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iana를 이용한 SHCC 끼움벽의 유한요소해석

        강수원,류승현,송영재,양해준,윤현도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학회 2011 한국구조물진단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Vol.2011 No.9

        Analytical and experimental study of precast SHCC infill wall is perform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carried out using displacement control. In addition, both analytical and test result are compared each other for suitability evaluation of analysis.

      • 유딧기에 나타난 신앙-윤리적 문제에 대한 성서신학적 고찰

        강수원(Su-Won KANG)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20 가톨릭사상 Vol.- No.60

        19세기 경에 들어서면서, 성경 시대의 역사를 연구하고 성경에 엄격한 본문비평 방법론을 적용하던 학자들은 유딧기 내용의 역사성에 본격적으로 이의를 제기하기 시작했고, 거짓말과 성적 유혹과 살인 등 유딧의 일련의 행위들에서 발견되는 부도덕성과 비윤리성을 문제 삼기 시작하였다: ‘유딧은 이스라엘 백성으로서 지켜야 할 윤리-도덕 규율을 어긴 죄인인가?’ 혹은 ‘유딧은 더 큰 신앙적 가치를 위해 율법을 어긴 것인가?’ 특히 그리스도교 학자들은 원수를 사랑하라는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마태 5,43-48; 루카 6,27-28.32-36)에 정면으로 위배되는 듯한 유딧의 행위들의 정당성을 문제 삼기도 했다. 그러나 20세기 후반에 들어 제2경전과 외경에 대한 주해학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유딧기에 관한 연구도 활발해졌고, 성경 전승과 고대 근동과 그리스의 사상, 문화, 문학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저자가 살던 당대의 가치관에 대해 이해하기 시작하면서, 차차 유딧의 행위들의 비도덕성에 대한 기존의 부정적 이해 또한 달라졌다. 본고는 유딧이 유다 민족을 아시리아의 위협에서 구하기 위해 많은 이방인들을 속여 기만하고, 적장 홀로페르네스를 성적 매력으로 미혹시키며, 잠들어 저항하지 못하는 그의 목을 벤 일련의 사건들을 구약 성경의 윤리-도덕적 측면과 고대 근동의 문화적 배경 하에서 조명하고, 그녀의 행위의 정당성에 대해 논한다. 사실 구약 성경 전승과 근동의 문화라는 배경에서 볼 때, 유딧의 행위는 유딧기의 저자와 독자 당대의 신앙인들에게 ‘도덕적으로 정당한 것’이었다. 유딧의 속임수와 성적 유혹과 살인 행위는 하느님과 이스라엘 백성의 명예와 실존을 위협하는 이방인 압제자들을 향한 것이었기에, 이민족들의 위협과 회유에도 굴하지 않는 신앙의 충실성 관점에서든, 명예의 실추와 회복에 관한 고대 근동과 그리스인들의 문화적 관점에서든, 정당한 목적을 위한 타당한 수단/전략으로 이해될 수 있다. Around the 19th century, the scholars who studied the history of the biblical era and applied strict textual criticism methodology to the Bible began to object seriously to the historicity of the content of the Book of Judith, questioning the immorality and the unethicality found in a series of acts of Judith, such as lies, sexual seduction and murder: ‘Is Judith a sinner who violated the ethical-moral discipline to follow as an Israelite?’ or ‘did Judith break the law for greater religious value?’ In particular, christian scholars have also questioned the legitimacy of the Judith’s acts, which seemed to be in direct contradiction to the teachings of Jesus Christ to love the enemy(Matt 5,43-48; Luke 6,27-28.32-36). However,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as the interest of commentators on the deuterocanonical books and apocrypha increased, studies on the Book of Judith became active. And, beginning to understand the values o f era of the author - with the study of biblical traditions, and ideas, culture and literature of the ancient Near East and Greece -, the existing negative understanding of the immorality of Judith’s acts also changed. This article, considering the ethical-moral aspect of the Old Testament and the cultural background of the Near East, describes a series of events in which Judith deceived many gentiles, seduced the general Holofernes with sexual attraction and cut off the neck of the enemy, sleeping and unable to resist, in order to save the Judean people from the threat of Assyria, and discusses the legitimacy of her acts. In fact, in view of the tradition of the Old Testament and the culture of the Near East, Judith’s acts were ‘morally justified’ for the author and believers of his day. Judith’s deception, sexual seduction and murder were directed against gentile oppressors who threatened the honor and existence of God and the Israelites, so her acts can be understood as a valid means/strategy for just purposes, from the perspective of fidelity of the faith, which is undaunted by the threat and appeasement of the gentile oppressors, and from the cultural perspectives of the ancient Near East and Greece on the loss and the recovery of honor.

      • 칠십인역 시편 151편에 관한 주석적 연구: 쿰란 시편 본문(11QPs a Col. XXVIII)과의 차이 중심으로

        강수원(Su-Won KANG)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18 가톨릭사상 Vol.- No.57

        칠십인역 시편 151편은 1사무 16,11-17,51의 이야기를 전통적인 시 양식 으로 요약하여 재구성한 내용을 담고 있는데, 하느님께서 어떻게 다윗을 뽑으시어 이스라엘의 임금으로 세우셨는지(1-5절), 또 다윗이 전투에서 필리스티아인 골리앗을 어떻게 죽였는지(6-7절) 다윗의 입을 빌어 1인칭 형식으로 기술한다. 1) 이 시편은 표제에서 밝히고 있듯이 히브리어 정경(마소라 본문)에는 실려 있지 않은 “번외(番外)”( ἔξωθεν τοῦ ἀριθμοῦ ) 저작이 지만, 칠십인역 뿐 아니라 고대 라틴어 역본(Vetus latina), 그리고 시리아어 역본(Syro-Hexaplar)과 에티오피아어 역본에 보존되어 있다.한편 칠십인역보다 더 길고 일관성 있는 내용을 담고 있는 히브리어 시편(11QPs a Col. XXVIII)이 1956년에 쿰란에서 발견된 후, 본문 연구는 급물 살을 타게 되었다. 2) “번외” 시편인 151편이 쿰란의 시편 두루마리에서 발견되었다는 사실은 적어도 기원전 2세기경까지 시편집의 형태가 유동적이 었고 정경으로서의 시편 본문 역시 오늘날의 형태로 아직 고정되지 않았 음을 의미하며, 3) 한편으로는 이 시편이 원래 히브리어로 저작되었으리라는 개연성을 뒷받침하는 것이었다. 시편 151편의 저작 시기에 관한 학자들의 견해는 다양하나, 일반적으로 기원전 6세기경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보며, 한편 칠십인역에 실려있다는 점에서 적어도 기원전 3세기보다는 앞서 저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쿰란의 시편 본문은 칠십인역 본문의 부자연스러운 일부 내용들을 이해 하는데 큰 도움이 된 동시에, 보다 심층적이고 다각적인 본문 접근 방식의 필요성을 요구하게 되었다. 쿰란 시편 151편의 발견은 이후 해당 시편 연구들에 다음과 같은 기본 전제들을 제시하였다. 5) : 첫째, 시편 151편은 원래 히브리어로 저작되었다; 둘째, 시편 151편은 원래 두 개의 히브리어 시편이었다가(cf. 151A편, 151B편) 하나의 그리스어 시편으로 요약, 편집되었다 6) ; 셋째, 칠십인역 시편은 원래 본문보다 짧은 일종의 요약으로, 시 형식을 취한 일종의 ‘미드라쉬’이다 7) ; 넷째, 시편 151편은 쿰란 시편 두루마 리와 칠십인역 시편집 모두에서 가장 마지막에 위치하며, 8) 시편집 전체를 종결짓는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본고는 ‘쿰란 본문이 시편 151편의 원 저작(Ur-Vorlage)인가 또는 그것을 충실히 반영한 것인가?’ 9) , ‘원래 두 개였던 시편이 하나로 편집된 것은 히브리어 시편의 전승 단계에서 이루어진 것인가, 아니면 칠십인역 번역자의 작업인가?’, ‘쿰란 시편과 칠십인역 시편 사이 본문상의 차이점은 어느 편에서 기인한 것인가?’ 10) 등의 본문 비평 차원의 문제를 목적으로 삼지 않는다. 다만 쿰란의 히브리어 본문과 비교하여 칠십인역 시편에서 발견되는 여러 본문상의 차이점들이 시편집 전체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중요한 대목에서 과연 어떤 신학적 의미를 지니는지 공시적 관점에서 제시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그리스어 시편의 차별화된 본문이 가져오는 이러한 신학적 의미는 그와 유사한 경향의 의미론적 차이를 보이는 여러 다른 시편 본문들을 통하여, 또한 무엇보다도 시편집의 서언(prologo)에 해당하는 시편 2편의 그리스어 본문이 시사하는 신학적 의미와 비교함으로써(cf. 주제 차원의 수미상관)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날 것이다. Psalm 151 is contained in the Septuagint, which the Early Church chose as the canon, but not in our Bible today, which accepts Hebrew text as original for translation. It is very unlikely that the translators of the Psalter of the Septuagint, widely known for their tendency to translate literally the Hebrew original text(Wort-für-Wort Übersetzung), have arbitrarily inserted the entire psalm, though this psalm, as mentioned in the title, is outside the number. Indeed, the fact that the Hebrew text of the Psalm 151 is contained in the Qumran Psalms Scroll(11QPs a ) enhances further the probability that the Hebrew Vorlage of the Septuagint Psalter already contained the Psalm 151. Even many scholars have asserted that the text of 11QPs a 151 reflects the original text of the Septuagint Psalm. Nevertheless, there are many textual differences between the Septuagint Psalm and the Qumran Psalm. Apart from large and small grammatical, syntactic and contextual differences, the drastic omission of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vv. 2b-3.7b of the Qumran Psalm is especially prominent. The absence of reference to the David’s praise to God, to the admiration for his outstanding musical talents(vv. 2b-3), and to the glorious establishment of David as ruler over the people of God(v. 7b) is difficult to understand, if we consider not only the tendency of the literal translation of the Septuagint Psalter, but also the Judean tradition that traditionally accepted David as author of the Psalter. This article attempts to identify the textual differences found in Septuagint Psalm 151 from an exegetical perspective by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wo psalm texts(LXX, 11QPs a ) and providing the translations of other psalms with similar phenomena(Ps 2; 18[17]; 24[23], 45[44]). These differences are explained not as ‘demythologization’ related to the Orpheus myths that a group of scholars have claimed in the past, but as ‘davidic/israeli de-centrism’. In the Septuagint text, the focus on David’s glory and exaltation is moved only to God, who chose and exalted David, received his praise and made him victor. The Septuagint Psalter could be evaluated as the completion of the excellent inclusio, which opens(Ps 2) and closes(Ps 151) the whole book of psalms with the ‘davidic/ israeli de-centrism

      • 마태 20,29-34의 문맥 내 의미와 기능: 정경적 접근에 의한 본문 연구

        강수원(Su-Won KANG)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18 가톨릭사상 Vol.- No.56

        마태 20,29-34는 두 소경의 치유에 관한 담론으로, 예수가 예루살렘에 입성하기 직전까지의 공생활을 종결짓는 동시에, 예루살렘에서의 파스카 사건들로 장면 전환을 준비하는 중요한 단락이다. 일반적으로 학자들은 이 담론이 복음서 안에서 중요한 위치에 자리잡고 있다는 사실과 본문의 주 해적 가치를 높이 평가하면서도, 이 단락을 마태 9,27-31의 ‘중복’ 또는 마 르 9,27-31의 ‘복사본’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마태 20,29-34을 공관 복음의 다른 병행구절들(마태 9,27-31; 마르 10,46-52; 루카 18,35-43)과 비교해보면 마태오가 본문의 여러 요소들을 간소화하거나 생략, 추가하는 등 일종의 차별화를 시도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본문에 문맥 안에서의 고유한 역할을 부여하고 신학적 메시지들을 담으려는 그의 편집적 의도를 시사한다. 두 소경의 치유 사화(20,29-34)는 우선 직접적 문맥 안에서 이전, 이후 단락들과 매우 밀접한 내용-주제적 차원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이 본문은 이전 단락(20-28절)에서 언급된 두 제자의 불완전함과는 대조되는 ‘진정한 제자됨’의 의미를 충만히 드러내는 한편, 이후 단락(21,1-11)에서 메시아로서의 예수의 신원을 올바로 이해하지도 못한 채 환호하는 군중들에 앞서 그의 신원을 올바로 이해했던 두 소경의 ‘참된 지식과 믿음의 예형’을 미리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20,29-34은 복음서 전체의 여러 신학적 메시지들을 함축적으로 내포하고 있는데, 예수의 파스카 사건 보도 직전에 그것들을 독자들에게 최종적으로 종합,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결론적으로, 마태 20,29-34는 병행구절인 9,27-31이나 출전 본문으로 여겨지는 마르 10,46-52의 단순한 중복이라 할 수 없다. 그것은 마태오가 적절한 순간에 자신의 신학적 메시지들을 종합하여 재강조하고, 예루살렘에서의 파스카 사건에 관한 이야기로 넘어가기 위해 의도적으로 재구성하여 신중하게 배치한 고유한 담론이다. 그렇게 마태오 복음사가는 이제 수난과 죽음, 부활 사건으로 향하는 주님의 뒤를 제자로서 따르도록 모든 독자들을 초대한다. Mt 20,29-34 is a passage that depicts the healing of two blind men and an important scene to prepare for a transition to the paschal events in Jerusalem, as well as to round out the Jesus’ public ministry before his entry there. Scholars generally regard the present passage as a ‘doublet’ of Mt 9,27-31 or a ‘copy’ of Mr 9,27-31, while appreciating its important position in the Gospel and its exegetical value. But comparing Mt 20,29-34 with other parallel passages of the Synoptic Gospels(Mt 9,27-31; Mr 10,46-52; Lk 18,35-43), it can be confirmed that Matthew attempted differentiation by simplifying, omitting and adding some textual elements. This implies his editorial intention to give his story a unique role in context and to contain theological messages there. This matthean pericope about the healing of two blind men(20,29-34) shows, at the level of content and theme, a close correlation with the previous and subsequent passages in the direct context. It fully reveals the meaning of ‘true discipleship’ as contrasted with the incompleteness of the two disciples mentioned in the previous passage(vv. 20-28), while shows in advance ‘true knowledge and model of faith’ of the two blind men, who have correctly understood the identity of Jesus as Messiah, prior to the acclaimed crowd lacking it in the subsequent passage(21,1-11). In addition, 20,29-34 implicitly implies the various theological messages of the entire Gospel and presents them in redacted or summarized form to readers ultimately before Jesus’ paschal events. In conclusion, Mt 20,29-34 is neither just a doublet of its parallel pericope 9,27-31 nor a copy of its source text Mr 10,46-52. It is a unique passage intentionally schemed and deliberately arranged by Matthew in order to summarize and approve his theological messages at the right moment and to move on to the story of the paschal events in Jerusalem. So the evangelist Matthew invites all readers to follow in discipleship after the Lord on the way to his suffering, death and resurrection in Jerusalem.

      • KCI등재

        이방 민족들에 대한 하느님의 호전성과 폭력성의 완화 : 칠십인역 시편 109(110)편의 주석적 연구

        강수원(Su-Won Kang)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7 가톨릭신학 Vol.0 No.30

        군왕 시편으로 분류되는 마소라 시편 110편은 ‘이방 민족들과의 성전 (聖戰) 준비’(1-3절)와 ‘하느님의 전투와 승리’(4-6절)라는 군사적 주제의 도식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특히 3절은 이스라엘 백성(군대)이 이방 민족들에 맞서 거룩한 장식으로 치장하고 전쟁을 위해 자원하여 나선 장면을, 6절은 메시아 왕과 그의 백성을 위해 직접 전투에 나서신 하느님께서 이방 민족 들을 심판하여 그들의 머리를 깨부수고 그 주검들로 온 들판을 가득 채우 시는 극도로 폭력적인 장면을 묘사한다. 시편집 전반에 걸쳐 이스라엘 구원의 특수주의(particularism)와 전 인류의 구원을 지향하는 보편주의(universalism), 이두 가지 관점의 구원론이 병존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나, 특히 시편 110편은 이방 민족들을 상대로 한 하느님의 전투와 심판을 가장 잔혹하고 피비린내 나는 살육으로 묘사하는 구약성경 장면들(cf. 이사 34,1-6; 63,1-6; 에제 39장; 하바 3,12-14) 중의 하나로 손꼽힌다. 본 작업은 시편 110(109)편의 마소라 본문과 칠십인역 본문의 비교 작업으로서 다음과 같은 사실에서 출발한다: ‘두 본문 사이 뚜렷한 차이점들이 다른 구절들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반면, 왜 유독 하느님께서 이방 민족 들과 벌이는 성전과 관련된 언급들인 3절과 6절에만 집중되어 있는가?’ 하는 점이다. 물론 이 차이점들을 언어적, 문법적 차원만으로도 어느 정도 설명할 수는 있지만, 그것들이 본문 안에 가져오는 의미론적 변화들이 하나의 뚜렷한 주제상의 방향성을 띠고 있다는 사실은 그 차이점들을 단순히 번역 중 발생한 언어적 현상으로만 치부할 수는 없음을 시사한다. 칠십인역 시편은 이방 민족들에 맞서 자원한 메시아 왕의 군대가 전열을 갖춘 장면(3절 MT )을 메시아 왕의 주권과 신적 탄생에 대한 언급으로 전환하면서, 하느님께서 이방인 적들을 전멸시켜버리는 구약성경의 구절들 (ex. 판관 5-7장; 2역대 20장)과의 본문상의 연관성을 더 이상 고수하지 않는다. 또한 하느님께서 이방 민족들을 심판하여 그들의 머리를 깨부수고그 주검들로 온 들판을 가득 채우시는 피비린내 나는 폭력적 장면(6절 MT ) 역시 더 이상 언급하지 않고, 마소라 본문이 묘사하는 종말론적 심판의 대상과 그 범위를 변경함으로써 잔혹하게 묘사된 장면들을 훨씬 ‘완화’된 형태로 재해석한다. 이방 민족들에 대한 하느님의 호전성과 폭력성이 칠십인역 시편에서 현저히 완화되어 표현된다는 사실은 시편의 번역자가 이방 민족들에게 특별한 관심을 갖고 있었고, 그들과 하느님, 또 그들과 메시아 왕(이스라엘을 대표) 사이의 관계를 좀 더 긍정적으로 묘사하려는 하나의 편집 의도, 말하자면 주해적, 신학적 의도를 갖고 있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칠십인역 번역의 특수성은, 적어도 본문 차원에서 말하자면, 번역자 또는 그의 공동 체가 이방 민족들에 대해 가졌던 보다 열린 자세, 즉 보편주의적 관점의 반영이라는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사실 이방 민족들과 함께 살며 그들과 좀 더 유연한 관계를 유지해야 했던 디아스포라 공동체들 안에서, 이스 라엘의 전통적 신학 사상들이 이방 민족들에 대한 개방과 포용의 태도(보 편주의) 안에 자연스레 녹아들었음은 주지의 사실이기도 하다. The Masoretic Psalm 110, which is classified as royal psalm, clearly shows the scheme of military theme called ‘preparation of holy war against foreign peoples’(vv. 1-3) and ‘battle of God and victory’(vv. 4-6). Specially, v. 3 depicts the people(army) of Israel who are adorned with holy ornament and volunteer to engage in the battle against the gentiles, and v. 6 describes an extremely violent scene where God, who goes into a battle in person for King Messiah and his people, judges foreign peoples and crushes their heads and fills the entire field with their bodies. It is a known fact that the two soteriologies as particularism of Israel’s salvation and universalism that reaches forward to the salvation of the whole human race are coexisting in the entire the Book of Psalms, but specially, Psalm 110 is considered as one of the scenes in the Old Testament that describe the battle and judgement of God against foreign peoples as most brutal and bloody slaughter(cf. Isa 34,1-6; 63,1-6; Ezek 39; Hab 3,12-14). This study starts from the following fact as a comparative work between the Masoretic text and Septuagint text of Psalm 110(109): ‘why are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exts only concentrated in v. 3 and v. 6 – references related to the holy war that God staged against the gentiles – whereas such differences are not found in other verses?’ Of course, these differences can be explained to some degree at linguistic and grammatical level, but the fact that semantic changes they bring in the text show a clear thematic orientation implies that such textual differences cannot be regarded just as a linguistic phenomenon that occurred during translation. Septuagint Psalm no longer sticks to the textual link with the other passages of the Old Testament where God annihilates foreign enemies(cf. Judg 5-7; 2Chr 20) by changing a scene where the people(army) of King Messiah set the battle in array against the gentile enemies(v. 3 MT ) into proclamation of sovereignty and divine birth of King Messiah. Also, it does not mention any more about the violent bloody scene where God judges foreign peoples and crushes their heads and fills the entire field with their bodies(v. 6 MT ), and reinterprets the brutal scene in much more ‘moderated’ form by limiting the range of the object of apocalyptic judgement described in Masoretic text. The fact that belligerence and violence of God against foreign peoples getting expressed in noticeably mitigated form in Septuagint Psalm implies that the translator of Psalm had special concern over foreign peoples and had a editorial intention, meaning interpretative or theological intention to depict a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them and King Messiah(representing Israel) and them more positively. To speak at the text level,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Septuagint translation can be comprehended in an aspect of more opened attitude, meaning reflection of universalistic viewpoint, that the translator or his community had towards foreign people. It is also well known fact that traditional theological ideas of Israel are naturally melted into the attitude of openness and engagement toward foreign peoples(universalism) in Diaspora community who had to live with and maintain more flexible relationship with the gentiles.

      • 칠십인역 시편 86편에 나타난 ‘시온의 자녀들’의 신원에 관한 주석학적 연구:4-7절의 주해 중심으로

        강수원(Su-Won KANG)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19 가톨릭사상 Vol.- No.59

        ‘구원의 보편주의’는 시편집뿐 아니라 구약 성경 곳곳에서 흔히 발견되는 신학적 주제이긴 하지만, 다수의 주해학자와 저자들은 ‘시온 시편들’ 중 하나인 시편 87(86)편이 ‘세상 모든 민족들을 하느님의 도성 시온에서 태어난 자녀로 선포하고 있다’고 쉽게 단정지어 말하곤 한다. 그러나 히브리 본문 자체는 여러 주석적 난제들과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고, 아직까지도 학자들 사이에서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들은 본 시편에서 시온의 ‘여성성’이나 ‘모성(어머니-고향)’이 부각된다는 점에는 기본적으로 동의하지만, ‘시온에서 탄생한 주체가 누구인가’에 대해서는 뚜렷한 해석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사실 이 문제는 본 시편 주해의 핵심관건이다. 왜냐햐면, 시온에서 탄생한 주인공을 유다인들과 이방인들 중 누구로 규정하는가에 따라, 또 그들이 시온과 제 땅 어디에서 태어났다는 말인가에 따라, 본 시편의 주제는 ‘이스라엘 중심의 특수주의(particularism)’와 ‘구원의 보편주의(universalism)’라는 양 극변을 오가는 전혀 다른 것이 되기 때문이다. 본 작업은 먼저 마소라 본문의 해석의 다양성을 대해 짚은 다음, 본문비교를 통해 칠십인역 번역자들이 자신들의 히브리 Vorlage를 어떻게 해석했는지 살핀다. 칠십인역 시편에서 발견되는 본문상의 차이점들은 ‘민족들의 탄생’ 관련 언급들에 온통 집중되어 있다. 그리스어 번역자는 일련의 ‘개입’을 통하여 본문을 재주해(re-interpretation)함으로써, 모든 이방 민족들을 이스라엘과 함께 “시온, 어머니시여!” 라고 부르는 이들로, 시온에서 태어난 자녀들로 규정한다. 그리고 그들을 하느님의 자녀요 천상예루살렘의 시민으로서의 특권과 은혜를 충만히 누리는 삶으로 초대한다. Although ‘Universal Salvation’ is a theological theme commonly found throughout the Old Testament as well as in the Psalter, many commentators and authors assert easily that Psalm 87(86), one of the ‘Zion Psalms’, proclaims the all gentile peoples of the world as children born in Zion. However, the hebrew text itself contains the various exegetical issues and the possibility of different interpretations, and is still an object of debate among scholars. They basically agree that Zion’s femininity or motherhood are highlighted in this psalm, but show different opinions of ‘who is born in Zion’. In fact, this is a key issue for the interpretation of this psalm. Because, depending on ‘which of the Jews and Gentiles is defined as the protagonist born in Zion?’ and ‘where were they born, in Zion or in their land?’, the theme of this psalm can be at opposite poles of the conclusions, particularism centered on Israel and the universalism of salvation. This work first examines the diversity of interpretations of the Masoretic text and then examines how the Septuagint translators interpreted their Hebrew Vorlage with the comparisons of the two texts. The textual differences found in the Septuagint psalm are all focused on references to the birth of the nations. The Greek translator, by re-interpretation of the hebrew text with a series of ‘interventions’, identifies all gentile nations with ones who call ‘Mother, Zion’ and who are born in Zion. So he invites them to delight their privilege and grace as children of God and citizens of heavenly Jerusalem.

      • 입타의 서원 사화(판관 11,29-40)에 관한 주석학적 연구: 서원의 내용과 신학적 교훈을 중심으로

        강수원(Su-Won KANG)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19 가톨릭사상 Vol.- No.58

        입타의 서원 사화는 초기 유다 전승과 초기 그리스도교 저술가들로부터 오늘날까지 crux interpretum으로 여겨져 왔다. 주님의 구원 계획 안에서 입타의 서원은 불필요한 것이었는데, 관련 이야기는 성경의 문맥상으로도 암몬족과의 전쟁을 기술하는 자연스러운 흐름을 오히려 단절하고 있다. 또 서원에 관한 본문의 축자적 의미가 명확하지 않아 모두가 이견 없이 동의 할 만한 결정적인 주해란 불가능하고, 입타가 딸을 번제물로 바쳤다는 전제 하에서는 인신 공양이라는 신학적 문제까지 대두된다. 여러 현대어 성경들은 입타가 딸을 죽여서 제물로 바쳤음을 암시하지만, 사실 마소라 본문에는 ‘죽음’과 관련된 명확한 표현이 없다. 그러한 번역 자체가 하나의 주해일 뿐이다. 본고는 정경적 관점에 기반한 본문 주석작업을 통해, 먼저 ‘과연 입타가 바치겠다고 서원한 것은 무엇이었는가(사람 또는 짐승)?’, ‘그가 의도한 봉헌 방식과 실제로 서원을 이행한 방식은 무엇이었는가(번제, 성별)?’에 대해 가능한 여러 해석들을 제시한다. 그러나 모두가 아무런 이견 없이 동의할 수 있는 결론이 불가능하다면, 이런 ‘열려진 의미’에도 불구하고 판관기의 저자가 입타의 서원 사화를 통해 제시하고자 했던 편집적 의도가 무엇이었는지는 규명해 볼 수 있겠다. 본고는 입타가 의도한 서원의 내용과 실현 양상 뿐 아니라, 부족한 믿음, 자기중심적 태도, 경솔한 성품과 책임 전가의 자세로 대표되는 입타의 인물상을 입체적으로 조명한다. 그리하여 입타 이야기가 단순히 거부감을 일으키는 ‘인신공양 사화’(?)가 아니라 판관기 저자가 의도한 메시지를 담고 있는 풍요로운 신학적 결실임을 보이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입타 사 화에 담긴 저자의 관심은 ‘과연 입타가 딸을 죽여 번제로 바쳤나?’ 또는 ‘주님께서 그 제물을 받아들이셨는가?’를 서술하는 것이 아니라, ‘주님의 뜻이 아닌 자기 뜻대로 행한 서원은 비참한 결과를 가져오게 마련이지만, 그러한 불완전한 사람을 통해서도 주님께서는 한결같이 구원을 이루어가신다.’는 판관기 전체의 신학적 주제를 새롭게 부각시키는데 있다. The account of Jephthah’s vow has been regarded as crux interpretum from early Jewish tradition and early Christian writers to this day. In the Lord’s plan of salvation Jephthah’s vow was unnecessary, and in the context of the Bible the story related to the vow rather hinders the natural flow of describing the war against the Ammonites. Moreover, it is impossible to offer a definitive and incontrovertible interpretation of the passage because of ambiguity of its literal meaning, and – under the assumption that Jephthah offered his daughter up for a burnt-offering – even the theological problem of human sacrifice emerges. Although different modern Bible translations and versions imply that Jephthah ‘killed’ his daughter and sacrificed her as a burnt-offering, in fact there is no definite mention of her ‘death’ in Masoretic text. Such translation itself is just an interpretation. By the textual commentary based on the canonical approach, the present article presents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questions: first of all, ‘what was the object that Jephthah vowed to offer (human or animal)?’ and ‘what was the method of offer intended and fulfilled by him(burnt-offering or consecration)?’ However, if we can not come to an undisputed conclusion, though the ‘open meaning’ of the text, we may try to identify what was the editorial intention of the author of Judges about the account of Jephthah’s vow. In addition to contents and implementation aspect of Jephthah’s vow, the present article illuminates multilaterally his image, that is represented by lacking faith, self-centered attitude(egocentricity), imprudent character and scapegoatism.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how that the account of Jephthah is not merely awkward ‘human sacrifice story’, but theological results containing rich messages of the author of Judges. The concern of the author in the account of Jephthah’s vow is not to describe ‘did Jephthah kill and offer his daughter as a burnt-offering?’ or ‘did the Lord accept the offering?’, but to emphasize also here the theological theme that penetrates the entire book of Judges: ‘A vow that is done in own way, not by the will of the Lord, will bring disastrous consequences, but the Lord is still delivering salvation even through such incomplete per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