitudes and behaviors.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four groups of 3,129 high school students aged between 13 and 16 years who completed school-based survey conducted in 1996. The students (663 Korean urban, 821 Korean rural, 830 Korean-Chinese and 815 Chinese adolescents) completed an instrument which assessed weight, height, Body Mass Index(BMI), parental income, father's level of education, weight control questionnaire, Body Image Scale(BIS), and eating attitudes and behaviors using the Eating Attitude Test-26(EAT-26). Results : BMI did not vary significantly by race, sex, and socioeconomic status. There were many severely underweight and severely overweight students among Korean-Chinese and Chinese than among Korean urban and Koran rural students. The EAT-26 mean scores of Korean-Chinese and Chinese subjec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Korean urban and Korean rural subjects. The EAT-26 mean score of Korean-Chinese was the highest among the four racial groups. The prevalence of high risk EAT-26(EAT-26≥20) students of Korean-Chinese was 6.9% which was the highest among the four groups. The BIS mean scores of Korean rural and Korean urban subjec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Korean-Chinese and Chinese subjects. The Korean subjects were more dissatisfied with their body than the Chinese. The prevalences of weight control behaviors were 26.7% in Korean urban, 23.2% in Korean rural, 10.6% in Korean-Chinese, and 4.6% in Chinese subjects. Dieting and exercise were most popular for weight reducing in Korean subjects. Dieting and drug use were most popular in Chinese subjects. Conclusion : These data suggest that there must be many eating disorder patients in Korea and China, and the eating attitudes and behaviors are influenced by ethnic and cultural factors.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sociocultural influence on eating attitudes and behaviors and acculturation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