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효과적인 비장애형제지원의 실행요소 탐색 - 문헌분석과 경험에 따른 심층면담 분석을 중심으로

        강성리 ( Seong Ri Kang ),이병인 ( Byoung In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4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비장애형제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비장애형제지원 실행요소와 적용방안을 알아보고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비장애형제와 관련한 국내 문헌을 분석하였고, 6명의 비장애형제들을 심층면담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비장애형제지원을 위한 실행요소로 정보 및 대처기술, 심리ㆍ정서적 지원, 가족기능성, 사회적 인식, 지역사회 활용자원이 도출되었으며, 각 실행요소들은 유기적 관계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따른 적용방안으로는 가족의 기능성에 기초한 지원, 지역사회자원의 활용, 대상자의 개별적 요구와 특성반영, 관계-지향적 서비스로서의 지원, 지원활동의 지속성 확보, 사회인식 개선을 바탕으로 한 지원 등의 내용이 논의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비장애형제를 양육하는 부모와 형제지원프로그램을 실시하고자 하는 교사 및 특수교육전문가들에게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implementation components and application method for effective supports for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tal 73 articles related to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Focusing on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depth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nstant comparis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five implementation components for support of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formation and coping skill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family functioning, social perception, resources on community-use. It is followed the conclusion based the result which six applications for supports of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1) supports based on family functioning, (2) utilization of community resources, (3) reflection of siblings siblings’ needs and characteristics, (4) supports based on relationship orientation, (5) sustainable support, (6) improvement of social perception. The results in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teachers and professionals who want to implement the sibling program in special education settings.

      • KCI등재

        유아통합학급 자유선택활동에 나타난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강성리 ( Seong Ri Kang ),이병인 ( Byoung In Le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학급의 유아특수교사들이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장애유아의 놀이를 지도한 경험을 탐색함으로서 통합하급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19명의 통합학급 유아특수교사들을 심층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Strauss와 Corbin(1998)의 연속적 비교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132개의개념,60개의 하위범주,1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분석된 범주를 Struass와 Corbin(1990)의 패러다임 모형에 따라 분석하여 범주 간 관계성을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도에 대한 중심현상은``놀이지도의 힘겨움``이었고, 이에 원인이 되는 인과적 조건은 ``장애유아의놀이 참여특성``과 ``유아특수교사 요인``이었으며, 맥락적 조건의``교육기관 특성 및 기관장의 태도````부모의 놀이중요성 인식``,``교사의 자유선택활동 지도역량``,``자유선택활도의 교사협력``이 영향을 주었다. 유아특수교사는``놀이지도의 힘겨움``을 해결하기 위하여``놀이개입전랴``,``가정연계전략``,``또래와의 상호작요 지원전략``,``교육과정 수정·적용 및 놀이개발전략``,``물리적 환경구성 및 교재교구 수정``의 다양한 전략들을 사용하였다.본 연구는 통합 환경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내적 요소들과 놀이지도 경험의 세부내용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통합교육 현장에서 자유선택활동 지도를 할 때에 요구되는 환경적 조건들에 대한 이해와 놀이지도 전략 모색 및 적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rrange the foundation in understanding about play instruction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in an inclusive class through in -depth interview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9 early childhood teachers in inclusive classrooms. Data collection was made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and organized after passing through coding and conditional matrix work with the process of integrating theory inductively. As a result of analyzing category related to teachers`` play instruction experience, it elicited totally 132 concepts, 60 sub-categories, and 16 categories. The casual condition was elicited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free choice activities participation``, ``teachers`` attitude and experiences``. The contextual condition was indicated to b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attitudes of kindergarten directors``, ``parent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play`` and ``human resources and class organization``. The phenomenon was analyzed ``difficulty of play instruction``. The intervening condition was analyzed ``teachers`` perspective for free choice activities``, ``teachers`` competencies for play instruction`` and ``cooperating of teachers``.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indicated ``teachers`` instruction strategies for free choice activities``, ``peer support strategies in free choice activities``, ``application of education curriculum for free choice activities and development of play`` and ``construction of physical environment and teaching material``. The consequences were elicited ``particip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free choice activities``, ``to play with peers`` and ``teachers`` efficacy for play instruction``. Finally, the categories, which were elicited in this study, would be able to utilized as basic data for play instruction strategies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

        장애유아의 놀이 참여와 교사의 놀이 지원에 관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에 관한 연구

        강성리(Kang, Seong-Ri),조현근(Jo, Hyun-Ge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학급 교육 실습 경험을 통해 형성된 장애유아 놀이 참여와 교사의 놀이 지원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이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의미단위 분석을 통해 주요 개념을 도출하여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장애유아의 놀이선호도, 또래 놀이 참여에 대한 강점과 약점을 놀이에 영향을 끼치는 내재적 요인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은 교사의 교육적 신념 및 태도, 또래의 인식 및 가정 연계 정도, 물리적 환경 및 교재 교구, 전문가 간 협력 및 교사 교육을 장애유아의 놀이에 영향을 끼치는 외부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장애유아의 놀이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회적 기술 교수, 장애 이해 및 또래 수용을 고려한 수업 운영, 놀이 확장 및 흥미 유발을 위한 지원 전략이 사용된다고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통합학급 내 장애유아의 놀이를 지원하는 교사 및 보조 인력을 위한 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n play particip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lay support of teachers formed through an inclusive class practicum experience. To this en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o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The interview data were categorized by deriving key concepts through semantic uni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d the play preference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in peer-play participation as intrinsic factors that influence play. Second,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d that "educational beliefs and attitudes of teachers", "perception of peers and connection of families", "physical environment and teaching materials", and "cooperation among experts and teacher education" act as external factors that influence play. Third,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d that teachers use "instruction of social skills", "class management in consideration of peer-acceptance and disability awareness", and "support strategies for expanding play and inducing interest" as methods to support pla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resource for teachers and assistants in education supporting the pla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es.

      • KCI등재

        성인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지원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컨설팅 경험 분석

        강성리 ( Kang Seong Ri ),윤주연 ( Yun Ju Yeon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적 행동지원 컨설팅에 참여한 장애인 주간보호 센터 사회복지사의 PBS 컨설팅 참여 경험과 그 의미가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PBS 컨설팅에 참여한 장애인 주간보호센터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3명이다. 컨설팅 과정은 PBS의 절차에 따라 기관모집 및 대상자 선정, PBS 팀 구성, 종사자 교육, 기능평가, PBS 계획 수립, 기초선 측정, 중재 실행, 유지 측정 등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PBS 컨설팅에 참여한 사회복지사의 경험을 알아보기 위하여 면담지침서를 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총 3회의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최종 수집된 자료는 신층 면담 자료와 PBS 지원계획서, 연구자 노트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trauss와 Corbin(1990/1996)의 연속적 비교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총 50개의 개념, 17개의 하위범주, 6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PBS 컨설팅에 참여한 사회복지사의 경험은 ‘컨설팅 이전의 도전적 행동 사례와 행동지원 방법에 대한 경험’,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 과정에 따른 참여 경험’, ‘컨설팅 실행의 결과 및 다면적 변화’, ‘컨설팅 실행에 영향을 끼치는 중재적 조건’, ‘성인 발달장애인 대상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을 위한 지원 요구’, ‘도전적 행동과 긍정적 행동지원의 의미 숙고하기’의 내용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인을 지원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의 PBS 컨설팅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인 발달장애인 위한 기관 내 현장 실무자의 역량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participating in PBS consulting by social workers at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who participated in positive behavior support consult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ree social welfare workers working at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The consulting process was conducted in the stages of institutional recruitment, target selection, PBS team formation, employee training, function evaluation, PBS planning, basic line measurement, arbitration execution, and maintenanc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BS procedure. The research method consisted of interview guidelines, and based on this, a total of thre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are in-depth interview data, PBS support plan, and researcher’s note. Data analysi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continuous comparison method of Strauss and Corbin (1990/1996). As a result of the analysis, 50 concepts, 17 subcategories, and 6 upper categorie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study, social workers’ experiences in PBS consulting were ‘Experience of challenging behavior cases and behavior support methods prior to consulting’, ‘Participation experience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Results and multifaceted changes in consulting practice’, ‘interventional conditions affecting consulting practice’, ‘Demanding support for the implementation of positive behavioral support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Contemplating the meaning of challenging behavior and positive behavioral support’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understand in-depth the PBS consulting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supporti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prepare measures to support the capabilities of field practitioners in institution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PBL 기반 ‘장애유아통합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통합교육 신념과 교사 효능감 및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강성리(Kang, Seong-Ri),조현근(Jo, Hyun-Ge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PBL 기반의 ‘장애유아통합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통합교육 신념과 교사 효능감 및 학습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장애유아통합교육 수업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 45명이다. PBL 기반 장애 유아통합교육 수업은 강의식 수업과 문제중심학습 방식을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문제중심학습은 3개의 PBL 문제로 구성하여 총 9주간 진행하였다. PBL 기반 장애유아통합교육 수업이 통합교육 신념과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고, 학습 만족도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PBL기반 장애유아통합교육 수업은 예비유아교사의 통합교육 신념(t=-6.80, p<.001)과 교사 효능감(t=-8.11, p<.001)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에 대한 학습 만족도는 높은 수준(M=6.71, SD=.47)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통합교육 관련 교원양성 과정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PBL-based inclusive education clas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ffect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teacher efficacy,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took this class. The PBL-based class used a mixture of lecture-based classes and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And the problem-based learning consisted of three PBL problems and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9 weeks. A pre-post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PBL-based inclusive education clas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pre-service teachers’ beliefs about it and their self-efficacy. For data analysis, paired sample t-test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program, an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learning satisfaction were calcula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BL-based inclusive education clas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teachers’ beliefs(t=-6.80, p<.001) and their self-efficacy(t=-8.11, p<.001) toward inclusive education, and the learning satisfaction with the class was at a high level(M=6.71, SD=.47).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developing teacher training courses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