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사이버 불링 피해 경험의 매개효과

        강선경,서상형 한국국회학회 2024 한국과 세계 Vol.6 No.2

        This study aimed to the mediating effect of cyber-bullying victimiz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chool satisfaction and suicidal ideation by focusing on incidents that occur at school, where adolescents spend most of their time, and on SNS that continue beyond offline.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we conducted a bootstrap test on 2,460 high school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2020 National Survey on Human Right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chool satisfaction reduces cyberbullying victimization and suicidal ideation. Second, cyber-bullying victimization increases suicidal ideation.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satisfaction and suicidal ideation was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by cyber-bullying victimization in the negative dire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chool satisfaction reduces cyber-bullying victimization, which in turn reduces suicidal ideation.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reduce suicidal ideation, interventions to reduce cyber-bullying victimization and increase school satisfaction are needed.

      • KCI등재

        마약중독자들의 재발경험에 대한 질적 내용분석 연구

        강선경,양동현,문진영 한국교정학회 2016 矯正硏究 Vol.- No.70

        본 연구는 마약중독자들의 재발경험에 대한 질적 내용분석 연구로서 마약중독자들의 재발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 사회적 차원에서의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마약중독에서 탈출하여 1년 이상 단약을 유지하였으나 다시 재발한 7인으로 연구참여자 집단을 구성했다.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65개의 의미내용을 구성하였고, 신체적 차원에서는 ‘몸의 과각성’, ‘사라진 금단의 재연’, 가족차원에서는 ‘가족 무관심’, ‘가족 회피’, ‘부부 엇박자’, 사회적 차원에서는 ‘스스로 고립을 자초’, ‘무뢰한으로 살아가기’, ‘가면쓰고 살기’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심리﹡정서적 차원에서는 ‘무망감’, ‘분노’, ‘대체물 찾기’, ‘자기낙인 부여’, ‘생활리듬의 실종’, ‘재무장한 도덕의 해체’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첫째, 도덕적 재무장과 해체, 둘째, 마약중독 재발과 관계된 총체적 차원에서의 동요, 셋째, 회복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가족관계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일상 스트레스와 도박중독 성향의 관계에서 금전동기와 비금전동기의 매개효과: 경륜 참여자를 중심으로

        강선경,최윤,박수빈 대한스트레스학회 2019 스트레스硏究 Vol.27 No.1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monetary and non-monetary motivations between daily stress and gambling addic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480 volunteers in S-area, and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daily stress and gambling addiction were significantly predicted. Monetary and non-monetary motivation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gambling addiction, and as monetary motivation increased, the gambling addiction became stronger. However, in the mediating factors, monetary and non-monetary motivations’ effec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when exposed to daily stress, gambling addiction appears regardless of any motivation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cial welfare practice and policy suggestions for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gambling addict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일상 스트레스가 도박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참여동기인 금전동기와 비금전동기가 도박중독 성향을 매개하는지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소재한 경륜 장외발매소 입장객 4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일상 스트레스와 도박중독 성향 관계는 유의하게 예측되었다. 금전동기와 비금전동기는 도박중독 성향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금전동기 경로에서 상대적으로 중독 성향이 강해졌다. 매개변인을 고려하였을 때, 금전동기와 비금전동기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수준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일상 스트레스에 노출된 경우 동기에 관계없이 도박중독 성향이 나타남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경륜 참여자의 중독예방 및 개선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및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회복자상담사 양성프로그램 개발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 2018년 강원랜드 중독관리센터 동료상담사 양성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

        강선경,박주원,상종열,김용근,심수현 한국웰니스학회 2019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raining program for recovery mentor based on peer counselor program of 2018 Kangwon Land Addiction Care Center (KLACC) in order to get practice-based knowledge. For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such as "how was the training program for peer counselor of 2018 KLACC?" and "what would be the requirement of completion of training program for peer counselor?", and peer counselor programs performed two times were explored. An action research was adopted, in which long-term residents gamblers in recovery participated in education, research, and activities. As a result of conducting research through the spiraling process of planning, execution, reflection and re-execution, it was found that the peer counselor program was useful for fostering fellow mentors rather than peer counselors.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degree of productivity of the educational program, it is necessary to adjust coordination among educational subjects, to offer an advanced course, and to activate self-help group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in discussion and suggestions.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동료집단 회복 상담 기반 구축을 위한 현장기반 지식을 얻기 위해서 2018년 강원랜드 중독관리센터가 도입한 동료상담사 양성과정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2018년 동료상담사 양성과정은 어떠한가?’, ‘2018년 동료상담사 양성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조건은 무엇인가?’라는 연구질문을 설정하고,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된 동료상담사 양성과정과 프로그램 개발과정을 탐색하였다. 프로그램의 계획과 실행, 반성과 평가 과정을 실행연구를 통해 고찰한 결과, 동료상담사 양성과정은 전문상담사(Counselor)보다는 동료 멘토(Mentor)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재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 교육 과목 간 조정, 보충(심화) 교육과정 개설, 참여자 자조모임의 활성화가 뒤따라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에서는 회복자상담사 양성프로그램으로서 2018년 강원랜드 중독관리센터 동료상담사 양성프로그램이 지닌 의의와 한계를 제시하는 한편, 본 연구가 가진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장애자녀를 둔 부모의 태도, 스트레스 대처 및 사회적 지원이 그들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강선경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2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4 No.-

        본 연구는 장애자녀를 둔 부모의 태도, 스트레스대처 및 사회적 지원을 살펴보고, 이들 요인이 장애자녀를 둔 부모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자녀를 둔 부모의 태도(심리적·교육적)는 그들의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장애자녀를 둔 부모의 스트레스 대처는 그들의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장애자녀를 둔 부모에 대한 사회적 지원(친척, 친구, 이웃의 지원)은 그들의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조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장애인 복지관, 특수학교, 그리고 발달장애아 클리닉에서 치료와 교육을 받고 있는 장애자녀의 부모를 모집단으로 정하고, 탐색조사와 예비조사를 거쳐 완성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2002년 7월 14일부터 2002년 8월 18일까지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회수한 질문은 SPSS/WIN 10.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자녀의 장애를 수용하고 자녀가 나아질 것이라는 희망이 부모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부모의 심리적·교육적 태도가 부모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자녀가 더 나아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강조하여 부모의 태도를 변화시키는 것이 장애자녀를 둔 부모를 위한 프로그램이 나아가야 할 과제임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장애자녀를 둔 부모는 장애자녀의 실재 문제해결을 가족내에서 시도함으로써 그들의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자녀의 정서적인 면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이처럼 실재문제해결을 시도하려는 부모들에게서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자녀를 둔 부모들이 스트레스를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방안과 장애자녀의 문제해결 능력을 키우는 데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적 지원 면에서는 친척의 지원이 가장 많았고, 지원의 유형 중에서는 정서적 지원이었다. 그러나 사회 관계망의 구성요소 중 친구의 지원만이 장애자녀를 둔 부모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이는 장애자녀를 둔 부모 요구에 부합하는 사회관계망의 구성요소를 찾아내어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ttitudes,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s of parents with handicapped children and to assess the impacts of these factors up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parents. The research questions are: (1) do the attitudes (psychological, educational) of parents with handicapped children influence their life satisfaction? (2) do the stress coping skills of parents with handicapped children influence their life satisfaction? and (3) do the social supports (from relatives, friends, and neighbors) of parents with handicapped children influence their life satisfaction? The target population were parents having handicapped children who were being treated and educated in the welfare centers, of the special schools, and developmental clinics, in Seoul.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14 to August 18, 2002. Using a SPSS/WIN 10.0 program, the analysis of the data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parents psychologically accepted their children's handicapped situation and showed the future-oriented attitudes with a hope that their children would be improved. Such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attitudes affected their life satisfaction. Accordingly,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future direction of a supportive and educational program for the parents with handicapped children is to emphasize the possible improvement of their handicapped children, thereby changing the attitudes of the parents. Second, the parents were coping with their stresses related to having handicapped children, by actually tackling the problems of their handicapped children, but within their family unit. Then, the parents who tried to actually tackle the problem of handicapped children, rather than the parents trying to focus on the ?? aspects, showed higher life satisfaction. Therefore, the program for the parents needs to focus on the effective handling of their stresses, and the improvement of their problem-solving capabilities. Third, according to the parents, the relatives' supports were the major source of their social support, as compared to the supports of friends or neighbors. However, only the friends' supports affected the parents' life satisfaction. Thus, this result implies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parents life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provide the types of social network satisfactory to the parents' actual demands.

      • 회복자로 살아가는 남성 마약중독자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강선경,최미경,이소영 아시아교정포럼 2022 아시아교정포럼 학술대회 Vol.2022 No.04

        This study selected a male who maintaining and staying his life as sober during the last 20 years after recovered from drug addicts, and used narrative inquiry method suggested by Clandinin and Connelly(2000) in order to explore the life-time events and recovery experiences. Especially this method pursued three 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s such as internal orientation, external orientation, and from the past to the future. The composed story of the study participant was the first, ‘a blight childhood', the second, ‘the bosom of the family, but revolving door of the mental hospital', the third, ‘reflection of the empty shell life', the last, ‘arms around each other's shoulders in the society' The drug was a substitute for the study participant as escape from domestic violence and as calming down uneasiness, reaching to a homelessness, but eventually finding self-identity and free from drug addicts through spiritual awakening. Based on the study findings,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drug addicts’successful rehabilitation were suggested such as family education, follow-up care, rehabilitation training, and building of self-identity through a success case.

      • 장애자녀를 둔 부모의 태도, 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지원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강선경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02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02 No.-

        본 연구는 장애자녀를 둔 부모 (이하 “장애자 부모”) 의 태도, 스트레스대처, 사회적 지원을 파악하고 이들 요인이 장애자 부모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자 부모의 태도 (심리적, 교육적)는 그들의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장애자 부모의 스트레스 대처정도는 그들의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장애자 부모에 대한 사회적 지원 (친척, 친구, 이웃의 지원) 은 그들의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가? 조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장애인 복지관, 특수학교의 주간보호센터, 발달장애아 클리닉에서 치료와 교육을 받고있는 장애자녀의 부모를 모집단으로 정하 고, 탐색조사와 예비조사를 거쳐 완성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2002년 7월 14일부터 2002년 8월 18일까지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회수한 질문은 SPSS/WIN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자녀의 장애를 수용하고 자녀가 나아질 것이라는 희망이 부모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부모의 심리적 교육적 태도가 부모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자녀가 더 나아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여 부모의 태도를 변화시키는 것이 장애자 부모를 위한 프로그램이 나아가야 할 과제임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스트레스 대처에 있어서, 장애자 부모는 문제지향적 대처로서의 도구적 기능이 높았으며 소극적으로 그들의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구적 기능만이 생활만족도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장애자 부모들이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능력과 방안, 가족적 상황에 부합되는 계획과 기능을 가지고 문제해결 능력을 키워 스트레스로부터 상처를 적게 받고 가족이 처한 상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장애자 부모에 대한 사회적 지원은 보통 수준이었다. 친척의 지원이 가장 많았고, 지원의 유형 중에서는 정서적 지원이었다. 그러나 사회관계망의 구성요소 중 친구의 지원만이 장애자 부모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사회적 지원의 양을 무조건적으로 증가시키기보다는 장애자의 부모 요구에 부합하는 지원유형과 이를 제공하는 사회관계망의 구성요소를 찾아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공격성 감소와 사회재적응 향상을 위한 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강선경,박인숙 한국교정학회 2005 矯正硏究 Vol.- No.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reducing probationers' aggressiveness and of increasing their motives for social readjustment by implementing the solution-focused group program. For this study, 40 participants, under the probation from the S Probation Center in Seoul,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o the control group. The solution-focused group program was designed, with each session lasting 2 hours. The analysis of the group intervention was to compare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garding the participants' aggressiveness and social readjustment. Further, the participants' self recorded report on their changes and session progress records were used to evaluate the accomplishment of the goals set forth in the beginning of the study for a qualitative evaluation. The results showed some positive changes in participants' aggressiveness and social readjustment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Moreover, most of th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ccomplished their goals that they had set in the beginning of the study. Overall, the solution-focused group program was successful in drawing the participants' inherent competence and contributed to reducing their aggressiveness and increasing their social readjus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의 우발적이고 충동적으로 발생되는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대처능력을 향상시켜 사회에 바람직한 적응을 할 수 있도록 해결중심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공격성 및 사회재적응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소재 S보호관찰소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 40명 중 실험집단 20명과 통제집단 2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 대상자에게 6회기 구조화된 해결중심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1주일에 1회, 매회 2시간씩 총 12시간을 실시하였다. 집단개입에 대한 분석은 비교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로 이루어졌다. 측정영역은 공격성과 사회재적응력 이었으며, 목표달성의 개념을 적용하여 대상자들의 행동변화 목표가 집단프로그램을 통하여 성취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공격성 감소와 사회재적응 향상을 나타내어 해결중심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들의 사회적응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목표성취에 대한 분석은 대상자들이 설정한 목표를 대부분 성취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해결중심 프로그램 개입이 참여 동기와 목표성취 동기를 높이며 자신감을 얻게 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위에 나타난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장점을 찾아 칭찬하고 격려하며 이를 강화시켜나가는 해결중심 프로그램은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들에게 내재되어 있던 자신감(competence)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자신감이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사회적응 능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평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