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시간 운영체제의 우선순위 역전현상 해결을 위한 프로토콜 설계 및 구현

        강성구,경계현,고광선,엄영익,Kang, Seong-Goo,Gyeong, Gye-Hyeon,Ko, Kwang-Sun,Eom, Young-I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3 No.5

        실시간 운영체제는 정해진 시간 내에 작업처리를 완료해야 하는 분야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적의 실시간 운영체제를 설계하고 개발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스케줄링 정책, 인터럽트 지연 최소화, 우선순위 역전현상 해결 등의 조건을 만족시켜야한다. 이러한 조건들 중에서 우선순위 역전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지금까지 basic priority inheritance 프로토콜, priority ceiling emulation 프로토콜 등이 제안되었으나, 하나의 프로세스가 동시에 다수의 자원을 소유하는 경우 또는 재귀적으로 자원을 소유하거나 요청하는 경우와 같이 대표적인 두 가지 복잡한 우선순위 역전현상에 대해서는 해결이 불가능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재귀적 자료구조를 기반으로 다양한 우선순위 역전현상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RPI(Recursive Priority Inheritance)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이를 리눅스 커널에 구현하여 검증한 내용을 보인다. Real-time operating systems have been used in various computing environments, where a job must be completed in its deadline, with various conditions, such as effective scheduling policies, the minimum of an interrupt delay, and the solutions of priority inversion problems, that should be perfectly satisfied to design and develop optimal real-time operating systems. Up to now, in order to solve priority inversion problems among several those conditions. There have been two representative protocols: basic priority inheritance protocol and priority ceiling emulation protocol. However, these protocols cannot solve complicated priority inversion problems. In this paper, we design a protocol, called recursive priority inheritance (RPI), protocol that effectively solves the complicated priority inversion problems. Our proposed protocol is also implemented in the Linux kernel and is compared with other existing protocols in the aspect of qualitative analysis.

      • KCI등재

        디지털자료 중심의 접근 가능한 교육자료(AEM) 제작 및 활용 방안에 대한 탐색: 미국 AEM 센터를 중심으로

        강성구 ( Kang Seong-goo ),강종구 ( Kang Jong-gu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0 지적장애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장애학생에게 ‘접근 가능한 교육자료(AEM: Accessible Educational Materials)’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교과서, 교수자료, 평가지와 같은 교육매체들이 어떻게 디지털 형태로 전환될 수 있는지를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교육자료 제작과정의 현실을 알아보고, 미국 AEM 센터를 중심으로 국내 상황에 적용 가능한 교육자료 제작 표준 및 활용 방안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AEM 센터에서 제공하는 디지털자료 중심의 AEM 제작 및 활용 방안은 국내 교육자료의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었다. 둘째, 국내 일부 디지털자료는 현재의 교육환경에서 즉각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제작 규격 및 절차의 표준화 미비, MathML 적용에서의 어려움과 같은 기술적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자료 활용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AEM 지원은 시각장애학생을 포함하여 다양한 장애 유형의 학생들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둘째, 현행 대체자료 위주의 AEM 제작 및 배포 시스템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AEM의 제작 및 배포는 국가 차원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digital forms of educational materials such as textbooks, instructional materials and evaluation papers could be transformed as a way to provide ‘accessible educational materials(AE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production reality on existing educational materials and attempted to figure out the production standards and utilization methods on educational materials that could be applied in domestic situation focused on AEM center in the U.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igital-based AEM production and utilization methods provided from AEM center in the U.S. were an effective way that could greatly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domestic educational materials. Second, some of domestic digital materials could be immediately used in the current educational environments, but most of them possessed technical difficulties such as the deficiency of production standard and procedure and the difficulty in the application of MathML.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for the utilization of digital materials such as the following: First, AEM support needs to expand towards students with various types of disabilities including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Second, the AEM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the current alternative materials needs to comprehensive reexamination. Third,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AEM need to be conducted in national level.

      • KCI등재

        연구 보고지침에 기초한 특수교육분야 실험연구의 비교분석

        강성구(Kang Seong-goo),송재옥(Song Jae-ok),권혁상(Kwon Hyuk-sang),김정기(Kim Jung-gi),김민정(Kim Min-jung),서효정(Seo Hyo-jeong)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3 No.1

        이 연구는 특수교육 분야 실험연구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 보고의 질을 살펴보기 위해 국외에서 주요 연구 질 평가 도구 및 보고지침으로 활용하는 AERA 표준, JARS 지침, TREND 진술문, CEC의 EBP 기준, WWC 표준 등을 기준으로 논문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비교적 실험연구의 비중이 높은 국내 학습장애 분야 관련 논문 15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논문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심리학 분야의 연구 보고지침(AERA 표준, JARS 지침, TREND 진술문)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국내 연구의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기본적인 보고지침은 준수하고 있으나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과 관련된 보고지침들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 윤리 부분과 관련된 보고지침 준수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복 연구를 위한 충분한 정보를 제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 분야의 연구 보고지침(CEC의 EBP 기준, WWC 표준)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국내 연구의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다수의 연구 보고지침을 준수하고는 있으나, CEC의 EBP 기준에서 제시한 중재자의 자격이나 훈련 항목에 대한 구체적 기술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WWC 표준 분석에서 제시한 무선할당으로 수행된 연구가 부족하여 연구 설계 표준에 부합되는 연구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증거기반실제로서 기준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국내 특수교육 분야 연구 보고지침의 마련이 필요하며, 나아가 연구의 질 향상과 학교 현장에 적용되는 중재 연구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서는 국가 및 지방 교육 당국의 체계적인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This study uses (AERA’s Standards, JARS, TREND statements, CEC’s EBP Standards, WWC Standards, etc., which are used as the main research quality evaluation tools and reporting guidelines to examine the quality of research reports of experimental research papers. The papers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r this, 15 papers related to learning disabilities in Korea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with reporting standards applied in psychology (AERA’s Standards, JARS, TREND statements), Korean journal articles reported relatively insufficient information pertaining to reliability, validity, and research ethics. Furthermore, lack of information for future replication studies was also noticeable among the selected Korean journal articles. Second, with the reporting standards applied in special education (CEC’s EBP Standards, WWC Standards), the selected Korean journal articles abided by multiple indicators of the reporting standards. The selected Korean journal articles, however, showed lack of information regarding qualification and training for people who provide interventions, which is recommended by CEC’s EBP Standards. In addition, a majority of selected Korean journal articles did not correspond with random assignment of research design recommended by WWC. In conclusion, the development research standards for special education in Korea is needed to satisfy the standards for evidence-based practices. Furthermore, systematic supports at both national and regional levels must be provided to improve quality of research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interventions in education settings.

      • KCI등재

        특수교육 분야의 실행연구 분석

        강성구(Kang Seong-goo),이하영(Lee Ha-young),복헌수(Bok Hun-su),권휘정(Kwon Hwi-jeong),임경원(Lim Kyoung-won)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9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특수교육 분야의 실행연구를 분석해 봄으로써 주요 특징과 시사점을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 결과, 국내 특수교육 분야의 실행연구는 목적 측면에서는 전문적 목적, 주제 측면에서는 교수·학습 관련 연구가 많았으며, 주체와 단위 측면에서는 참여자로서의 실행가와 팀 단위의 연구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실행연구가 반성적 순환실행에 따라 설계되어 진행되었고, 수집 자료는 참여관찰자료, 면담자료, 녹화녹음 자료, 반성적 일지 등의 질적 자료가 많았으며, 분석 방법은 특정한 분석절차에 따른 체계적 내용 분석을 활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마지막으로 실행연구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삼각검증, 구성원 검토, 전문가 검토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실행연구는 특수교육 분야의 증거기반 실제를 보완해 줄 수 있는 특수교육 현장 친화형 연구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ion researche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published in journals in South Korea and to examine the main features and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many researches related to a professional purpose in terms of the purpose, teaching and learning in terms of the topic, and a practitioner and a team as participants in terms of the research subject. Second, the action research spiral design was the most common in the action research. Third, the collected data were the qualitative data such as the participation observation, interviews, recording, and reflection journals. Fourth the systematic content analysis as a analysis method was used the most. Finally, triangulation, member review, and expert review were used to increase the validity of the study.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ction research is a special education field - friendly research method that can supplement the evidence - based practice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 쓰기 패턴 기반 플래시 메모리 지움 정책 설계

        강성구 ( Seong-goo Kang ),노한영 ( Han-young Noh ),고광선 ( Kwangsun Ko ),엄영익 ( Young Ik Eo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3 No.1

        본 논문에서는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저장장치인 플래시 메모리의 특징과 플래시 메모리의 단점인 지움 횟수 제한과 느린 지움 속도를 극복하는 지움 정책의 종류를 살펴보고 그 중에서 CAT 기법의 랜덤 쓰기에서의 지움 횟수 증가와 지움 평준화를 위한 비효율성이라는 단점을 개선한 지움 정책을 제시한다. 개선된 지움 정책은 CAT 기법에 쓰기 패턴을 기반한 가중치를 부여해 랜덤 쓰기에서의 성능 하락과 지움 평준화의 비효율성을 보완하는 것이다. 이 때 사용되는 사용자의 쓰기 패턴 파악은 유효한(valid) 데이터 블록과 유효하지 않은(invalid) 데이터 블록의 리스트를 만들어 그 시간 값의 평균을 이용한다.

      • KCI등재후보

        NCS와 발달장애인 적합 직종을 중심으로 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진로와 직업 교과서 내용 분석

        강성구(Kang, Seong Goo),류수연(Ryu, Su Yeon),김수지(Kim, Su Ji),임경원(Lim, Kyoung Won)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논집 Vol.25 No.2

        이 연구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에 기반하여 개발된 중·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교과서의 내용요소가 NCS 및 발달장애인 적합 직종과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지 분석해 봄으로써 향후 진로와 직업 교과서 내용요소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진로와 직업 교과의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교과서 2종(4권)을 대상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내용을 NCS와 발달장애인 적합 직종을 중심으로 개발한 분석 준거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기본교육과정에서의 진로와 직업 교과서는 전반적으로 여전히 진로탐색보다는 직업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인식위주의 활동에 집중되어 있다. 둘째, 학습활동의 핵심역량도 주로 ‘진로직업 역량’ 영역에 치우쳐 있었다. 셋째, NCS와의 연계성은 중학교에서는 ‘문제해결능력’, 고등학교는 ‘기술능력’ 능력 단위에 치우쳐 있었다. 넷째, 교과서에서 제시한 직종도 발달장애인 적합 직종보다는 특정 직종에 치우쳐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진로와 직업 교과서 개정을 위해서는 학습활동의 주요개념 및 핵심역량에 NCS와의 연계성을 높이고, 발달장애인 적합 직종 등을 고려한 내용 재구조화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how the content elem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career and vocational textbooks developed based on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are linked to the NCS and suitable occupations for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improve future career and vocational textbooks. There is a purpose to present. The content contained in the textbooks was analyzed based on the NCS and the appro-priate occupational types for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 analysis criteria developed for two textbooks (4 volumes) develope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of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career and vocational subjects. As a result, first, career and vocational textbooks in the basic curriculum still focus on job rather than career exploration, and awareness-oriented activities. Second, the core competencies of learning activities were also mainly focused on the field of career and vocational competence . Third, the connection with the NCS was oriented toward the units of “problem solving ability” in middle school and “technical ability” in high school.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job types suggested in textbooks were also more oriented to specific jobs than jobs suitable for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refor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for the future revision of career and vocational textbooks, it is necessary to restructure the contents in consid-eration of the major concepts and core competencies of learning activities with the NCS, and taking into account the occupations suitable for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IPv6 주소자동설정 기능을 악용한 서비스거부공격 대응 기법

        강성구(Seong Goo Kang),김재광(Jaekwang Kim),고광선(Kwangsun Ko),엄영익(Young Ik Eom)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Ⅰ

        IPv6 프로토콜은 현재 인터넷 프로토콜로 사용되고 있는 IPv4 프로토콜이 가지고 있는 주소 고갈 문제, 미흡한 QoS 지원, 그리고 다양한 보안 문제를 해결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중에서 이동기기의 원활한 IPv6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하여 IPv6 프로토콜에서는 주소자동설정 기능이 추가되었으나, 이 기능을 악용한 서비스거부 공격 발생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IPv6 프로토콜의 주소자동설정 기능을 악용한 서비스거부공격에 대응할 수 있는 메커니즘으로써 RA 메시지에 일회용 키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 한다.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중등 특수학급 특수교사의 원격수업 경험이 갖는 교육적 의미

        강승모(Kang, Seung Mo),임경원(Lim, Kyoung Won),강성구(Kang, Seong Goo),황인선(Hwang, In Sun),김주희(Kim, Joo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해 원격수업을 진행한 중등 특수학급 특수교사의 원격수업 운영에 대한 경험과 이 경험이 갖는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이후 원격수업을 경험한 중등 특수학급 특수교사 9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2020년 4월부터 6월까지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포괄적 분석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등 특수학급 원격수업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의미는 ‘특수교육에 잔인한 코로나19’, ‘고군분투하는 특수교사들’, ‘Post Corona 준비하기’의 3개 상위범주, 6개 하위범주, 12개의 의미단위로 분석되었다. 도출된 주제를 토대로 교육적 의미와 시사점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수업에 유의미한 수업전략과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교육자료 개발이 필요하고, 둘째, 국립특수교육원을 포함한 여러 전문적인 교육지원기관(KERIS, KEDI, EBS 등) 간의 협력과 학부모 등 조력자 참여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셋째,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여 특수교사와 장애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강화가 요구되며, 장애학생 원격수업 기반 마련을 위한 국가차원의 종합적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xperien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charge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classes who have conducted online classes after COVID-19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April to June 2020 for nine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experienced online classes and the collected interviews and supplementary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comprehensive analysis procedur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th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operation of online classes were analyzed in three upper categories: ‘Corona 19 cruel to special education , Special education teachers struggling against Corona-19 , and Preparing for Post-Corona , 6 subcategories and 12 semantic units. Based on these derived themes, the educational meaning and implication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for online educational materials to be developed based on meaningful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Second, cooperation among various national-wide specialized educational support institutions should be prepared and a plan for participation of assistants such as parents must be prepared. Third, it is necessary to adopt digital literacy skills as essential competencies in online classes, and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national-level policies for the foundation of online class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일반학교 장애학생 지원을 위한 특수학급 유형의 재구조화

        강종구 ( Kang Jong-gu ),강성구 ( Kang Seong-goo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3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일반학교에 배치되어 있는 장애학생에게 장애 유형에 상관없이 특수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특수학급 모형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경도장애, 중도 장애, 신체장애 학생에게 제공될 수 있는 특수교육의 기준과 특수학급 유형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 기준과 관련하여 장애학생의 참여시간, 장애 유형과 정도로 구분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둘째, 특수학급 유형은 학생의 특성, 학급 형태, 지원의 유형을 고려하여 통합형 특수학급, 집중형 특수학급, 독립형 특수학급과 같은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해서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결론: 결론적으로 늘어나는 특수교육적 요구에 현실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단순화되어 있는 특수학급 형태를 보다 전문화하고 다양화할 필요가 있고, 특수학급의 운영 형태를 세분화함에 따라 다양한 특수교육적 요구에 대한 정책적 자원의 균형적인 배분과 특수교사의 전문화를 통한 업무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다만 일반학교 내 독립형 특수학급의 설치는 소규모 특수학교 설립과 함께 충분한 논의 속에서 다루어져야 할 것이며 향후 포함식 통합교육 실행에 따른 변화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is to propose various special classroom models that can be mad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The study tried to present special classroom models that can provide more integrated special education to students with various disabilities rather than a special classroom system centered on students with cognitive difficulties in South Korea. The study tried to deal with it by dividing it into special education service standards and special classroom types. Results: First, it was suggested that the standard for special education de needed to be approached by dividing the participation time of special education target students, the ratio of teachers to students, and the types of disability. Second, it was suggested that special classroom types need to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integrated special classroom, intensive special classroom, and self-contained classroo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classroom type, and type of application. Conclusion: In conclusion, in order to realistically respond to the increasing demands of speci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further specialize and diversify the simplified special classroom types, and as the operation of special classroom is subdivided, a balanced allocation of policy resources for various special education needs and special work reduction can be achieved through teacher specialization. However, the value of self-contained classroom in general schools should be dealt with in sufficient discussion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small special schools, and changes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in the future should also b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