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과보호 및 부모화 경험이 내현적 자기애 성향에 미치는 영향

        강선모,임혜경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과보호 및 부모화가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2개의 대학에 재학 중인 25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과보호, 부모화 검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은 일원변량분석과 상관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부모화는 전체 점수와 일부 하위 요인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과보호는 일부 하위 요인에서만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중다회귀 분석결과 성별을 통제하였을 때, 부모화의 하위 요인 중 불공평이 내현적 자기애의 가장 많은 부분을 예측하였으며, 다음으로 과보호의 하위 요인 중 투사적 과보호, 밀착통제가 내현적 자기애를 잘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들의 함의와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들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overprotection and parentfication on Covert Narcissims of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1 students who are in the National University in Busan. The test tools were covert narcissism scale, overprotection scale, and parentification scale. To analyze the data, one-way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The following result from this study: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covert narcissism, overprotection, and parentification. second, both of overprotection and parentification influenced on covert narcissism. Specifically, the influence of unfairness(a subscale of parentification) was higher than the other subscale of parentification and overprotection on the covert narcissism. Discussions and suggestions related to the result are provided.

      • KCI등재

        부모화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감의 매개효과

        강선모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1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empathy as a mediator between childhood parentif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o this end, a total of 260 students in Busan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 designed to measure their parentification, empath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compare complete mediation models to partial mediation mode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empathy part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fication and well-being. Specifically, parentification-caretaking and parentification-injuctice were found to have direct effect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Parentification-caretaking positively affect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but parentification-injustice negatively influenc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addition, empathy turned out to mediate between parentification-caretak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However, empathy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injucti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the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 시절 부모화가 이후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지역 2개 대학에 재학 중인 260명을 대상으로 부모화, 공감능력, 대인관계 검사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완전매개모형과 부분매개모형을 비교한 결과 부분매개 모형이 더 적합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모화 돌봄이 대인관계에 이르는 직접 경로는 유의미하였고, 대인관계를 향상시켰다. 부모화 불공평이 대인관계에 이르는 경로도 유의미하였고 대인관계를 감소시켰다. 부모화 불공평이 공감능력을 매개로 대인관계에 이르는 경로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부모화 돌봄이 공감능력을 높여 대인관계를 향상시키는 경로는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하고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부모의 부부갈등이 자녀의 수치심에 미치는 영항에 있어서 부모화의 매개효과

        강선모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4

        This study examined Parentifiaction as a mediator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shame. 1,061 university or college students in Busan or Gyeongsangnam-do answered the questionnaire about marital conflict, parentification, shameness. And their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first result shows that marital conflict had a direct effect on shame. Second, marital conflict influence parentification-caretaking and parentification-injustice. Third, parentification-caretaking and parentification-injusti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shame. Specially, parentification-injustice increas shame, but parentification-caretaking decrease shame, though maritital conflict increase both of parentification-caretaking and parentification-injustice. These conclusion provide the significant implications that help preparing intervention strategy for person to feel shame and help doing parental education. 본 연구는 부부갈등이 자녀의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부모화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부산과 경남에 소재한 4곳의 대학과 4곳의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1,114명을 대상으로 부부갈등, 부모화, 수치심으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여, 1,061명의 자료를 통계분석 하였다. 표집된 데이터는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매개효과 검증을 한 결과 부분 매개 모형이 적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부부갈등은 자녀의 수치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부갈등은 부모화 돌봄과 부모화 불공평 모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부부갈등은 부모화 돌봄과 부모화 불공평을 매개하여 수치심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부부갈등은 부모화 돌봄과 부모화 불공평 모두를 높였지만, 부모화 불공평이 수치심을 높이는 것과 달리 부모화 돌봄은 수치심을 낮추는 보호요인의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수치심을 경험하는 개인을 위한 개입전략을 마련하거나, 부모교육을 함에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탄력성과 부모학습관여가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강선모,심혜숙 한국상담학회 2010 상담학연구 Vol.1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resilience and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on the test anxiety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34 students who were in the fifth or sixth grade in a elementary school in Busan. The test tools were Anxious Responses in Testing Scale, Resilience, and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using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the followings: First, both of resilience and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influence on test anxiety. However, the influence of resilience was higher than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on the test anxiety. Second, the resilience and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influence on test-preparation anxiety more than test-taking anxiety, particularly, resilience and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relatively relate to the emotionality factors of both test-preparation anxiety and test-taking anxiety.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reduce test-anxie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ir resilience and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탄력성 및 부모학습관여가 시험불안의 두 국면인 시험준비불안과 시험도중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3개 초등학교 5, 6학년 534명을 대상으로 시험불안, 탄력성, 부모학습관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탄력성과 부모학습관여는 시험준비불안과 시험도중불안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부모학습관여보다는 탄력성이 시험준비불안과 시험도중불안 모두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 둘째, 탄력성과 부모학습관여는 시험도중불안보다 시험준비불안에 대해 더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시험도중불안과 시험준비불안 모두에 있어서 하위요인들 중 정의적 요인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생들의 시험불안을 줄이기 위한 개입을 할 때 탄력성과 부모학습관여가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기존의 연구에서 부모의 학습관여형태로 주로 연구되었던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시험불안과 정적상관이 있었음을 고려할 때, 부모학습관여가 성취압력의 형태가 아니라 민주적이고, 자율적으로 목표와 규칙을 마련하도록 돕고, 학업정보를 제공하며, 공부하기 싫은 마음과 노력하는 마음을 헤아려주고, 더 알맞은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적극적인 학습관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탄력성과 부모학습관여는 시험도중불안보다 시험준비불안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시험준비불안이 높은 아이들의 탄력성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부모의 적극적 학습관여를 고려한 개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시험 불안의 정의적 요소와 인지적 요소 중 무엇이 높은가에 따라 시험불안 감소 훈련의 결과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시험불안의 정의적 요소가 높은 경우 탄력성과 부모의 학습관여에 대한 고려가 더욱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에 따라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진로미결정의 관계:

        강선모(Kang Sun Mo),형정은(Hyung Jung 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4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family strength and career indecision of college student determine self-discrepancy as mediators. For this study, 432 college students(215 men & 217 Women) in Busan answered the questionnaire set about family strength, self-discrepancy, and career indecision from March 2 to 11, 2017. Thos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2.0 which could make work basic data structure model validly and AMOS 21.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there were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discrepa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 and career indeci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family strength as general variable for predicting career indecision had impacted on career indecision directly. It indicated high family strength of college students decreased career indecision. Second, self-discrepan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 and career indecision. This indicated that the family health, which is the developmental aspect of the individual from the structure of the family, affects the level of career indecision of college students through self-discrepancy, which is an individual internal aspect. This conclusion provides the significant implications that we should consider the level of both family strength and self-discrepancy when we prepare intervention strategy for college students to increase career indecision. 본 연구는 가족건강성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기불일치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에 소재한 전문대학에 재학중인 학생 432명(남: 215, 여: 217)을 대상으로 2017년 3월 2일부터 11일까지 가족건강성, 자기 불일치, 진로미결정으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립된 자료는 SPSS 21.0을 이 용해 기초자료분석을 하였고 Amos 21.0을 이용해 구조모형 검증을 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부분매개모형과 완전매개모형을 검증한 결과 부분매개모형이 적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족건강성은 진로미결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즉 가족건강성이 높을수록 진로미결정수준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건강성과 진로미결정의 관계를 자기불일치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의 구조로부터 오는 개인의 발달적 측면인 가족건강성이 개인 내적 측면인 자기불일치를 통해서도 전문대학생의 진로미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전문대학생의 진로상담을 하는데 있어서 가족건강성과 자기불일치 수준을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시사점을 중심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어머니의 주관적 안녕감과 초등학생 자녀의 그릿의 관계 :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주관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강선모(Sun-Mo KANG)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1 상담심리교육복지 Vol.8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와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그들의 주관적 안녕감이 어머니 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그릿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주관적 안녕감의 세대 간 전이가 일어나는지 그리고 그 과정을 양육태도가 매개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 사(KCYPS 2018)의 2차 패널자료를 사용하여 초등학생 자녀와 어머니의 응답이 모두 있는 2,417명 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주관적 안녕감은 어머니의 긍정적 양 육태도를 향상시켰고, 자녀의 주관적 안녕감은 자녀의 그릿을 향상시켰다. 둘째, 어머니의 주관적 안녕감은 자녀의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양육태도를 통해 간접영향을 미쳐 세대 간의 전이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어머니의 주관적 안녕감이 자녀의 그릿에 이르 는 직접경로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양육태도를 매개로 하는 경로, 자녀의 주관적 안녕감을 매개로 하는 경로, 양육태도와 자녀의 주관적 안녕감을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경로의 모든 간접 경로가 유의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진행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mother subjective well-being significantly affects the mother s parenting attitude and the child s grit, whether the intergenerational transition of subjective well-being occurs, and whether parenting attitude mediates the process. To this end, the secondary panel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were used to analyze using data from 2,417 people with responses from bo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mother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mother improved the mother 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child improved the grit of the child.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mother not only directly affecte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child, but also indirectly affected though the parenting attitude, resulting in a transition between generations. Third, the direct path from the mother s subjective well-being to the child s grit was not significant, but all indirect paths from the path through parenting attitude, the path through the child s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path through sequentially mediating parenting attitude and the child s subjective well-being were significa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discussions were conducted and suggestions were made for follow-up research.

      • KCI등재

        부모화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강선모(Kang, Sun-Mo)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논총 Vol.36 No.-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시절 부모화가 이후 개인의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지역 소재한 2곳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260명을 대상으로 부모화, 자기자비, 안녕감 검사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을 통해 완전매개모형과 부분매개모형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부분매개 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모화 돌봄과 부모화 불공평이 자기자비와 안녕감에 이르는 직접 경로는 유의미하였고, 자기자비가 안녕감에 이르는 직접 경로도 유의미하였다. 그러나 매개효과 검증에서 부모화 불공평이 자기자비를 거쳐 안녕감에 이르는 매개경로는 유의한 것에 반해 부모화 돌봄이 자기자비를 거쳐 안녕감에 이르는 매개경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하고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sought to examine self-compassion as a mediator between parentification and well-being. To this end, a total of 260 students in Busan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 designed to measure their parentification, self-compassion, and wellbeing.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compare complete mediation models to partial mediation mode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lf-compassion part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fication and well-being. Specifically, parentification-caretaking and parentification-injustice were found to have direct effects on well-being and self-compassion. In addition, self-compassion turned out to havedirect effects on well-being. However, self-compassion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caretaking and well-being.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the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과거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초기 성인기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침습적 반추와 탈중심화의 매개효과

        강선모(Kang Sun Mo),임혜경(Lim Hye K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7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과거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초기 성인기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이를 매개하는 변인인 침습적 반추와 탈중심화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여론 조사 업체에 의뢰하여 업체가 보유한 전국의 패녈 533명을 대상으로 2020년 10월 15일부터 21일까지, 7일간 실시하였다. 학교폭력 피해경험, 침습적 반추, 탈중심화, 삶의 만족을 측정하였으며, 이 자료들에 근거하여 상관분석과 기초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조모형 검증에 무리가 없음을 확인하고, 측정모형 검증, 구조 모형분석 및 매개효과 검증을 차례로 실시하였다. 또한 개별 경로별로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살펴보았다. 결과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과거의 학교폭력 피해경험 초기 성인기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침습적 반추를 통해 삶의 만족에 이르는 간접경로와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침습적 반추와 탈중심화를 통해 삶의 만족에 이르는 간접경로는 모두 유의하였다. 결론 과거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개인의 삶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로서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침습적 반추를 높이고 탈중심화를 감소시켜 삶의 만족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학교 폭력을 경험한 개인의 삶의 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을 고려할 때 이전 학교폭력의 경험이 간접적으로 미친 영향을 살피고 학교폭력 피해로 인해 증가된 침습적 반추를 감소시키며 탈중심화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hool violence victim experience life satisfaction through intrusive rumination and decentering in early adulthood aged 19-24 years. Methods To this end, we commissioned a polling company to measure the school violence victim experience, intrusive rumination, decentral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533 members of the panel that the company owns for 7 days from October 15th to 21st, 2020. Based on these data, we analyzed and measured basic statistics correla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model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were sequentially performe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1, indirect effec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plus 6.12.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the early adulthood of the past school violence victims was not significant. However, both the indirect path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to life satisfaction through intrusive rumination and the indirect path through intrusive rumination and decentering were significant. Conclusions The effect of the past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on life satisfaction as an overall evaluation of an individual s life acted in the direction of reducing life satisfaction by increasing intrusive rumination and decreasing decentering. Therefore, when considering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school violence, We will consider to examine the indirect effect of previous school violence experiences, reduce the intrusive rumination caused by school violence, and increase decentr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