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의 경기남부 해로와 大阜ㆍ靈興島

        강석화(Kang Seok Hwa)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00 기전문화연구 Vol.28 No.-

        대부도와 영흥도는 경기만 남부해로의 중요 경유지였다. 조선후기에 상업이 발달하고 각종 화물의 해상운송이 활발해지면서 이 해로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었다. 반청해양세력이나 해적의 침공가능성, 황당선이라 불리는 중국어선의 출몰을 막기 위해 조선후기에는 서해안 방위체제가 정비되었고 대부ㆍ영흥도 지역도 예외는 아니었다. 조정에서는 이곳에 진을 설치하여 관리하기도 하였으나 민폐가 커서 곧 폐지하였다. 18세기 중엽에 제작된 고지도와 19세기 후반의 고지도를 비교해 보면 18세기초까지도 대부도와 육지간의 수로를 주로 이용하였으나 점차 갯벌이 확장되어 이용이 불편해졌고 대부도와 영흥도 사이, 영흥도 서쪽의 외양을 주통로로 이용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세기 후반 프랑스와 미국의 침공을 겪은 후 대부도에 진을 두려는 방안이 다시 논의되었으나 곧 폐지되었고 영흥도에 진이 설치되었다. 선박들이 주로 이용하는 경로 방위를 위해서였다. Daeboo Island and Youngheung Island are located in key point of south coastal route in Kyeongki Bay. Every vessel passed through nearby these islands. To drive away the Chinese pirate and fishing vessel, the Choseon Government formulated the defensive system of West Sea. And military fortress was founded at Daeboo Island. But the people in island couldn t stand their new burden and duty, the fortress was abolished. Using old Korean maps, we can see the fact that the main coastal route had been changed. The straight between Daeboo Island and the land was important in 18th century. But in 19th century, that was blocked by mud, so the straight between Daeboo and Youngheung, or west coast of Youngheung became the main route.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조선후기의 북방영토의식

        강석화(Kang Seok-Hwa) 한국사연구회 2005 한국사연구 Vol.129 No.-

        After 17th century, the competition for ginseng between northern land Koreans and Manchurians were increased, the Emperor of Qing wanted define the borderline between Chos?n and Qing. In 1712, a diplomatic official from Qing established a Monument stating “Borderline between two countries lies from Yalu river on the east, to Tomun river on the west" on Tomun river's head, not on Tuman river's. The treaty of 1712 caused many people to take interest in territories of ancient States. As geographical information on Mt. Paekdu had increased, it became clear to distinguish Tuman and Tomun rivers. They thought that Tuman river wasn't the border between Chos?n and China, and the real one was lied in Manchuria. This perception was the background of territorial dispute between Chos?n and Qing in 1880's.

      • KCI우수등재

        19세기 함경도 지역의 환폐(還弊)와 민의 동요

        강석화(Kang, Seok-Hwa) 역사학회 2016 역사학보 Vol.0 No.232

        In 19<SUP>th</SUP> century, for the operating system of the grain loan in Hamgyeong province, as categories of spending and the amounts were few beside the interest, the leftovers kept being added to the original tax grain. Therefore, it was inevitable to raise the amount of the tax for the main grain loan including Gyojegok(交濟穀). In addition, the officers’ corruption aggravated the residents’ burden. Though many discussions took place to supplement the problem of the grain loan, their main purpose were just basic theories and bills to prevention of the tax loss only to choose competent leaders and prevent the them from corruption, but opinions such as changing the system from the beginning didn’t appear or were never reviewed. Therefore, many plans were operated such as taxing unreceived grain for years except the interest and modifying burdens by towns, but the total grain loan kept rising and the residents’ burden increased. In the late 19th, people"s resistance to overcome the burden appeared directly. Some residents living riverside including Musan moved across the Tumen river and the Amnok river to the opposite side region. This became the reason of Joseon and Qing’s border dispute. People in the Southern Hamkyeong Province arose riots to resist. The Hamheung People"s Riot in 1862 was the representative one.

      • KCI등재

        조선후기 함경도 지역민의 국가의식

        姜錫和 ( Kang Seok Hwa ) 진단학회 2021 진단학보 Vol.- No.136

        조선 팔도 가운데 가장 동북변에 있는 함경도는 공식적으로는 태조 이성계와 그 선조들의 활동 무대였으므로 왕기(王基)가 형성된 곳이라는 뜻으로 풍패지향이라 불렸으나, 실제로는 중앙 조정과 왕실에 저항하는 지역 반란이 일어난 곳이며, 유학을 중시하는 다른 지역과 달리 풍토와 기질상 무예를 중시하는 곳으로 인식되었다. 1712년(숙종 38)의 백두산 정계 이후 압록ㆍ두만 양강 이남 지역이 조선의 고유 영토로 재확인되었으며 함경도에 대한 영토 의식은 더욱 확고해졌다. 지역 주민들의 경제활동이 보장되고 거주 인구가 늘어나는 등 지역 개발도 진행되었다. 북어나 북포 등 특산물 거래가 활발해지고 상업과 무역이 성장하여 경제적 여건도 개선되고 있었다. 다른 지역에 비해 여전히 수준이 낮은 편이었으나 문예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었다. 그러나 함경도 지역을 이역으로 취급하는 일반적인 분위기가 크게 변하지는 않았다. 이에 함경도 지역의 유력 인사들은 우호적이지 않은 외부의 시각을 극복하기 위해 함경도가 풍패 지향이라는 점을 부각시키고 반역향이라는 관념과 궁마지향이라는 차별적 시각을 불식시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경주하였다. 함경도는 조선의 중요한 강역의 일부이며 도민들 역시 조선민의 일원임을 인정받으려 한 것이다. 함경지역의 인사들은 왕실사적 현창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동참하여 함경도가 조선 왕조의 중요한 근거지임을 알리려 하였고, 지역반란이 있었다 해도 지역민들이 봉기하여 주모자들을 처단하였음을 부각시키려 하였다. 변경지대라는 특성 때문에 고착된 궁마지향이라는 관념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마다 중앙의 주요 학자들과 학맥이 이어진 문학지사들이 있는 유교적으로 교화된 곳이라 강조하였다. 유교적 소양을 중시하는 조선의 일반적 가치가 함경도 지역에도 구현되어 있음을 알리려 한 것이다. 역사지리적으로도 함경도는 조선 건국 전후에 새로 편입된 강역이 아니라 단군과 기자 이래 조선의 고유한 영역이었음을 강조하였다. 특히 조선 후기에 백두산이 조선 전체의 상징으로 부각되면서 백두산이 있는 함경도민들의 지역적 자부심은 더욱 높아졌다. 함경도는 더 이상 조선의 중심에서 멀리 떨어진 변방이 아니라 국가의 상징이 있는 조선의 중심, 조선의 뿌리라 생각하게 된 것이다. 함경도의 주민들 역시 변경인 혹은 이질적인 존재가 아니라 조선의 당당한 주인, 조선 지리와 역사의 주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되었다. 자기 지역에 대한 이러한 자긍심은 함경도 지역민들의 국가관을 더욱 고조시켰다. 조선의 최북단 변경지역인 함경도 주민들은 외지인들의 편견에도 불구하고 조선인으로서의 자의식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는 조선시대 국가관은 물론 20세기 이후 지금까지 이어지는 민족관념을 확인할 수 있는 실마리가 되기에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19세기말에서 20세기 초, 국가의 주권을 유지하기 어려웠던 시기에 함경도 출신으로 독립운동에 투신하였던 이들의 사상적 연원은 이같은 지역민들의 국가관에서 찾을 수 있다고 본다. Located in the edge of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whole nation, Hamgyeong-do was officially called the Homeland of Kings, meaning the land where the root of the dynasty was formed as Taejo Yi Seong-gye and his ancestors were active. However, as a matter of fact, it had been recognized as the place where local rebel arose and people emphasized martial arts due to its climate and disposition, unlike the other regions that focused on Confucianism. After the delimitation of Mt. Baekdu in 1712 (Sukjong 38), the southern region of both Amnok and Duman rivers was reconfirmed as the own territory of Joseon that the territorial awareness of Hamgyeong-do became more solid. The community developments such as guarantees of the local economic activities and increase in population were also carried out. Furthermore, the business of local specialties including dried pollacks became popular and economic conditions were improving as commerce and trade grew. Though the level was still low compared to other regions, interests in literature were increasing too. However, the general circumstances to treat Hamgyeong-do as a foreign station hardly changed. To remove these unfavorable perspectives, the figures in Hamgyeong-do devoted to highlight the region is the Homeland of Kings, and remove the disgrace and discriminative perspective of the Homeland of Rebels and Warriors. It was aimed to be recognized that Hamgyeong-do was an important part of Joseon's domain and those who resided were also parts of its people. The figures in Hamgyeong-do actively promoted and participated the development projects on historical sites of the royal family to inform that Hamgyeong-do was the important base of Joseon dynasty. Also, they emphasized that even when a rebellion arose, the locals rose against the rebels and executed the leaders in the end. To overcome the concept of the Homeland of Warriors, biased due to the natures of borderland, they also emphasized that every place was reformed by Confucianism with scholar-officials, connected with the major scholars in the central government. They wanted to inform that the Confucian ideas, the general value of Joseon, were practiced on Hamgyeong-do as well. Historically and geologically, Hamgyeong-do was noted that it had been the inherent region of Joseon since Dangun’s and Kija’s reign, not merged before or after Joseon’s establishment. Especially, as Mt. Baekdu stood out as the symbol of the entire Jose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elf-esteem of people in Hamgyeong-do grew higher and higher. Hamgyeong-do was not considered a borderland far from the capital anymore, but the center and root of Joseon with the symbol of its nation. People of Hamgyeong-do also had changed from border people or alien beings to righteous figures and leading people of geology and history of Joseon. Such pride about their own region raised the views of nation of people in Hamgyeong-do. They kept their identities of Joseon in the northernmost region despite the others' prejudices. It is considered to be the evidence to confirm the views of nation not only in Joseon dynasty but also in the present that began in 20th century. Between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when it was hard to maintain the national sovereignty, the people from Hamgyeong-do who threw themselves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had their thoughts originated from the locals' views of nation.

      • KCI등재

        백두산 정계비와 간도문제

        강석화(Kang, Seok Hwa)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05 기전문화연구 Vol.32 No.-

        조선전기에 북방지역의 여진인들을 몰아내고 4군과 6진을 개척한 후 우리나라의 북방경계는 통상 두만강과 압록강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조선후기에 초피(貂皮)와 삼(蔘)을 구하기 위한 북방 지역 주민들과 청인들의 조선인들의 충돌사건이 빈발하였다. 청 정부에서는 양국간의 경계가 불명확하기 때문에 문제가 계속 생겨나는 것이라 보고 양국의경계를 조사하여 명백히 규정하기 위해 오라총관(烏喇摠管) 목극등(穆克登)을 파견하였다. 그는 백두산에 올라 압록강과 토문강의 수원을 스스 로 정한 뒤에 이른바 분수령(分水嶺) 위에 「서위압록 동위토문(西爲鴨綠東爲土門)」이라는 내용의 정계비를 세웠다. 이후 조선정부는 백두산과 압록강, 두만강 이남지역을 철저히 확보하였으며 토지가 활발히 개간되고 인구가 급격히 늘었다. 또 고대 국가의 옛 영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고대국가의 강역까지 회복해야 한다는 의식도 강해져 갔다. 19세기 후반에는 북변 지역 주민들의 간도 지역 이주도 급증하였다. 아울러 정계비에 기록된 토문강과 두만강이 서로 다른 것임을 알게 되자 양 국의 실제 경계는 두만강이 아니라 토문강이라는 주장이 널리 퍼졌다. 19세기 말의 간도(間島) 영유권 분쟁은 이러한 역사적․사상적 배경을 가진 것이었다. From early 15th century, Joseon excluded Yeojin(女眞) parties from Pyeongan and Hamkyeong provinces and occupied Yalu river, Mt. Baekdu and Tuman river line as the northern frontier. After 17th century, the competition for ginseng between northern land Koreans and Manchurians were increased, the Emperor of Ching wanted define the borderline between Joseon and Ching. In 1712, a diplomatic official from Ching established a Monument stating Borderline between two countries lies from Yalu river on the east, to Tomun river on the west on Tomun river s head not on Tuman river s. As geographical informations on Mt. Baekdu had increased, it became clear to distinguish Tuman and Tomun rivers. In 19th century, many peasants migrated into the Gando region of Manchuria. They cultivated new farm land and formed village, but ching government didn t control or prohibited their work. In 1880 s Ching tried to assimilate these people into its nationality, but they resist it and insist that Tuman river and Tomun river are different and Gando region was the territory of Joseon, not of Ching. The groun of their maintenance was the monument of Mt. Baekdu which declared Tomun not Tuman .

      • KCI등재

        조청 국경 문제에 대한 새로운 시각 : 이화자, 『한중국경사 연구』(혜안, 2011)에 대한 서평

        강석화 ( Kang Seok Hwa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0 No.26

        조선과 청의 국경선은 압록강-백두산-두만강을 잇는 선이었다. 그러나 압록강과 두만강의 발원지를 확인하고 백두산 일대의 지형을 조사하여 정확한 경계선을 정하려 했던 1712년(숙종 38, 청 강희 51)의 백두산 정계 이후 조선에는 새로운 변경의식이 대두하여 조선과 청의 현실적 국경과 이상적 혹은 역사적 강역을 구별하여 보는 견해가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李花子 교수의 『한중국경사 연구』(2011, 혜안)는 백두산 정계와 그 이후 설책 공사의 실상, 조선과 청의 실제 국경과 국경인식, 이른바 분계강 인식의 유래, 1880년대 이후 조선과 청 양측의 사정 변화와 인식의 변화, 대한제국기의 간도 정책 등에 대해 자세히 정리한 연구 업적이다. 백두산 정계당시의 사정은 물론 1880년대의 조ㆍ청 공동감계, 청의 백두산 지역 조사와 지리지에 실린 백두산 및 수계 등에 대한 내용이 실려 있다. 특히 백두산정계 후 조선 측에서 진행한 설책 공사의 내용에 대해 새로운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저자는 백두산 정계 직후 조선 측 공사담당자들이 정계비에서 두만강의 발원지인 홍토산수까지 토퇴와 석퇴, 목책을 설치하였다고 주장한다. 정계 당시 두 나라 관원들은 두만강 수원을 찾으려 하였고 목극 등이 송화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수원을 잘못 지적하였으나 공사담당자들이 올바른 두만강의 수원까지 공사를 진행하였으므로 문제가 없었으나, 후대에 이 사실을 잘 모르고 두만강, 토문강, 분계강에 대한 잘못된 관념이 생겼다는 것이다. 그러나 1880년대에 조선과 청의 감계회담 때 확인된 토퇴의 흔적은 송화강으로 유입되는 황화송구자와 연결되어 있으며 두만강과 이어지지 않았다. 논란의 여지가 있는 부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서는 실제간도문제가 나타났던 19세기 말, 20세기 초의 감계회담과 대한제국의 간도정책, 당시 국제 관계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의 출발점으로 의미가 있는 책이다. Although the borderline between Choson and Qing was the Yalu River-Mt.Paektu-the Tumen River, some scholars of Choson thought that the line was not the original and historical Sino-Korean frontier. Such idea had spreaded widely after the demarcation in 1712. A Study on the History of Sino-Korean Frontier―Professor Lee Hwa Ja(Li, hua zi)'s new book―is the important work about the demarcation in 1712, the construction of border fences nearby the demarcation stone and the riverhead of the Sungjanghe River, the origin of the thinking about the Bungyegang(it means the demarcation river), the change of thinking about the Sino-Korean border in Choson and Qing from the 1880s and the Gando(Jiandiao)Policy of the Korean Empire in the early 1900s. This book especially shows the new idea about the fence construction by Choson after the demarcation in 1712. The author asserts that the workers who had constructed the heaps of earth, piles of stones and wooden fences to make clear the Sino-Choson border line after the demarcation in 1712 had made wooden fence from the Hwanghwasongguja which flow in the Sungjanghe River to the Hongtosansu, the riverhead of the Tumen River. But the ruins of the plies of stones which had been found on 1880s just connected to the Hwanghwasongguja not to the Hongtosansu. Despite of the some misinterpretation of the historical materials and old maps, this book can be served as the starting point of studies about the Sino-Choson border negotiations in 1880s, the Gando Policy of the Korean Empire and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early 190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