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군포시 청소년 행복 실태조사

        강연미 전국대학교학생생활상담센터협의회 2014 대학생활연구 Vol.2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군포시 청소년들이 느끼는 삶의 질, 행복을 조사하여 청소년 전문기 관으로서 청소년이 행복한 군포를 위한 정책과 사업에 반영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는 청소년들의 주관적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친구, 학교, 자아, 환경요인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청소년용 다면적 학생생활만족척도(K-MSLSS)와 전반적인 행복지 표를 측정하기 위해 청소년 행복지표개발 연구의 주관적 행복지표 중 일부를 사용하였 다. 그 외에 청소년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듣기 위해 주관식 문항으로 청소년들이 자신들 의 행복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 가정과 학교에 바라는 점 그리고 청소년상담복 지센터에 바라는 서비스는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 KCI등재

        청소년의 전문적 도움추구행동 특성 연구 : 도움요청장애요인과 위기경험을 중심으로

        강연미,김희수 한국교육치료학회 2016 교육치료연구 Vol.8 No.2

        이 연구는 심리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전문상담 서비스를 찾지 않는 청소년들의 '서비스 갭' 현상을 줄이기 위해 청소년 1,064명을 대상으로 청소년들의 전문적 도움추구 행동의 특성과 그에 영향을 주는 장애요인, 위기경험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이 중·고등학생보다 상담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가정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지지자원이 많을수록 상담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리고 문제가 생겼을 때 상담을 받겠다는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 점수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가정 경제형편이 하(下)이고, 필요할 때 도와줄 지지자원이 없고, 이전 상담 경험이 있는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문적 도움추구에 관한 척도별 문항 분석결과, 가벼운 정서적인 갈등 상황에서는 상담으로 문제 해결 하는 것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지만, 오랫동안 심각한 문제로 힘든 경우에는 전문적인 도움을 받겠다고 응답했다. 그리고 상담 받고 싶은 내용에서는 ‘진로 선택’에 어려움이 있을 때 전문적 도움을 받겠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셋째, ‘상담에 대한 괴리감’과 ‘학교에 대한 낮은 흥미’가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decrease the ‘service gap’ in counseling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lp-seeking behavior among Korean adolescents, the related barriers and crisis experiences. 1,064 adolescent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he result indicated that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were positively related to elementary students compared 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igher economic level, and more social support. In terms of help seeking intentions, female, lower economic level, lack of social support resources, and previous experience in counseling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Second, participants tend to exhibit negative attitudes towards counseling in case of trivial emotional distress, but expressed stronger intention to seek professional help when it comes to deep seated long term problems and career counseling. Third, ‘negative view toward counseling' and 'lower level of satisfaction on school' could be responsible factors to a negative effect on help seeking behaviors.

      • KCI등재

        사진이미지를 활용한 현대예술장신구 연구

        강연미 ( Yeon Mi K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4

        현대예술장신구는 다른 예술매체처럼 주제와 그 표현방법이 작품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분야이다. 작가의 다양한 의도를 위해 수많은 형태, 재료 및 기법에 대한 실험이 이어져 왔으며, 그 중 사진 이미지의 활용은 사진이가진 객관성과 서술성, 그리고 누구나 쉽게 알아볼 수 잇는 대중성을 담보해 줌으로써 작가가 목표로 하는 내러티브를 공고히 하고 커뮤니케이션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사진이 처음 장신구에 등장한 역사를 조사하고, 현대예술장신구에서는 초기 사진 장신구와는 어떻게 다른 의도들로 사진이 이용되는지 살펴봄으로써 표현매체로서의 예술장신구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세기 중반 처음 사진이 활용된 장신구는 20세기에 들어 사진의 대중화로 인해 특별한 의미를 일혹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가 1960년대 이후부터 활성화 된 현대예술장신구에서 다시 등장하였다. 초기 현대예술장신구 작가들은 장신구의 전통적 개념에 대한 도전, 사회적, 정치적 이슈에 대한 언급을 위한 장치로 사진을 활용하는 경우가 두드러졌으며, 2000년대 들어서면서 작가의 개인적 내러티브를 위해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예술장신구 분야엣는 작품의 주제나 조형적 요소 이외에도 소재를 다루는 기법적 능숙함이 작품의 깊이에 중요한 영향을 기침으로, 작가들은 전통적 사진칠보다 데칼 기법 등 사진을 장신구에 응용하는 자신만의 방법을 연구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응미로운 시험들이 이어져 현대예술장신구의 독특한 표현매체로서의 가능성을 넓히는 역할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Like in any other art media, the subject matter and the way of expression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as well in contemporary art jewelry. For various artists`` intentions, numerous variety of forms, materials and techniques have been expolred. Among theose, the application of photography acts as a effective way of communication by being instantly recognizable and guarnteeing the objectivity and the narrative, which strengthen the artist`s message. This study investigates jewelry as an artistic medium through the research of early history of the photographic images in jewelry and the observation of its reappearance in contemporary art jewelry differentiated from the meaning of the early years. The jewelry with photography in the mid-19th century withered because it lost its exclusivity due to the generalization of photography around the early 20th oentury and reappeared in contemoprary art jewelry which have been proliferated after 1960. ln many case, photographic images in early oontemporary art jewelry were applied for effective expression to challenge the convention of jewelry, comment on social or political topics. Shnce 2000, more artists have applied photographic images to explore personal themes and narratives. ln art jewelry field, besides of themes or formal elements, techniques and the way of handing materials impact significantly on the depth of work, artists continuously explore their own way of application using techniques like traditional photo enamel or ceramic decal. These continuing experiments are expected to broaden and enrich the possibility of contemporary art jewelry as an unique medium for artistic expression.

      • KCI등재

        조선궁궐의 건축구조를 응용한 장신구 문화상품 개발연구-공포(□包)구조를 중심으로-

        강연미 ( Yeon Mi Kang ),현지연 ( Ji Yeon Hy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5

        서울에 위치한 조선의 5대 궁궐은 왕실 건축의 웅장함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한국의 전통적 미감을 그 시대 최고의 건축 기술로 구현한 대표적 관광지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장신구 상품에서 소재로 다루지 않았던 궁궐건축의 공포구조를 활용하여 장신구 문화상품을 개발하였다. 기둥과 처마를 잇는 역할을 하는 공포는 구조적이면서도 장식적이고, 고풍스러우면서도 현대적인 느낌으로 장신구 문화상품의 모티브로 활용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는 공포의 구조적 특징을 입체적으로 살리되, 현대적 감각에 맞게 기하학적 미와 장식적 효과를 적절히 반영하고자 하였다. 공포부분의 조형적 특징을 구성요소들의 반복과 중첩에서 오는 공간감, 수직과 수평, 격자 결합에 의한 대칭적 균형미, 정교한 조각에 의한 전통적 장식미로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신구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조형적 분석을 바탕으로 첫째, 공포의 네 가지 구성부재인 주두, 소로, 첨차, 살미의 형태를 기본단위로 하여 CAD/CAM으로 기초적인 디자인을 제작하였으며, 둘째로, 이 기본 단위들의 결합부분과 지붕형태를 연결하여 궁궐 건축의 전체적 특징을 함축적으로 전달하고자 하였다. 셋째로, 장식적인 안초공 부분을 응용하여 전통적 미감을 극대화하고자 하였고, 넷째로, 공포의 수직적 결합구조를 단순화하여 격자구조의 기하학적 아름다움을 살리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재를 소재로 한 장신구 디자인의 다양한 해석 가능성을 위한 하나의 사례이며, 앞으로 이러한 연구개발이 뒤따를 것을 기대한다. Five magnificent royal palaces located in Seoul are tourist attractions as cultural heritage where Korean traditional aesthetic realized by the highest architectural technology of Joseon dynasty. In this study, a series of jewelry product has developed based on the bracket system of palace architecture which has not been a design motif for jewelry product before. The traditional wooden bracket between pillar and eaves has a potential as a design motif for jewelry product because of it`s aesthetic property; structured yet decorative, traditional yet modern. This study was to properly reflect the geometric and decorative beauty of the bracket system as well as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 The aesthetic values of bracket system are the spatial sense which comes from the repetition of structural elements, the beauties of symmetry from the horizontal and vertical bonding structure, and the traditional decorative beauty from the elaborate engraving. Based on this aesthetic analysis, first, units are made using CAD/CAM based on the shapes of four components, ju-du, so-ro, chum-ja, sal-mi, and assembled into jewelry. Secondly, these units are combined with roof silhouette parts to imply the characteristic of royal place architecture as a whole. Thirdly, decorative an-cho-gong is applied to maximize traditional sense of beauty, and lastly, simplified vertical structure of bracket is applied to enhance the geometrical beauty of lattice structure. This study is a example of diverse possibile interpretations of cultural assets in development of jewelry cultural product and various study and development expected to be followed in the future.

      • KCI등재

        어머니의 청소년기 자녀 진로관여 경험연구

        강연미(Kang Yeon Mi),김희수(Kim Hee Sue) 한국학부모학회 2020 학부모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청소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자녀 진로관여 경험을 분석하기 위해 12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을 적용하였다. 어머니의 진로관여 경험에서 중심현상은 ‘끌어줌과 맡김 사이를 오가며 자녀를 위한 길을 모색함’이었다. 그리고 이를 발생시키는 인과적 조건, 사회․문화적 배경을 포함하는 맥락적 조건, 중심현상에 대처하기 위한 전략과 이 전략을 조절하고 촉진하는 중재적 조건을 밝혔다. 어머니의 진로관여는 ‘집중 및 탐색’, ‘고심 및 시행착오’, ‘반성과 조정’, ‘물러남과 재정의’ 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진로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요인에 초점을 맞추어 어머니의 진로관여 경험의 실제와 특성을 설명하고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청소년 진로지도의 주요 요소인 어머니 개입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mothers’ experience on their involvement in the careers of their adolescent children and develop a substantial theory based on the results. To address the goal, as participants, this author selected 12 mother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The major phenomenon of mothers’ experience in career involvement is ‘to come and go between leading and entrusting and seeking a path for their child.’ This author analyzed actions/interactions influenced by above intervening conditions by time, location,’ ‘consideration and trial and error,’ ‘reflection and adjustment,’ and ‘withdrawal and redefin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concretized the practice and characteristics of career involvement focusing on the inner aspects of a ‘mother,’ the factor crucially influencing adolescents’ career development and explored factors related to it. In this way, this author has been able to provide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for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education.

      • KCI등재

        현대공예의 구상적 표현을 통한 내러티브 유형 연구

        한상덕,강연미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forms of figurative expression in contemporary craft into three types. By analyzing the works of contemporary craft artist in accordance with each category, it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original development of craft as an expression medium. As a research method, the features of theme and the process of the contemporary crafts which develop the story through the figurative expressive methods, were analyzed from the craft's viewpoin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limited to the American and Europe contemporary craft artists. In the mid of 20th century, the spread of postmodernism destroyed the communal ideology and create a culture that emphasized personal feelings. Contemporary craft is influenced by these trends developed into expression media of visualizing personal emotions. The expression is divided into abstraction and figurative expression. Among them, this study analyzed the general definition and the way of how artists convey the story in order to study the aspect of development of the figurative expression. Figurative expression means conveying a metaphorical story through a visual symbol reminiscent of an actual object. While the symbol system of visual symbol has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artist’s intention, this study is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allegory, satire, and fable. In Chapter 3, based on the contents of Chapters 1 and 2, I analyzed 6 contemporary craft artists and examined the specific features of craft as an expression medium. This study analyzed the metaphor and symbols of ordinary sort of day, the conditions of satire, which are allegories according to the type of story to be conveyed, and the aspect of personified expression of characters that is the core of fable. As a result, contemporary craft based on natural materials and sophisticated hand techniques have the attributes of aesthetic value and emotional ties. Therefore, the figurative expression in contemporary craft is not only the formative value, it is concluded that it is an original medium capable of intimate communication of emotions by universality.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공예에 나타난 구상적 표현을 통한 내러티브의 유형을 분류하고 이를 통해 관련 작가들의 작품을 분석하여 표현매체로서 현대공예의 독창적인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구상적 표현방식을 통해서 이야기를 전개하는 현대공예 작품의 주제 및 제작 과정의 특징을 공예의 시각에서 분석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현재 활동하는 미국과 유럽의 현대공예 작가로 한정하였다. 20세기 중엽 포스트모더니즘의 확산으로 인해 공동체적 이데올로기가 파괴되고 개인의 감정과 내면을 중시하는 문화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시류에 영향을 받은 현대공예는 개인의 감정을 드러내는 표현매체로 발전하였다. 표현 매체는 추상과 구상표현으로 크게 나뉘는데 이 중 구상적 표현은 실제 대상을 연상시키는 시각 기호를 통해서 은유적인 이야기를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시각 기호의 내러티브는 작가의 의도에 의해 여러 형식을 보이는데 이는 알레고리, 풍자, 우화의 세 가지의 유형으로 나뉘며 이를 바탕으로 6인의 현대공예 작품을 해석하여 표현매체로서 현대공예의 특징과 성격을 구체적으로 살펴 볼 수 있다. 알레고리에는 일상의 고통을 장신구로 표현한 스미스와일용 기물의 메타포를 다루는 밈리취-그레이, 풍자에는 비즈공예 기법을 활용하여 사회적 문제를 고발하는 스콧과 현대인의 삶을 유머러스하게 표현한 메트캐프, 우화에는 뜨개질 옷을 입힌 의인화된 동물의 판 데어 레스트와 인간의 이면을 표현한 시각 이미지를 입체위에 덧씌워 초현실적인 캐릭터를 창조하는 이수포프를 대표적인 현대공예 작가로 들 수 있다. 이들은 표현 의도와 형식에는 차이를 보이지만 재료에 중심을 두며 정교한 손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공예의 속성을 통해 독특한 조형성과 정서적인 유대를 구현하였다는 공통적인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분석은 현대공예에서의 구상적 표현은 조형적 가치뿐만 아니라 크기나 형식의 고유한 보편성에 의해 감정의 내밀한 소통이 가능한 독창적인 매체라는 결론을 나타낸다.

      • KCI등재

        국내 공방 주얼리의 인식 확산과 판매 촉진을 위한 SNS 활용의 필요성 –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하보나,강연미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6

        This study is a research on the need and the importance of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to promote sales of studio jewelry and to spread public awareness among consumers. To date, the sales of studio jewelry is still mainly done offline and is limited to places where a small number of people visit, such as galleries and craft fair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promote or sell the jewelry works to many potential customers who are unfamiliar with studio jewelry. The jewelry market today is seeing an increasing number of consumers prefer sophisticated, sensual and hand-crafted designs. Meanwhil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industry, the online distribution market including the Internet and social media is rapidly growing due to the consumers’ demand of speed and convenience. Among many other social media, Instagram is the most commonly used social media channel when looking at various trends and is already used as a major means of Social Media Marketing in many other industries as it is favored by young and unique individuals in their 20s and 30s. However, from the survey of local craft artists, the main purpose of using Instagram was for private communica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lack of awareness as a marketing tool for sales activation. This is considered to be a significant cause of economic difficulties due to sluggish sales of studio jewelry. Social Media Marketing can cause great effect at low investment, and real-time communication enables fast and accurate understanding of consumer's needs, resulting in high reliability. This can be said to be a specialized part of studio jewelry that can be customized. Through this research, we hope that the studio jewelry industry will be able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need of using influential and wide-spread social media, especially Instagram, and establish strategic marketing plans to promote sales and public awareness of studio jewelry. 본 연구는 소규모 공방 주얼리의 판매 촉진과 소비자들의 대중적 인식 확산을 위한 SNS 활용의 필요성과 그중요성에 대한 연구이다. 현재까지 공방 주얼리의 판매 방식은 주로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갤러리나공예 페어 등 다소 적은 인원이 방문하는 장소로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공방 주얼리에 생소한 불특정 다수의잠재 고객에게는 홍보나 판매가 쉽지 않아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요즘 주얼리 시장은 세련되고 감각적이며 수공예적인 느낌의 디자인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정보 통신 산업의발달에 따라 신속성과 편리성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니즈로 인터넷과 SNS를 포함한 온라인 유통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그중 인스타그램은 각종 트렌드를 살펴볼 때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20~30대의 개성 있는젊은 층이 애용하는 SNS 채널로서 이미 여러 산업 분야에서 SNS 마케팅의 주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공예 작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인스타그램의 주 목적은 사적인 소통 공간으로 이용되고있으며, 매출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수단으로서는 인식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공방 주얼리 분야의 매출 부진을 초래하여 경제적인 어려움이 될 수 있는 중요한 원인으로 판단된다. SNS는 적은 투자비용으로 큰 효과를 누릴 수 있으며,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여 소비자의 니즈를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높은 신뢰도를 얻을 수 있다. 이는 주문 제작이 가능한 공방 주얼리에 특화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연구를 통하여 공방 주얼리 분야가 영향력 있고 넓은 파급력을 지닌 SNS, 특히 인스타그램의 필요성을 정확히이해하고 전략적인 마케팅 방안을 세워 매출 활성화와 공방 주얼리에 대한 소비자들의 대중적 인식 확산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토네 비겔란드 장신구의 유닛구조와 표현 - 1970~90년대를 중심으로

        박지은,강연미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유닛 구조를 활용한 토네 비겔란드의 작품세계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현대 예술 장신구 분야에서 작가의 의식이 공예 표현과 어떻게 상호 작용이 되는지 살펴보고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유닛의 표현 특징인 대비와 반복의 이론적 고찰과 현대 예술 장신구에서 표현된 유닛 활용 사례를 선행 연구하였다. 다음으로 비겔란드의 작품집과 다양한 문헌 연구를 통해 1970년대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비겔란드 장신구의 유닛 형태와 구조를 연구하고 그 안에내포된 의미와 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토네 비겔란드의 유닛은 1970년대 본격적으로 구체화되어 착용을 전재로 몸의 윤곽과 움직임에 따른 유연한 흐름을 만드는데 효과적으로 적용되었다. 그는 금속공예의 재료와 기법을 토대로 유닛 형태와 체인 메일링을 비롯한 연결 방식을 연구하며, 장신구에 강렬한 힘과 부드러움의 대비 효과를 동시에 반영하였다. 비겔란드 유닛의 조형적 특징은 정적인 것과동적인 것, 원시미와 세련미, 크기의 대조, 단단함과 부드러움의 대비적 표현이다. 이러한 특징은 북유럽의 거대한 자연에서 받은 시각적 영향과 여성으로서 느끼는 딜레마에서 비롯되어 비겔란드 장신구의 독창성을 만들었다. 특히 압도적인 모습의 그의 장신구는 강렬한 발언에 대한 인식과 함께 유닛 구조를 통한 섬세한 공예 표현을 보여준다. 스스로 공예 표현의 가능성을 열고자 했던 비겔란드는 공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작가적 사고와 착용의 목적성을 더해 독특한 정체성을 만들었다. 토네 비겔란드의 유닛을 활용한 작품세계의 분석은 현대 예술 장신구의 표현 확장에 있어서 공예 재료와 기법이 다양한 표현과 작가 사고의 전달력에 있어서 충분한 역할을 한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orld of Tone Vigeland's works using unit structure, and based on this, examine how the artist's consciousness interacts with craft expression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art jewelry and broaden understanding. As the research method,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contrast and repetition, which are the representation characteristics of unit, and the case of unit utilization expressed in modern art ornaments were first studied. Next, from the 1970s to the mid-1990s, the unit form and structure of the Vigeland's jewelry were studied through the works of Vigeland and various literature studies, and the meaning and expression aspects contained in it were analyzed. The unit of Tone Vigeland had been adapted to lithe flow by contour and movement of the body since having been specified in 1970’s in full-scale. Based on material and metal craft techniques, she examined the unit structure and connecting method, including chain mailing, and reflected the contrast of strongness and softness simultaneously. Formative features of the Vigeland's unit are statics and dynamics, primitive aesthetics and modern sophistication, scale comparison and hardness and softness. These characteristics have resulted from the visual influences received from the great nature of Northern Europe and the dilemma felt as a woman, creating the originality of Vigeland's jewelry. In particular, his overpowering jewelry shows his delicate craftsmanship through unit structure, along with his perception of strong remarks. Vigeland, who wanted to open up the possibility of craft expression on her own, created a unique identity by adding artist's thought and purpose of wearing based on his understanding of crafts. The analysis of the world of works utilizing the unit of Tone Vigeland shows that craft materials and techniques play a sufficient role in the transmission power of various expressions and artist thinking in the extension of expression of contemporary art jewel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