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RISS
RISS 처음 방문 이세요?
고객센터
RISS 활용도 분석
최신/인기 학술자료
해외자료신청(E-DDS)
RISS API 센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강시환,최제국,Kang, See Whan,Cho, Jei Kook 한국해양학회 1984 韓國海洋學會誌 Vol.19 No.2
黃海의 海上風에 의한 重力波의 波高와 週期를 SMB法을 使用하여 計算 하였다. 그리고 黃海에서 樹勢한 北西風과 南西風이 40knots에 달할 때의 波浪活動 에 의한 海底流速과 海底剪斷應力을 線形波浪理論과 Kajiura(1968)의 暖流振動境界層分析에 의해 구하였다. 計算 缺課를 보면 韓半島의 西海沿近海域 에서 가장 큰 海波와 剪斷應力의 分布를 보이며 이로 인하여 沿近海底面이 持續的인 影響를 받고 있음이 나타났다. The amplitudes and periods of wind-driven, surface gravity waves in the Yellow Sea, were calculated using the SMB hindcasting method. Bottom orbital velocities and bottom shear stresses were then calculated on the basis of linear wave theory and Kajiura's (1968) turbulent oscillating boundary layer analyses. These calculations were made for northwesterly and southwesterly winds with a steady speed of 40 knots. The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wide offshore areas along the western Korean Peninsula are persistently subjected to the strong wave action and bottom shear stresses produced by the prevailing winds.
강시환,Kang, See Whan 한국해양학회 1983 韓國海洋學會誌 Vol.18 No.1
堆積物 流動의 再現과 豫測을 위한 數値模型의 開發에는 堆積物의 浮上機作 과 沈澱過程의 究明이 先決要件이 된다. 따라서 이의 究明을 爲한 一蓮 의 水理實驗이 企圖하였다. 硏究結果, 堆積物의 浮上은 전단응력과 퇴적물에 함유된 수분량 및 堆積物의 구성종류에 따라 좌우되고 있음이 밝혀 졌으며, 침전은 퇴적물의 농도와 점토광물질의 함유량에 따라 크게 변하고 있음이 밝혀 졌다. A series of experiments was performed to increase and make our puantitive understanding of the entrainuent and settling processes of fine-grained sediments, which are of critical importance to construct a predictive model of sediment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an annular flume. A rotating top produced a turbulent flow which in turn exerted and are shown to be dependent on the sediment concentration and the presence of clay minerals. The parameters on which entrainment strongly depends were identified to be the shear stress, water content (time ofter deposition), and the type of sediment (grain size and mineralogy).
강시환(Kang, See-Whan),안석진(Ahn, Suk-Jin),엄현민(Eom, Hyun-Min),조휴상(Cho, Hyu-Sang)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9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1 No.4
파랑이 흐름이 강한 해역으로 전파되면 파랑-흐름 상호작용에 의해 파고, 파형, 스펙트럼 등 파랑특성의 변형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가로림만해역을 대상으로 조류의 강한흐름과 조차로 인한 수심 변화가큰 경우 입사 파랑의 천해파랑 변형을 SWAN 모형으로 수치모의 실험하였다. SWAN모형의 실 해역 적용에 앞서 강한 흐름에 의한 천해 파랑스펙트럼 변형에 대한 이론적 해석해(Suh et al. 1994)와 모의결과를 비교, 검증한 결과 잘 일치하였다. 가로림만 외해역의 설계파랑인 NNW방향의 주기 8초와 10초, 입사파고 3 m에 대한 모의실험 결과에 의하면 만 입구지점에서 최대 1.4 m/s의 낙조류와 파랑이 상호 역방향으로 만나 파고가 약 40%까지 증가되었고, 이와 반대로 최대 1.1 m/s의 순방향인 창조류의 경우에는 26%정도 감소하였다. 본 실험결과에 의하면 가로림 만입구의 협 수로에서는 항시 강한 조류의 흐름이 있기 때문에 설계파 산정에 있어 파랑-해류의 상호작용에 의한 파랑변형이 가장 중요한 결정요소인 것으로 판단된다. Wave-current interaction due to strong ambient currents causes to alter wave properties such as wave height, wave profile and wave spectrum. In this study we first examined the SWAN model's applicability by comparing with an analytical solution of Suh et al. (1994) for wave-current interaction in finite water-depth. Numerical experiments using SWAN model have been conducted for Garolim Bay to estimate the design waveheights influenced by strong tidal currents. For the design wave periods of 8~10 sec, the design wave height of 3 m in NNW direction was increased by up to 40% when the incident waves encounter the opposing currents of 1.4 m/s while the wave height was reduced by 26% due to the following currents of 1.1 m at the bay mouth.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effect of wave-current interaction must be included to determine the design wave height if there exists a strong current.
강시환(Kang See Whan),전기천(Jun Ki Cheon),한성대(Han Sung Dae)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04 한국해양환경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4 No.-
Typhoon 0314(Maemi) caused a severe storm surge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especially in Masan- Jinhae Bay. The tide gage in Masan Port recorded the maximum surge height of ~ 2.3m which is a record of the extreme surge height for the last 100 years since the opening of Masan port. In order to obtain the maximum surge height for the design of storm-surge defence structures on the Masan Coast, the storm surge caused by typhoon "Maemi" was hindcasted using a fine-scaled regional model. The hindcasted surge heights were compared with the observations. The result shows that they are in a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storm-surge heights.
마산ㆍ창원 하수종말 처리장의 해양방류 처리수에 대한 초기ㆍ근역 희석연구(Ⅰ)
강시환(See-Whan Kang),유승협(Sung-Hyup You),오병철(Byung-Cheol Oh)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1999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Vol.2 No.2
본 논문에서는 국내 최초로 수중확산관을 통해 하ㆍ폐수 1차 처리수를 해양방류하고 있는 마산ㆍ창원 하수종말처리장의 해양방류수에 대한 초기ㆍ근역 희석률을 현장관측과 CORMIX 모형계산을 통해 비교 검토하였다. 수섬 15m 내외의 방류수역에서 수온약층이 수섬 4m-6m에서 형성된 1998년 하계에 관측된 염분도로부터 희석률을 구하였으며, 또한 해수밀도의 수직분포와 해류자료를 입력하여 모형으로부터 하ㆍ폐수 플륨의 이동확산 양상과 초기희석률을 계산하였다. 방류지점의 관측된 염분도 분포로부터 구한 희석률은 32~48이며, 모형에 의해 계산된 초기ㆍ근역 희석률은 29~43으로 두 결과 모두 매우 낮은 하계 소조시의 희석률을 보이고 있다. 이는 조류가 약한 소조기의 정체 시에는 방류수에 포함된 오염물질로 인해 해양방류수역의 수질오염이 더욱 가중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In this paper, we have obtained the initial and near-field dilution rates of wastewaters discharged from the ocean outfall of Masan-Changwon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from both of field measurements and CORMIX model simulations. In the summer of 1998,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profiles was measured at 16 stations in the vicinity of the Masan outfall and the dilution rates were analyzed by salinity deficit method. The transport of the wastefields and their initial dilution rates were calculated by CORMIX model using field data as model input. Both of observed and predicted results are shown in very low dilutions with the range of 32~48 from the field data analysis and 29~43 from the model prediction, respectively. This indicates that the water quality in the Masan outfall area can be worsening due to the low dilution rates of diswastewaters, especially. when the ambient currents are very weak in a neap tide and ambient water density is highly stratified in sum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