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백낙청 비평에 나타난 ‘시적(詩的) 창조’의 의미

        강용훈(Kang, Yong-Hoon)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4

        이 논문은 백낙청 비평에 나타난 ‘시적 창조’(poetic creation)라는 개념에 주목했다. 이를 통해 이 논문은 백낙청 비평이 문학과 역사, 문학과 정치의 관계를 어떻게 고찰했는지 분석하려고 했다. 백낙청은 시민계급의 중요한 층위를 이루는 중산계층이 시민 혁명을 달성할 만큼의 역량을 지니지 못하고 있다고 보았다. 백낙청은 그 부재의 자리를 메울 수 있는 지점을 모색했다. ‘민중’이 그 지점의 한 축을 가리키고 있다면, 다른 축에는 ‘시적 창조’라는 개념이 위치하고 있었다. 백낙청의 ‘민족문학론’은 이 두 개의 지점을 포괄하는 담론 체계였다. 백낙청은 ‘시적 인간(poetic human)과 역사적 인간의 근원적 동질성’을 주장하며, 참여/ 순수, 예술 창작/정치적 행동을 구분하는 이분법에서 벗어나려 했다. 이러한 문제틀은 주체와 대상의 이분법에 기반을 둔 서구 형이상학을 근본적으로 비판한 하이데거의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 백낙청 비평은 ‘본질적 창조’라는 관점에서 역사와 시의 근원적 동일성을 주장했다. 백낙청에 따르면 ‘본질적인 창조’는 시, 행동, 사상 등의 어느 영역에서 이루어지든, ‘지식’과는 다른 차원에서 작동한다. 하이데거의 어법을 빌리면 ‘본질적 창조’는 은폐된 상태에 있던 진리를 드러나게 만드는 작업이며 역사의 근원적 변화를 만들어내는 동력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담론은 ‘시적 창조’의 다층적 가능성을 역사의식의 문제로 환원시켜 버릴 수 있다는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유사한 문제는 백낙청이 ‘시적인것’을규정하는과정에서도발견된다. 백낙청은‘감수성의분열(dissociation of sensibility)’에 대한 엘리어트의 견해를 수용하여 ‘시적(詩的)인 것’의 본질을 ‘통합된 감수성(the intergration of the sensitivity)’에서 찾으려 했다. 백낙청의 비평은 ‘시적 언어’가 만들어낼 수 있는 다층적 가능성을 탐색하지 못했다는 점, 그리고 분열된 감수성이 지니는 창조적 활력을 사유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This thesis paid attention to the concept called ‘poetic creation’ appeared in the Paik Nak-chung’s criticism. Through the above this thesis was to analyze how the Paik Nak-chung’s criticismcontemplated the 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history and the 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Paik Nak-chung thought that the middle class which constitutes important class of bourgeoisie could not carry so much capability that they can achieve people´s revolution. Paik Nak-chung sought the point that can replace the place of the absence. If ‘the people’ indicates one axis of the point, at another axis the concept of ‘poetic creation’ was located.Paik Nak-chung’s national literary theory was the discourse system that included these two points. Paik Nak-chung claimed the fundamental homogeneity of poetic human and historical human and was to get out of dichotomy that separates artistic creation and political action. Such problems are based on the Heidegger’s theory that basically criticized the western metaphysics based on the dichotomy of the subject and object. What is spotlighted this time is rightly the concept called ‘creation’. According to Paik Nak-chung, ‘essential creation’ works in the dimension different fromthat for ‘knowledge’ in whichever area of poem, action and idea etc. it is achieved. If we borrow the expression of Heidegger ‘essential creation’ is the job that reveals the truth which was in hidden condition, and is the power that makes fundamental change of history. Paik Nak-chung’s criticismclaimed the fundamental identity of history to poemin the viewpoint of the ‘essential creation’. However, such discourse has the problemthat can returnmultilayer possibility of ‘poetic creation’ to the problemof historical consciousness. Such limitation is revealing itself even in the process where Paik Nak-chung defined ‘poetic things’. Paik Nak-chung accepted Eliot’s opinion on ‘dissociation of sensibility’ and was to find the essence of the ‘poetic thing’ in ‘the integration of the sensitivity’.

      • KCI등재

        “작가(作家)” 관련 개념의 변용 양상과 “작가론(作家論)”의 형성 과정 -1910년대~1930년대 중반 식민지 조선의 경우를 중심으로-

        강용훈 ( Yong Hoon Ka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3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0

        이 논문은 근대 문학이 형성되기 시작했던 1910년대~1930년대 중반에 초점을 맞춰 ``작가’ 관련 개념이 다층적으로 사용된 양상을 살펴보고, ‘작가론’이 형성된 동인(動因)에 대해 탐색하려 했다. 이러한 탐색을 통해 이 논문은 ‘작가론’의 탄생이 창작 주체의 위상 변화와 연동되는 양상을 분석하려고 했다. 1910년대~192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는 창작 주체를 ‘작가’라는 개념으로 지칭하는 관습이 확립되기 시작했다. ‘저술자’ 혹은 ‘기자’로 창작주체를 명명하던 이전 시대의 방식과 비교했을 때 ‘작가’ 개념에는, 상상력과 창조성에 기반을 둔 창작 활동을 중시하게 된 사회적 변화의 흔적이 깃들어 있었다. 이러한 변화와 맞물려 개별 작가의 문학 활동은 비판적 평가(=비평)의 대상이 될 수 있었다.‘작가론’의 형성 배경에는 1920년대 초·중반 『개벽』 과 『조선문단』 등의 매체에 발표되었던 ‘문사’ 담론도 자리하고 있다. 1920년대 초반에는 작가를 ‘문사’로 호명하며 창작 주체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는 담론들이 유행하기 시작했다. 가장 적극적으로 ‘문사’ 담론을 주창했던 이광수는 작가의 창작 활동을 한 민족이 기억하고 기념해야 할 영역에 위치시키며 특정 작가에 민족 공동체를 대표할 수 있는 위상을 부여하려 했다. 문사(文士) 관련 담론이 전개됐던 조선문단 과 개벽 은 개별 작가를 기념하고 논평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던 매체이기도 했다. 이들 매체에 발표되었던 작가 관련 담론은 조선문단을 대표하는 작가들을 가시화하고 그 작가들의 상징적 위상을 규정했다. 이러한 특성은 1920년대 후반 진행된 조선 근대문학사 서술 작업에서도 발견된다. 조선 근대문예의 변천 과정을 정리했던 박종화와 김동인은 문학사를 변화시켜 나가는 주체로 작가를 상정했으며 개별 작가의 문학사적 위상을 규정하려고 했다. 1930년대 정립된 작가론은 개별 작가의 문학사적 위치를 규정하는데 초점을 맞췄던 1920년대의 작가 관련 담론과 유사한 문제설정을 공유하고 있었다. 이러한 특성은 1930년대를 대표하는 매체이자 지속적으로 작가론을 연재했던 잡지 삼천리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작가론의 형성 과정은 조선 문학의 대표 작가를 선정한 후 이들의 문학사적 위상을 규정하려 했던 1920~30년대 매체들의 전략과 맞닿아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aspect of the multi-lateral use of the ``author`` related concept by focusing on the middle of 1910s~1930s when the contemporary literature was being created. The searching on the aspect of ``author`` related concept is linked with the purpose of analyzing on the motive of ``author theory`` creation. By means of this, this study explores the point to reflect the ``author`` related study critically which are performed at the field of education and criticism to date. The practice of calling the subject of the creation as a concept of‘author`` in the colonized Choseon in 1920s~1930s. It had been differentiated with the style of the past times when they had called the subject of creation as a ``writer`` or ``journalist`` The concept of the ``author`` reflected the social changes which put the weight on the creation activities based on the imaginative power and creativity. In conjunction with these changes, the literature activities of each author could be the object for the critical evaluation. The discussion on the ``literary man`` which was presented on the media such as 『Gaebyeok』 and 『Choseon Mundan』 in the beginning and middle of 1920s had made influence on the creation of ``author theory.`` In the early of 1920s, the arguments emphasizing the social roles of the creation subject while they called the author as ``literary man.`` The 『Choseon Mundan』 and 『Gaebyeok』 where the discussion on the literary man had been published were the media which performed the evaluation on each author. The author theory published on these media had the both nature of recording the personal impression of a certain author and criticizing the literature activity of the author. The combined ``author theory`` of figure impression record and study on the author had been used by modification into two streams in the latter part of 1920s and middle of 1930s.Firstly, the work of arranging the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in Choseon was made in the various medias at the latter half of 1920s.Jong Hwa Park and Dong In Kim who had performed such work tried to describe the Choseon literature history based on their works after selecting the representative authors of Choseon literature. Their works have meaning of raising the author as a subject of changing the literature history. Secondly, the media representing 1930s, 『Samchunri』 planned the special edition summarizing the literal activities of the authors representing Korea before and after 1933. The special edition of 『Samchunri』 extended the objects of the description to the representative authors and it has a meaning of consistent publishing of the author theory.

      • KCI등재

        1960년대 안수길의 신문 연재소설과 4·19혁명 전후(前後) 서울의 문화적 재현 양상 - 『생각하는 갈대』(1961~62), 『백야』(1963~64), 『내일은 풍우』(1965~66)를 중심으로-

        강용훈 ( Kang Yong Hoon ) 민족어문학회 2022 어문논집 Vol.- No.96

        이 논문은1960년대초·중반에연재된 안수길의신문연재소설 『생각하는갈대』, 『백야』, 『내일은 풍우』가 4·19 혁명 전후(前後) 서울의 문화를 재현하고 있는 양상에 대해 분석했다. 안수길 작품이 신문에 연재되었던 1961년부터 1966년까지는 서울의 도시개발이 본격화되기 이전의 시기이지만, 4·19와 5·16 및 한일협정 반대운동 등의 정치적 격변이 진행되며 한국전쟁 직후와는 다른 특성의 문화들이 생성되던 때이기도 하다. 안수길은 이 시기의 소설들을 통해 휴전 직후인 1954년부터 한일협정 반대운동이 실패로 끝나는 1965년까지의 서울을 형상화하며 댄스홀 · 바(Bar) · 뮤직홀 · 다방과 같은 1950~60년대의 문화적 유희 공간을 재현하고 있다. 그러한 공간이 청계천 시장과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경제적 일상, 그리고 4·19 혁명이나 한일협정반대운동 등의 정치적 사건들과 연결되어 있음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안수길의 신문연재소설은 독특함을 지닌다. 1961년부터 1962년까지 연재되었던 『생각하는 갈대』는 ‘일본’ 및 ‘북한’과 같은 금기시되던 것들이 귀환한 상황에 반발하거나 두려움을 느끼는 피난민 기성세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동시에, 시장에서 노동하고 있는 여성인물과 교육 사업에 매진하는 청년인물 또한 함께 형상화하고 있다. 새로운 인물들을 부각시키는 작업은 1950년대 안수길의 신문연재소설과 구별되는 공간적 상상력을 드러내는 작업으로 이어졌다. 1963년부터 1964년 연재되었던 『백야』에서는 대중적 유희문화가 지배하는 공간으로만 규정되던 도심의 복판에 자리했던 ‘청계천 시장’의 문화적 특성을 형상화한 동시에, 그 공간에 초점을 맞춰 전후의 서울이 공간적으로 재편되고 있는 양상 또한 그려내고 있다. 1965년부터 1966년 연재되었던 『내일은 풍우』에서는 부정적으로만 형상화되던 도심에 청년들의 다층적 문화 공간이 자리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학사주점’과 같이 4·19 혁명 이후 새롭게 형성된 문화적 장소들을 서사 안에 담아내고 있다. 공간적 기획이 변화해간 양상은 안수길의 신문연재소설에 재현된 청년문화의 모습이 입체적 면모를 드러내기 시작한 것과도 맞물려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를 분석하며 4·19 혁명 전후(前後) 서울의 문화적 변화 양상이 소설 속에 어떻게 재현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In this thesis, it was analyzed how Seoul culture before/after the 4.19 Revolution was represented by newspaper serial novels, i.e. “Thinking reeds (1961-62),” “White night (1963-64),” and “Tomorrow will be windy and rainy (1965-66)” published in early-to-mid 1960s of Ahn Su-gil. The period from 1961 to 1966 when Ahn Su-gil’s works were published in the newspaper was the time that urban development of Seoul was not regularly started yet. However, specific cultures different from the times just after the Korean War were also generated during such period due to political upheavals such as 4.19, 5.16, and movement against the Korea-Japan Agreement. Through the novels during such period, Ahn Su-gil represented cultural amusement spaces in 1950-1960 represented by dance halls, bars, music halls, and coffee shops by narrating Seoul from 1954 when a ceasefire was determined, to 1966 when the movement against the Korea-Japan Agreement failed. Newspaper serial novels of Ahn Su-gil had the aspect to reveal that such spaces were linked with economic daily life in such places as Cheonggyecheon Market and political events such as 4.19 and the movement against the Korea-Japan Agreement. In the thesis, newspaper serial novels of Ahn Su-gil in early-to-mid 1960s were analyzed and it was analyzed how cultural changes of Seoul before/after the 4.19 Revolution was represented and how the sensibilities of characters in the novels were embodied to meet such changes.

      • KCI등재

        월평의 형성 과정과 월평 방식의 변화 양상

        강용훈 ( Yong Hoon Ka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4

        1910년을 전후로 발표된 문학에 관한 논의들은 보편적 차원의 문학에 대해서만 언급했을 뿐, 조선문학의 현재적 상황에 대해서는 면밀하게 분석하지 않았다. 당대의 조선문학을 비평 대상으로 창출해내는 과정은 1920년대 월평의 도입을 통해서 가능해졌다. 월평이 시도된 1920년대 초반은 문예비평이 개별적 장르로 인지되기 시작하던 시기였으며 월평의 도입은 문예비평이 여타의 글쓰기로부터 분화된 과정과 맞물려 있다. 또한 월평 쓰기는 1920년대 전반에 걸쳐 지속되었기에 월평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는 일은 문예비평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는 데 유효한 참조점을 줄 수 있다. 이 글은 ① 『창조』·『백조』·『폐허』를 중심으로 월평이 도입되던 1920년대 초, ② 『개벽』에 월평이 정기적으로 연재되고 『조선문단』 합평회가 진행되던 1925년, ③ 『개벽』이 폐간된 이후 『조선지광』에 문예시평이 연재되던 1927년에 주목하여 월평의 형성 과정을 서술했다. 그 과정에서 본 연구는 월평 방식의 변화 양상에 초점을 맞추었다. 월평은 1개월이라는 제한적 시간 내에 발표된 복수의 작품을 비평대상으로 설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전 시대의 비평적 글쓰기와는 변별된다. 월평 쓰기가 시도되었다는 것은 비평적 평가를 받을 수 있는 복수의 작품이 발표되었으며, 그 작품을 실을 수 있을 만큼의 매체가 간행되었다는 점을 가리킨다. 1920년대 초 월평은 3·1 운동을 전후로 식민지 조선의 매체 환경이 변화했기에 도입될 수 있었다. 초창기 월평은 문예 지면이 확대된 상황에 비판적으로 대응하며 동시대 작품들 중 미적 가치가 있는 작품을 선별하여 소개하려고 시도했다. 월평의 대상이 될 작품을 선정하는 과정은 문단의 경계를 가시화하는 작업과도 연결된다. 1925년에는 『개벽』 문예란에 월평이 정기적으로 연재된 동시에 『조선문단』 합평회가 진행되었다. 월평이 제도화된 1920년대 중반, 평자들은 자신의 미적 판단을 타인과 독자들에게 충실히 전달하려 시도했으며 그 과정에서 평자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용어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각기 다른 문학관을 지닌 평자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한 ``실감``이라는 용어에 초점을 맞추어 당대의 평자들이 지니고 있던 공통감각을 살펴보려고 시도했다. 공통의 비평 술어 ``실감``은 당대의 평자들이 ``사실과 같은 느낌``을 가져다주는 소설을, 가치 있는 소설로 판단하고 있었음을 드러내준다. 월평을 통해 평자들이 확립해낸 공통의 언어적 지반은 김기진과 박영희 사이에 벌어진 내용·형식 논쟁의 기원을 이룬다. 이 글에서는 김기진과 박영희 사이에 벌어진 논쟁을 공통의 비평 술어였던 ``실감``의 위상을 재정립하려는 시도로 해석했다. 내용·형식 논쟁이 진행되던 1927년, 『조선지광』에는 「문예시평」이라는 이름 아래 지속적으로 월평이 실렸다. 『조선지광』 월평의 대상은 문단 제도·문학담론·연극과 영화와 같은 공연예술로까지 확대되었다. 그러나 『조선지광』의 문예시평은, 김기진과 박영희의 내용·형식 논쟁에서 도출되었던 다층적 문제의식을 이어받지 못했고 개별 작품 속에 방향 전환 담론의 흔적이 담겨 있는지의 여부에만 초점을 맞췄다. 작품비평의 틀을 표준화된 원리에 종속시켜 버린 『조선지광』의 「문예시평」의 문제점은 개별 작품이 만들어내는 감각이나 정서의 층위를 탐색하지 못했던 프로문학 비평의 한계를 드러내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ormation of monthly-review and changeable aspects of critical method. The discourse of literature mentioned universal dimension of the literature in 1910s. But it didn`t analyze contemporary situation of Chosun`s literature. The monthly-review made contemporary literature the object of criticism. And the monthly-review lasted during 1920s. So to analyze the formation of monthly-review becomes a reference point for studying about literature criticism. This study describe a formation process of monthly-review three step. First this study focus on the early part of 1920s. The monthly-review of this period had been affected by extension of media. The monthly-review of this period tried to select a work which is the aesthetic value. Second this study attention to the year of 1925. In this year 『Gae-Byeok』 published serially the monthly-review and 『Chosunmundan』 began a meeting for a joint review. 『Gae-Byeok』 and 『Chosunmundan』 referred to each other. So the critics reflected on one`s own criteria. In the middle of 1920s the critics of the monthly-review tried to convey one`s own aesthetic judgement to other critics. So the critics use the common term. ``SilGam`` is a typical case of commom term. ``SilGam`` means not only reality but also visual vividness. ``SilGam`` was interpreted to common sense of 1920s in this study. A different position of ``SilGam`` made an argument about form and contents between Kim, Ki-jin and Park, Young-hee. In 1927, 『Chosunjikwang』 published serially the monthly-review. The objects of the monthly-review has been extended to literary world · literary discourse · drama and movies. But the monthly-review of 『Chosunjikwang』 normalized criticism of the work. So the monthly-review of 『Chosunjikwang』 could not explore a sense and feeling of the work.

      • KCI등재

        식민지 청년들의 어소시에이션(association)과 교통 없는 공동체

        강용훈(Kang, Yong-hoon) 우리문학회 2015 우리文學硏究 Vol.0 No.46

        1930년대 함대훈의 장편 소설은 다층적 신여성의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다. 이러한 모습 중 함대훈 소설이 궁극적으로 부각시키고 있는 것은 공동체 운동에 뛰어드는 신여성 형상이다. 『폭풍전야』와 『무풍지대』에 등장하는 여성인물들은 야학이나 협동조합운동과 같은 공동체 운동에 참여하며 연애 관계로 인해 생긴 상처와 갈등에서 자유로워지고 있다. 공동체 운동에 뛰어드는 신여성의 모습을 그렸다는 점, 공동체의 구현 과정과 연애서사를 동시에 소설속에 배치했다는 점은 함대훈 장편소설을 여타의 대중소설과 변별 짓게 만드는 요소다. 함대훈 소설 속에 표상된 공동체는 야학과 협동조합으로 나뉘며, 그 중 협동조합은 함대훈의 형인 함상훈이 주되게 활동했던 협동조합운동사의 실천양상을 많은 부분 재현하고 있었다. 함대훈 장편소설에 형상화된 공동체 운동은 시장이 만든 교환 관계의 기반 위에서 호혜적 관계를 취한다는 점에서 어소시에이션(association)의 문제의식을 내포하고 있다. 어소시에이션은 개인들의 자유로운 계약에 기초한다는 점에서 시장 경제를 닮은 반면, 호혜와 상호부조에 근거한다는 점에서 전통적 공동체와 닮아 있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 협동조합을 비롯한 공동체 운동에 참여하게 된 인물들의 모습은 온전히 단독적인 주체로 형상화되고 있지 않다. 공동체 형성 과정에 참여한 인물들 사이에는 비대칭적 권력 관계가 내재되어 있으며 작가는 그 관계 자체에 대해 의문시하고 있지 않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가 나타난다. 첫 번째로, 공동체의 이념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젠더화(성별화)의 문제를 이 작품은 비판적으로 그리고 있지 않다. 두 번째 문제는, 함대훈의 소설에 나타나고 있는 공동체가 외부와의 교통(communication)이 배제된, 폐쇄적 형태로 형상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외부와의 교통, 내부 구성원들 사이의 감정적 갈등이 사라져 버렸을 때 그 공동체는 생명력을 상실하게 된다. 함대훈 장편소설에 형상화된 공동체는 식민지 시기 실험된 협동조합의 문제의식을 재현하고 있지만, 그 재현의 과정속에서 공동체는 생명력을 잃은 채 도식적 형상으로 고착되어 버린 것이다. The full-length novel of Ham, Dae Hun in 1930s visualized various kinds of appearance of new women in multiple layers. Among various shapes, his novel ultimately highlighted the shape of new women leaping into the community movement. Female characters appearing in 『The night before the storm』 and 『The zone without wind』 got free from scratches and conflicts through a romantic relationship by participating in community movement such as night school or cooperative movement. The following factors distinguish his novel from other popular novels. He showed the appearance of new women leaping into the community movement and placed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community and a love story in his novel at the same time. The community represented in his novel reproduced many aspects of the cooperative movement where his brother, Ham, Sang Hun, actively worked. As the community movement represented in his novel gave mutual benefits on the basis of exchange relationship made by the market, it shared the issues of association. As the association is based on free contract of individuals, it is similar to the market economy. In addition, as it is based on mutual benefit and assistance, it is similar to the community. However, the appearance of characters participating in the community movement including cooperative association did not represent singular individuals. A variety of power relations were present in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community and the author did not ask questions about the relationship itself. First, this novel did not criticize the gendered issues emerging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ideology of the community. Second, the community in his novel was shown in a closed form excluding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When the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nd the emotional conflicts between internal members disappear, the community will lose the vitality. The community formed in his full-length novel reproduces the critical mind of cooperative association which was tested in the colonial era, but the community is stuck in the schematic shape as it is losing a life.

      • KCI등재

        해방전후의 현대문학사 연구 : 『신문학사』(임화), 『조선신문학사조사』(백철), 『현대조선문학사』(박영희)에 사용된 '양식' · '사조' · '사상' 개념을 중심으로

        강용훈(Kang Yong hoon) 한국문학회 2015 韓國文學論叢 Vol.69 No.-

        Studies on modern Korean literature history were published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and they presented the ways to define the era of the Korean literature history. In addition, some concepts such as 'form', 'trends' and 'thoughts' were established to contemplate the aspects of changes in modern literature history. Through this, those who studied literature history continued to ask question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 and trends of the ag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western literature introduced through the Imperial Japan and colonial Chosun literature. In particular, researchers of modern literature history focused on the period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in which western civilization was introduced after the opening of a port. Lim, Hwa defined this period as 'transition period' and tried to explore the boundary of 'old era and new era' and 'tradition and foreign culture' in . Use of the term of 'transition period' met the concept of 'form'. Lim, Hwa fundamentally examined how civil culture took root in the Chosun society through the concept of 'form'. Lim, Hwa's critical minds were not substantially inherited in “investigation of Chosun new literature history” written by Baik, Cheol and “Chosun modern literature history” written by Park, Young-hee after the liberation. Baik, Cheol replaced terms of 'transition period' and 'form' which Lim, Hwa used with 'the time of enlightenment' and 'trends'. While Lim, Hwa tried to explore the grounds in which civil culture was formed in Chosun society, Baik, Cheol was concentrated to summarize and introduce multi-layered contents of foreign trends introduced in Chosun society. In addition, Baik, Cheol claimed that modern Chosun literature started in 1923 when the proletarian movement was formed after he classified the period into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Baik, Cheol thought that the main trend was formed in Chosun new literature sharing the flow of global trends. In addition, he described that anxiety and awareness of crisis sprang up before and after 1932 and 1933 when a 'main trend' was lost. “Investigation of Chosun new literature history” was significant, because he described the detailed situations of literary world during the period from 1930s to the liberation. On the other hand, Park, Young-hee comprehensively defined 'Contemporary times of Chosun literature' without using a term of 'modern'. When Park, Young-hee defined 'Contemporary times of Chosun literature', he thought that aspects and situations of national ordeal using Korean education were important. Unlike Lim, Hwa and Baik, Cheol, Park, as Young-hee highlighted Korean language and national awareness, he did not deeply explore the effects of world trends and Japanese literary circles on Chosun literature. Instead, he highlighted the term of 'thought' in the process of description of literature history. He defined the term of 'thought' as the national feeling which sprang together with political awakening of Korean people. In “Chosun modern literature history “, he excluded multi- layered areas which did not converge into 'nation' from the description of literature history rather than being focused on national emotion formed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crisis of the nation. 해방 전후 발표된 한국현대문학사 연구는 한국 문학사의 시대를 규정하는 방식을 제시했다. 또한 현대문학사의 변화 양상을 사유하기 위해 '양식', '사조', '사상'과 같은 개념들을 정립했다. 이를 통해 문학사 연구자들은 전통과 당대(當代)의 관계, 제국 일본을 경유하여 들어온 서구문화와 식민지 조선문화의 관계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을 던졌다. 한편으로 그 작업은 해방 전후의 현대문학사 연구자들이 1930년대 후반의 파시즘적 분위기와 대면했던 양상들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문학사 서술 과정에서 현대문학사 연구자들의 우선적으로 관심을 드러낸 시기는 개항 이후 서구 문명이 유입되던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이었다. 임화는 『신문학사』에서 이 시기를 '과도기'로 규정하며 '구시대와 신시대', '전통과 외래'의 경계를 탐색하려 했다. '과도기'라는 말의 이러한 사용법은 '양식' 개념과도 맞닿아 있었다. 임화는 '양식' 개념을 통해 시민적 문화가 조선 사회에 어떻게 뿌리내리게 되었는가를 근원적으로 살펴보려 했다. 이러한 임화의 문제의식은 해방 직후 집필된 백철의 『조선신문학사조사』와 박영희의 『현대조선문학사』에는 상당 부분 계승되지 않았다. 백철은 임화가 사용했던 '과도기', '양식'과 같은 개념을 '개화기', '사조' 등의 용어로 대체한다. 임화는 시민적 문화가 조선사회에 형성될 수 있었던 지반을 탐색하려한 반면, 백철은 조선사회에 유입된 외래사조의 다층적 내용을 정리하고 소개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백철은 '근대'와 '현대'를 구분한 후 조선문학의 현대는 프롤레타리아운동이 형성되었던 1923년부터 시작된다고 주장한다. 이 시기부터 백철은 조선 신문학에 세계사조와 흐름을 같이 하는 주조(主潮)가 형성되었다고 보고 있다. 그리고 '주조'가 상실된 1932,33년을 전후로 세계 각국의 문단에 불안과 위기의식이 싹트게 된 양태를 서술하고 있다. 『조선신문학사조사』의 의의는 백철이 '현대'라고 지칭한 시기, 즉 1930년부터 해방 직전까지의 문단 상황을 밀도 있게 증언하고 있는 데 있다. 반면 박영희의 경우에는 '근대'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은 채 '조선문학의 현대'를 포괄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박영희는 '조선문학의 현대'를 규정지을 때 조선어문을 사용하게 된 양태와 민족적 수난의 상황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조선어와 민족의식을 부각시켰기에 박영희는 임화 및 백철과는 달리 세계사조 및 일본문단이 조선문학에 미친 영향에 대해 깊이 있게 탐색하고 있지 않다. 그 대신 박영희는 문학사 서술 과정에서 '사상성'이라는 용어를 부각시킨다. 박영희에게 '사상성'은 곧 조선민족의 정치적 각성과 맞물려 싹트게 된 민족 감정을 의미했다. 박영희의 『현대조선문학사』는 민족의 위기/극복 과정에서 형성되는 동류의민족감정을 부각시키는 데 초점을 맞춘 대신, '네이션(nation)' 서사로 수렴되지 않는 다층적 영역을 문학사 서술에서 배재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근대 학문 형성기의 국어국문학 연구 한국 근대 문학사 연구의 형성 과정 -당대(當代) 문학을 규정하는 방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강용훈 ( Yong Hoon Kang )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49 No.-

        In the colonial Chosun, it was in the 1920’s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terature (or ‘art’) and the history started to be contemplated properly. The pioneering achievements of such studies were done in the Ahn, Hwak’s “The History of Chosun Literature”. Ahn, Hwak was to look into the process of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nationals’ psychological phenomena through the history of the literature. In addition, Ahn, Hwak was revealing his position on the contemporary literature in “The History of Chosun Literature”. Kim, Tae-joon’s The History of Chosun Novels, which is the representative study on the history of the literature in the 1930’s also included the contemporary literature in the discussion of the history of the literature. Ahn, Hwak and Kim, Tae-joon were to reveal their critical perception on the contemporary literary order through the studies on the history of the literature.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methods to perceive the contemporary literary situation and to describe the contemporary literary history by Ahn, Hwak and Kim, Tae-joon. This thesis paid attention to the bibliographies that Kim, Tae-joon discloses in his writings out of such differences. With the help of the bibliographies, the result of our analysis showed that the multilayered criticism discourses in the 1920’s had influenced the writing of The History of Chonsu Novels in the 1930’s. Kim, Tae-joon’s The History of Chosun Novels consulted Park, Jong-hwa’s “The Literary Movement in Chonsun after the First World War” and Kim, Ki-jin’s “The Process of Change of Chonsun Literature for 10 years” in many parts in the process to describe the contemporary literature. Kim, Ki-jin and Park, Jong-hwa developmentally succeeded to the outcome of the literary criticism in the 1920’s and described the history of the new literary movement in Chosun. On the contrary, Kim, Tae-joon’s The History of Chosun Novels is the writing that attempted diachronic description of the individual genres of the Chosun literature. In addition, it was the writing which showed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of the academic researches on the Chosun literature. In his writings, there lies the interest in the time of Chosun literature. Because of the interest, Kim, Tae-joon consulted the various references related to the criticism that Kim, Ki-jin and Park, Jong-hwa wrote.

      • KCI등재

        문학용어사전의 형성과 전후(戰後) 문학 관련 개념들의 재편 -식민지 시기 문학용어 정리 작업과의 (불)연속을 중심으로-

        강용훈 ( Kang Yong-hoon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6 사이 Vol.21 No.-

        이 연구는 식민지 시기의 문학 용어 정리 작업인 『개벽』의 「중요술어사전」(1923), 『신인문학』의 「신문문예사전」(1934), 『인문평론』의 「모던 문예사전」(1939~1940)에 담겨 있는 문제 의식을 살펴본 후, 이를 해방 이후 편찬된 단행본형태의 문학용어사전 『현대세계문학사전』(1954), 『세계문예사전』(1955)과 비교하며 문학용어사전의 형성 과정을 재구성해보려고 했다. 문학용어사전을 통해 이 논문은 해방전후 문학 관련 개념들이 어떻게 재편되었는지를 탐색하려고 했다. 식민지 시기 편술되었던 「중요술어사전」, 「신문문예사전」, 「모던문예사전」은 모두 잡지에 연재되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문예용어를 정리하는 작업은 `사전`으로 지칭되었지만 식민지 시기에는 그 작업의 결과가 단행본의 형태로 발간되지는 않았다. 1954년 곽종원이 편술한 『현대세계문학사전』, 백철이 대표 편술한 『세계문예사전』에 이르러서야 문학용어사전은 오늘날과 같은 서적 형태로 간행되기에 이른다. 이 논문은 식민지 시기 개별 문학용어 정리 작업의 문제의식 및 그 용어정리 작업의 수행적 맥락을 살펴본 후, 해방 이후 발간된 단행본 형태의 문학용어사전이 그 문제의식과 어떻게 연결/단절되는지를 추적했다. 식민지 시기 문학 용어 정립 작업을 대표하는 『개벽』의 「중요술어사전」은 1923년 『개벽』에 `문학부`(1회)와 `사상부`(2회, 3회)로 나뉘어 연재되었다. 「중요술어사전」은 표면적으로 당대에 유통되고 있던 문학 및 사상 관련 용어의 의미를 정립하는 저작이었지만, 그 편술 작업의 이면에는 당대의 조선문학에 운동성을 부여하려는 편술자의 의도가 내재되어 있었다. 「중요술어사전」을 편술한 박영희는 역사적 운동을 개념화한 `~ism` 관련 어휘들을 전유하며 확장된 기대지평을 창출하려고 했다. 이후 문학용어 정립 작업을 본격적으로 전개한 매체는 1930년대 후반의 『인문평론』 이었다. 이 시기는 1937년 중일전쟁 이후 제국 일본과 식민지 조선에서 `동아 신질서`에 대한 담론이 활발하게 일어난 때이며 『인문평론』 역시 그러한 담론들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 시국과 관련된 어휘들을 소개하면서도 그 경계에서 문예용어, 혹은 비평적 용어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자리, 그 자리에 바로 『인문평론』의 「모던문예사전」이 놓여 있었다. 한국전쟁이 끝난 직후인 1954~55년 단행본으로 발간된 『현대세계문학사전』 및 『세계문예사전』 은 표면적으로는 세계의 문예지식을 망라하는 백과사전식 구성을 취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문학용어 역시 민족(어)문학 단위로 재편되고 있던 상황이 놓여 있다. 민족문학 단위로 분화된 용어들을 연결시켜 주고 있는 것은 문예사조와 관련된 어휘들이다. 1920년대 『개벽』의 「중요술어사전」에 수록되어 있던 `~ism` 관련 어휘들의 대부분은 두 사전에도 재수록되어 있다. 「중요술어사전」의 어휘들이 상당부분 한국전쟁 직후 발간된 문학용어사전에 계승된 것과 달리, 『인문평론』의 「모던문예사전」에 수록되어 있던 용어들은 많은 부분 그 사전들에 수록되지 않았다. 「모던문예사전」의 핵심적 문제의식을 내포하고 있던 `교양`, `세대`, 그리고 김남천이 정리했던 `모랄`, `세태소설`, `풍속`, `전형`과 같은 용어들에도 『세계현대문학사전』 및 『세계문학사전』은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한국전쟁 직후의 문학용어사전이 재구성하려고 했던 민족문화는 1930년대 후반 조선문학의 고민들과 온전히 대면하지 않는 방식을 통해 비로소 형성될 수 있었던 것이다. 그 대신 이 사전들은 한국전쟁 전후 재편된 문단 제도, 즉 격렬한 좌우 대립의 결과로 탄생한 문단 제도 관련 어휘를 상당 부분 수록하고 있다. 그러나 그 어휘를 서술하는 두 사전의 방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곽종원의 『세계현대문학사전』이 냉전적 질서가 야기한 좌우대립구도를 문학용어사전의 형태로 재생산하려 했다면, 백철이 대표 편술한 『세계문예사전』은 그 구도와 거리를 둘 수 있는 방식을 모색하고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the problems that compilers realized in the process of arranging and defining literary term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ttempted to resolve, based on `Dictionary of Important Predicates (1924)`, `New Writer Literature Dictionary (1934)`, and `Modern Literature Dictionary (1939 - 1940)` . In addition, it was to reconstruct the compilation of the dictionaries by comparing them with two dictionaries, `Modern World Literature Dictionary (1954)` and `World Literature Dictionary (1955)` that were published in book form after independence. With the foregoing,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how literature-related concepts have been redefined before and after independence. The dictionaries of literature terms compil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had one thing in common; they were serialized in magazines. All the glossaries were called `dictionary`, but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y could not be published in book form. The dictionaries of literature terms began to be published in book form, like those of today, as `Modern World Literature Dictionary` was compiled by Jong-Won Gwak in 1954 and `World Literature Dictionary` by Cheol Baek. This study reviewed the respective problems that compilers realized while arranging and defining literary terms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attempted to resolve, as well as to track how their realization and attempt influenced the dictionaries of literature published in book form after independence. `Modern World Literature Dictionary` and `World Literature Dictionary` were published in book form between 1954 and 1955 after independence. Out of their names, however, they reflected social and cultural changes that occurred from independence to Korean War. Ostensibly, the two dictionaries take the form of encyclopedia including all literary knowledge in the world, but internally they rearrange literary terms according to the unit of national (-language) literature. The dictionaries of literature published from 1954 to 1955 show multilayered knowledge on national literature so as to reorganize national culture of those days. The terms, divided as to the unit of national literature, are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by vocabularies related to literary trends. The terms, including a suffix `ism`, were contained in `Dictionary of Important Predicates` in the 1920s and also were contained in the two dictionaries again. The vocabularies in `Dictionary of Important Predicates` are mostly grounded on the dictionaries of literature published after independence, but on the contrary to this, the terms in `Modern Literature Dictionary` published in the late 1930s were not contained in the dictionaries of literature published after independence. It shows that the dictionaries of literature published after independence did not squarely face the trace of Chosun literature in the late 193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