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의 입을 여는 의식 비교 연구

        강승일 ( Kang Seung-il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6 서양고대사연구 Vol.44 No.-

        고대 근동 세계의 두 거대 문명인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에서 모두 신상의 입을 여는 특별한 의식이 행해졌다. 그런데 이 두 지역에서 행해지던 입을 여는 의식은 두 지역 사이의 상당한 지정학적 거리와 문화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기본 개념과 절차에 있어서 상당한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비록 입을 여는 의식에 대한 연구는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 모두 각자의 학문의 영역 내에서 주로 진행되어 왔으나, 그 유사성으로 인하여 일부 학자들은 둘 중 한 지역의 입을 여는 의식이 다른 한 지역의 것에 영향을 주었다는 주장을 제기하여 왔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구체적인 증거 없이 주로 추정에 근거를 두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고는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 두 지역의 입을 여는 의식 사이에 연관성이나 영향 관계가 있었는지, 아니면 각 지역에서 독립적으로 기원하여 발전하게 된 것인지를 최초로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많은 비교 연구들이 그 동안 해 왔던 것과 같은 세부적 절차의 유사성과 차이점들을 단순 나열하는 방식을 지양하고, 두 지역의 입을 여는 의식 사이의 근본적인 개념과 형성 배경의 차이를 공시적, 그리고 통시적 비교를 통하여 파악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 두 지역의 입을 여는 의식은 상호 연관이나 영향없이 각자의 고유의 문화를 반영하는 독립적 기원과 발전을 가진 의식이라는 사실을 밝혀준다. 그리고 어떻게 유사한 의식이 독립적으로 발생할 수 있었는지를 사후세계에 대한 두 지역 공통의 관념을 바탕으로 설명해낸다. The so-called Opening of the Mouth ritual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rites in the two major ancient civilizations, Egypt and Mesopotamia. Despite the geographical distance between the two regions, the ritual in both cultures exhibits considerable similarities in its basic concept and procedure. Research on the ritual has mostly been carried out within the context of each individual field, Egyptology and Assyriology, respectively, but there are some scholars who argue for the influence of one culture over the other. A close examination, however, would demonstrate that these arguments are based on assumptions without any concrete evidence. This essay investigates whether there is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Mouth Opening rituals as practiced in Egypt and Mesopotamia, or whether they originated and developed independently. In terms of methodology, this study distinguishes itself from the conventional way of research, that is to say, compar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regarding small details of a ritual; rather, it tries to delve into the fundamental disparities in the basic concept and world-views of the ritual on a synchronic and diachronic basis. Its results will demonstrate that the ritual as practiced in Egypt and Mesopotamia originated and developed independently without any sign of influence from or over each other, and furthermore explain the ritual's incep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shared concept of afterlife of the two cultures.

      • KCI등재

        드보라의 노래에 나타나는 난해절들의 번역과 그 역사적 배경

        강승일(Seung-Il Kang) 한국구약학회 2021 구약논단 Vol.27 No.3

        The oldest songs in the Old Testament are commonly called “ancient Hebrew poetry.” These records include the Blessing of Jacob (Gen 49), the Song of the Sea (Exod 15), the Blessing of Moses (Deut 33), the Song of Deborah (Judg 5), the Prophecy of Balaam (Num 24), the Song of Habakkuk (Hab 3), David’s Victory Song (2 Sam 22 = Ps 18), and Psalm 68. These ancient Hebrew poems are likely to contain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he history and religion of early Israel. However, as they are old records, the grammatical features of the pre-Classical Hebrew period are extant, and as much of the text has been damaged during the textual transmission,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their meaning accurately. This study presents my own translation of verses 2 and 7 in Deborah’s songs (Judg 5), which are the most difficult to interpret, and analyzes their historical context. In general, verse 2a has been understood to be a description of long hair, but I translate verse 2 through in-depth textual criticism as follows: “When the leaders in Israel took the lead, when the voluntary ones among the soldiers volunteered, bless the Lord!” Also, I translate verse 7 as follows: “The warriors stopped. They stopped in Israel, until you arose, Deborah, until you arose, mother of Israel.” My translation suggests the following about the text’s historical context. Israel was under the economic control and oppression of the Canaanites, and there were no outstanding warriors to fight against the Canaanite forces. In such a situation, a female warrior Deborah appeared and led the war to victory. Therefore, verse 7 functions as a turning point in the whole of Deborah’s song.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accurate translation and analysis of ancient Hebrew poems, in addition to the Song of Deborah, will be done to further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and religion of early Israel.

      • KCI등재

        아마르나 국제 시대의 외교 사절 - 면책특권과 재외공관의 설치 문제

        강승일 ( Kang¸ Seung-il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2020 서양고대사연구 Vol.59 No.-

        지금으로부터 3400여년 전, 고대 근동 세계에서는 전례 없는 국제공동체가 형성되었다. 아마르나 시대라고 불리는 이 시기에는 국가들 사이에 외교 사절의 교류를 통하여 상당한 수준의 외교적 관계가 형성되었다. 본 연구는 아마르나 국제 외교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인 다음의 두 가지 질문 즉, ‘외교 사절에게 면책특권이 있었는가’, 그리고 ‘사절이 머무는 재외공관이 설치되어 있었는가’ 하는 문제들에 대한 해답을 찾아봄으로써, 아마르나 시대의 국제 외교 시스템이 어느 정도 발달되어 있었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아마르나 시대의 외교 사절들이 오늘날과 같은 외교관의 면책특권을 누리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아마르나 사절은 오늘날과 달리 접수국의 왕의 허락을 받아야 본국으로 돌아갈 수 있는 제약이 있었으며, 실제로 바빌로니아, 미타니의 사절들이 파라오에 의하여 이집트에 억류된 사례들이 있다. 또한 일부 학자들이 사절이 상주할 수 있는 공관이 설치되어 있었다고 주장하는데 반해, 본 연구는 미타니의 사절들이 왕비가 거주하던 장소에 머물러 있었다는 점을 들어 이집트에 외국 사절이 머물 수 있는 재외공관은 따로 존재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비록 아마르나 시대 고대 근동 세계가 인류최초의 국제 공동체를 형성하였고, 외교 사절의 교류를 통하여 외교가 각 지역의 강대국들 사이의 관계 형성 및 유지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는 체제를 구축하였지만, 아마르나 국제 공동체는 오늘날처럼 정교하게 제도화된 외교 시스템을 갖추지는 못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More than 3,400 years ago, an unprecedented international community was formed in the ancient Near East world. In this period, called the Amarna period, a considerable level of diplomatic relations was established through diplomatic exchanges among the major powers. This study examines the following two questions that are essential to understanding Amarna's international diplomacy: whether or not the envoys had diplomatic immunity and whether or not the embassies were indeed established? This study shows that diplomatic envoys in the Amarna period did not enjoy the immunity of diplomats as they do today. Unlike today's ambassadors, envoys were sometimes restricted from returning to their home countries. In fact, some messengers from Babylonia and Mitanni were detained in Egypt. In addition, some scholars argue that embassies were established where envoys could reside, but this study shows that it is not true. The evidence for this is that envoys from Mitanni had to stay in the queen's palace. Based on these observations, although the ancient Near East formed the first international community and established a system in which diplomac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good relations among the major powers, the Amarna international community did not have a sophisticated institutional diplomatic system as it exists today.

      • KCI등재

        침의 주술적 및 생명 부여의 기능 - 고대 근동의 창조이야기와 예수의 치유기사를 중심으로

        강승일 ( Kang Seung-il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5 서양고대사연구 Vol.40 No.-

        인류의 보편적 삶 속에 녹아 있는 침의 상징적 의미와 기능은 매우 다양하다. 특히 침이 다양한 주술 행위들에서 질병 치료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곤 했음이 여러 인류학자들의 연구 결과에 의하여 밝혀졌다. 그러나 인류학자들이 밝혀낸 침의 여러 실용적, 상징적, 주술적 기능과 의미들 중에서 아직 발견되지 아니한 독특한 기능이 고대 근동의 신화들에서 나타난다. 메소포타미아의 아트라하시스 신화에서 죽은 신의 피와 진흙에 신들이 침을 뱉어 인간을 만들어 낸 이야기, 그리고 이집트의 투린 파피루스에 기록된 신화에서 이시스가 흙에 침을 섞어서 뱀을 만들어낸 이야기 등은 분명 침 안에 생명을 주는 창조의 능력이 있음을 보여주는 예들이다. 그리고 이러한 전승은 메소포타미아 창세 신화와 무관하다 할 수 없는 창세기의 인간 창조 이야기를 거쳐서 예수의 침을 이용한 치유 기사에 이르기까지 그 개념적 바탕에 어느 정도 자리를 잡고 있다. 예수가 진흙에 침을 뱉어 맹인의 눈에 발라서 눈을 뜨게 한 요한복음의 기사에서 예수의 치유 행위는 창세기에서 하나님이 아담을 창조할 때를 연상하게 하면서 사람들의 경멸의 대상이었던 맹인에게 새 창조의 회복을 선사해 주는 것을 의미한다고볼 수 있다는 것이다. 침이 창조의 능력을 지닌다는 생각의 기원을 피라미드 문서 527을 근거로 정액과의 유비를 통하여 설명한 바 있다. 하지만 사실 이것은 고대 이집트 문헌의 증거로만 확인될 뿐이다. 이러한 이집트의 독자적인 개념적 발전 이전에 침의 상징적, 주술적 기능의 기저에 깔린 보편적 원리는 아마도 공감주술의 원리일 것이다. 공감주술의 원리를 따르자면 침은 그 침을 뱉은 자의 속성을 담고 있다. 그러므로 생명을 창조하는 능력을 가진 신의침 역시 생명을 부여하는 능력을 그대로 지니고 있다고 여겨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고대 근동과 예수의 치유 사역에 나타나는 침의 주술적 기능에 관하여 살펴보고, 침이 그러한 기능을 가진 것으로 여겨질 수 있었던 개념적 원리를 파악해 보았다. 고대 근동의 창세 신화에서는 인류학자들의 민족지들에서 발견되지 아니하는 침의 생명을 부여하는 기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고, 이는 예수의 맹인 치유 사건에서도 찾아볼 수 있었다. 침이 생명과 관련되어질 수 있었던 원리에 대하여는 보편적으로 공감주술의 개념이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며, 특별히 이집트인들은 한 단계 더 나아가서 침과 정액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침의 생명을 주는 기능에 대한 개념을 발전시켰다고 정리할 수 있다. Spittle has a variety of meanings in many cultures, ancient and modern. Anthropologists have reported deep-rooted belief in the magical healing power of human spittle. However, spittle has another important aspect that has not been discovered by anthropologists, that is, life-giving power. Especially, the creation stories in the Atra-Hasis epic and in the Egyptian Turin Papyrus clearly display this divine quality of spittle. This tradition serves as the conceptual background for the Genesis account of human creation and the healing narratives of Jesus Christ. In the story of the healing of a blind man in the Gospel of John, Jesus, by evoking God's creation of Adam in Genesis, used his saliva to transform the blind man formerly held in contempt into a newly created being. Based on the Pyramid Text 527, it is likely that the idea of the life- giving aspect of spittle may have originated in Egypt by analogy with semen. However, apart from the Egyptian concept, there is a common theory of the symbolic and magical power of spittle: the theory of sympathetic magic, according to which spittle has the properties of the person who spits it out. Therefore, the divine saliva retains the creative power of the gods who create the world. This essay investigates the magical meaning of spittle in the ancient Near East and in the healing of Jesus Christ, and makes an attempt to formulate a theory that can explain such a function of spittle. A distinctive feature, the life-giving power of spittle, emerges in the creation myths of the ancient Near East and in the healing of a blind man in the Gospel of John as well. Life-giving qualities could be attributed to spittle according to the laws of sympathetic magic, and the Egyptians developed the same idea of spittle by analogy with semen.

      • KCI등재

        망자(亡者)와의 대화, 강령점(降靈占)과 두개골

        강승일 ( Kang Seung-il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3 서양고대사연구 Vol.34 No.-

        대부분의 문화권에는 사후 세계에 대한 관념이 있었고, 또한 죽은 사람의 영혼이 아직 이승에 남아있는 사람들의 삶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죽은 자와의 접신을 통한 점술, 즉 강령점(降靈占)은 여러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발견된다.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는 흔히 강령점에 두개골이 사용되었다는 증거가 나타나는데, 두개골은 아마도 죽은 자의 귀신이 나타나서 말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매개체였을 것이다. 흥미롭게도 점술에 두개골을 사용하는 풍습에 대하여 메소포타미아 다음으로 가장 많은 흔적을 보여주는 것은 훨씬 후대의 유대교 문헌들이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두개골 강령점의 기원을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찾고 있다. 그러나 사실 두개골 강령점의 고고학적 흔적은 이미 그보다 수천 년 이전 시리아-가나안 지역에서 발견된다. 그리고 본 논문은 이 지역 출신인 아무루 인들의 메소포타미아 이주와 함께 두개골 강령점이 메소포타미아로 유입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구약성경은 강령점에 대한 강한 적개심을 나타낸다. 이는 오히려 그만큼 강령점이 야훼 신앙을 위협할 만큼 널리 행해지고 있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강령점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개역성경에서 ‘신접한 자’로 번역되는 히브리어 오브(□□□)는 사실은 ‘조상’을 가리키는 아브(□□)의 모음을 경멸적인 의도로 변경한 단어이다. 이는 일차적으로는 조상의 귀신을 가리키던 용어였지만, 때로는 그 의미가 확장되어 강령점에 사용되는 두개골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었던 듯하다. 구약성경에 두개골 강령점의 명확한 증거는 거의 없으나, 역대기상 10장에 사울의 두개골을 다곤 신전에 매달았다는 언급은 두개골 강령점에 대한 경고와 반감을 드러내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Necromancy by means of a human skull appears to have been more widely practiced than previously thought. Many scholars trace the origin of necromancy by means of a skull in ancient Mesopotamia, but the archaeological discovery of neolithic skulls from Jericho and other areas in Syria and Jordan suggests its Canaanite origin. It is likely that the use of skull for necromancy was brought into Mesopotamia with the Amorite expansion in the third millennium BCE. The Hebrew term □□□, which is generally translated as a ‘necromancer’’ in Korean Bibles, is in fact derived from □□ “the ancestral spirit.” The alteration of the vowel reveals the biblical author’s contempt for the practice of necromancy in ancient Israel. The term □□□ mostly indicates the ghost of dead ancestors, but it sometimes appears to be a type of image used for housing the ghost. The best candidate for such an image is a human skull as shown in the vast amount of literature from ancient Mesopotamia down to rabbinic Judaism. There is no explicit evidence for the use of skulls in necromancy in the Bible. However, the report in 1 Chronicles 10 that the Philistines fastened Saul's head in the temple of Dagon is interpreted in this essay as a polemic against necromancy by means of a human skull.

      • KCI등재

        구약성서, 고고학, 도상학의 활용과 한계

        강승일 ( Kang Seung Il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3

        본 연구는 고대 이스라엘 역사와 종교를 연구하는 데 가장 중요한 세 분야, 즉 성서학, 고고학, 도상학의 증거 자료로서의 활용과 그 한계가 무엇인지 분석한다. 구약성서는 시대착오적 기록, 배타적, 선별적, 기원론적 특징으로 인하여 해석의 과정 없이 문자 그대로 역사 재구성에 활용되기 어렵다. 고고학은 편집되거나 신학적으로 의도되지 않은 자료로서 고대인들의 문화를 보다 생생하게 알려준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고고학 자료는 종교적 관념이나 신학적 체계 등을 묘사할 수는 없다. 도상학 자료는 종교엘리트들의 산물인 성서를 통해서는 알 수 없는 민간 신앙의 한 단면을 볼 수 있게 해준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성서보다 객관적인 자료라고 종종 주장되기도 하는 고고학과 도상학 자료들도 사실은 성서와 마찬가지로 해석의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그러므로 이 세 분야의 연구자들이 서로의 장점과 한계를 분명히 인지하고, 신중하고 올바른 방법론을 가지고 자료를 활용해야 한다. 성서, 고고학, 도상학, 이 세 분야의 자료들이 서로 공유되고 적절하게 활용될 때 고대 이스라엘의 감추어져 있던 모습들이 보다 생생하게 우리 앞에 드러날 수 있게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strength and limitations of the resources of the Old Testament, archaeology, and iconography in the study of the history and religion of ancient Israel. The Old Testament cannot be taken at face value due to its anachronism, and polemical, selective, and etiological nature. Without having been theologically manipulated, archaeology can reveal the ancient culture vividly. However, archaeology cannot inform the religious concepts and theology of the ancient people. Iconography shows many aspects of popular religion which the Old Testament cannot provide. However, archaeological and iconographic materials should also be subject to interpretation, just as the Old Testament is. Therefore, the researchers in all these three areas must acknowledge the strength and limitations of their own disciplines, and approach with a sound methodology. Only when the materials of all three areas are properly shared and utilized, the hitherto unknown characteristics of ancient Israelite religion and history will be revealed to us.

      • KCI등재
      • KCI등재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점성술과 구약성경에 나타나는 그 흔적들

        강승일 ( Kang Seung-il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1 서양고대사연구 Vol.29 No.-

        This essay examines the history of Mesopotamian astrology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strological practices in ancient Israel. It also investigates whether astrology in ancient Israel was influenced by Mesopotamian practices, and why the authors of the Hebrew Bible suppressed astral cults as well as astrology. Celestial divination originated in the third millennium BCE, but its systematic development began in the Old Babylonian period, culminating with the compilation of the astrological omen series titled Enuma Anu Enlil in the first millennium BCE. From the time of the Archaemenid period, earlier nativity omens developed into horoscopy in which the position of planets are calculated at the time of a person's birth. Mesopotamian astrology was not a sort of superstition, but the expression of the Mesopotamians'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of the universe, the divinehuman relationship, and their worldview. Though not a widespread phenomenon, evidence suggests that astrological divination was not entirely unknown in ancient Israel. While Ann Jeffers argues that astrology was native to Palestine, it appears to me that Israelite practices of astrology were heavily influenced by the strong Assyrian military presence in Palestine in the 87th centuries BCE. The astral character of the Israelite pantheon may also have facilitated the proliferation of Mesopotamian astral cults. Only against this backdrop can be understood the Bible's suppression of astrological practices as well as harsh criticism on the worship of the moon, sun, and stars.

      • KCI등재

        제주도 화산성 암설구의 분포 및 유형

        강승일(Seung Il Kang) 제주학회 2015 濟州島硏究 Vol.43 No.-

        화산성 암설구는 화산체의 불안정한 측면이 마그마의 관입이나 지진 등에 의해 붕괴되어 지표로 이동하면서 형성된 수 개~수백 개의 반구형 퇴적지형이다. 제주도에는 가세오름, 과오름, 검은오름, 동검은이오름, 당오름, 돌오름, 둥지오름, 따라비, 모지오름, 물오름, 민오름, 부대오름, 송악산, 용눈이오름, 원당봉, 좌보미, 지미봉, 제오름 총 18개 지역에 화산성 암설구가 발달하고 있다. 한라산을 기준하여 동부 14개 지역, 서부 4개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동부지역의 구좌읍, 표선면 일대(해발 200m~400m)에 집중되고 있다. 발달방향은 경사도가 낮은 해안가 방향이 우세하다. 분석구와 화산성 암설구 의 구조적 관계가 뚜렷한 곳은 총 14개 지역으로 화산성 암설구의 형성 프로세스에 따라 seoria raft형(SR형) 4개 지역, VOLCANIC DEBRIS AVALANCHE형(VDA형) 10개 지역으로 분류하였다. 분포 범위는 SR형이 VDA형보다 평균거리, 최장거리, 최단거리가 긴 특징을 보이고 있다. Volcanic hummock is several to hundreds of mound of sedimentary topography formed when the instable flank of volcano was collapsed by magma intrusing or earthquake and then moves along the face of the earth. The volcanic hummocks are developed form a total of 18 sites: gaseorum, gwaorum, geomunoroum, donggumuniorum, dangorum, dolorum, dunjiorum, ddarabi, mojiorum, mulorum, mionrum, budaeorum, songaksan, yongnunirum, wonddangbong, gwabomi, jimibong, and cheorum, Volcanic hummocks are distributed in 14 sites of eastern part and 4 sites of western part in Mt. Halla, especially at an altitude of 200m~400m around gujwa-ub and pyosun-myun in eastern part. The coastal area with the lower slope has better direction development. The volcanic hummocks having distinctive structural relation between cinder cones and volcanic hummocks are destributed in a total of 14 sites and divided into scoria raft type(SR type) 4 sites and volcanic debris avalanche type (VDA type) 10 sites depending on the formation process. Distribution range has shown the SR-type has longer average distance, longest distance and shortest distance than VDA-type.

      • KCI등재후보

        고대 근동과 이스라엘의 점술 비교 연구

        강승일(Kang, Seung-Il)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논총 Vol.36 No.-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거의 대부분의 문명과 문화에서 발견되는 대표적인 종교적 현상이 점술(占術, divination)이다. 점술은 단순히 미래를 알고자 하는 개인적 호기심 차원이 아닌, 한 사회가 두려워하고 걱정하는 것은 무엇이며, 기대하는 것은 무엇인지, 신과 인간은 어떻게 소통하며, 신은 인간에게, 그리고 인간은 신에게 무엇을 해 줄 수 있으며, 어떠한 관계를 맺어야 하는지에 관한 신념을 반영한다. 이러한 점에서 점술은 그 사회 구성원들의 종교 사상과 풍습, 세계관 등을 이해하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이에 따라 본 논고는 점술을 중심으로 하여, 고대 근동, 특히 고대 메소포타미아와 이스라엘 사이에 나타나는 점술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그러한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를 이스라엘의 종교관에 비추어 설명해 보고자 한다. 본 논고의 연구 결과는 이스라엘에서는 전문적인 점술 문헌이 집대성된 적이 없으며, 점술에 대한 적개심이 드러나고 있고, 고대 근동의 대표적 점술인 간신점이 시행되지 않았으며, 타 지역에서 나타나지 않는 고유한 점술 방식과 도구들이 있었으며, 마리의 예언과 비교했을 때 이스라엘의 예언은 사회 지도층의 윤리적 문제에 매우 민감했던 특징들을 보여준다. 이스라엘 점술의 이러한 독특한 특징은 한편으로는 자신들의 신을 주변 세계의 다신교적 신과 차별화시키려는 신학적 의도를 통하여, 다른 한편으로는 점술의 원리가 자신들의 신의 성품과 상충한다는 신념을 통하여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Divination refers to the art of obtaining information about future, or sometimes, present or past events. It is found in all civilizations, both ancient and modern. Divination reflects a society’s fear, expectations, communications and relations with the divine. Thus, it may demonstrate peculiar features of religion, world-view, and cultural traits of a society. Therefore, this essays takes up the subject of divination as a marker for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ancient Near East and Israel in their divinatory practices. The results show the following differences: (1) a complete series of documents of divination was never compiled in Israel, (2) the Hebrew Bible exhibits a strong condemnation of divination, (3) the traces of extispicy are not found in Israel, (4) the Israelites had their own divinatory tools, and (5) the Israelite prophecy has distinct characteristics in comparison with the prophecy in Mary. These differences are explained in two ways: (1) the Israelites tried to distinguish their God from other gods of neighboring cultures, and (2) the character of the God of Israel simply does not accord with the basic principles of div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