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토성별 수분특성을 고려한 자동 관개 시스템의 시설토경 작물 적용성 연구

        강상현 ( Sanghyeon Kang ),김영진 ( Youngjin Kim ),이상봉 ( Sangbong Lee ),김희태 ( Heetae Kim ),김민영 ( Minyoung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농업인구의 급격한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감소에 대응하여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에 따라 관개용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자동 관수 시스템의 유용성이 대두되고 있다. 자동관수 시스템은 실시간 토양수분 데이터에 기반하여 관수 여부를 무인자동 및 원격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다. 토양수분 센서로 측정된 토양 수분이 작물 및 토양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일정한 기준값 이하일 때 관수를 시작하고, 관수 후 적정 수분값에 도달하였을 때 중지되도록 제어한다. 적절한 토양수분은 작물의 종류와 생육 시기, 토성, 용적 밀도 등에 따라 달라지는 포장 용수량의 토양 수분값으로 결정되므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장 농업인이 직접 결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 토성의 토양 수분 특성에 따라 적절한 토양 수분값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면서, 관수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갖춘 자동 관수 시스템을 개발하여 토마토 시설토경 현장에 적용하였다. 작물의 토양수분 기준은 토양 수분장력값으로 제시되어 있으며, 관수 개시 수분과 포장 용수 수분의 구간을 -33 ∼ -10 kPa, -25 ∼ -10 kPa 로 제어하는 2개의 시험구와 1개의 관행구에서 현장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FDR) 센서는 토양 용적수분값을 측정하기 때문에 현장 적용을 위하여, 토양 수분장력값을 토양 용적수분값으로 환산한 데이터로 회귀방정식을 세워, 설정한 관수 기준값에 맞는 용적수분값을 도출하였다. 관수 기준값이 -33 kPa 실험구, -25 kPa 실험구와 관행구의 실험 결과를 확인하였고, 자동 관수 시스템이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시·공간적 안정성을 통한 자동 관개시스템의 토양수분 대표지점 선정 연구

        강상현 ( Sanghyeon Kang ),김민영 ( Minyoung Kim ),김영진 ( Youngjin Kim ),김희태 ( Heetae Kim ),이상봉 ( Sangbong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최근 농업의 스마트화에 대한 관심도가 기존의 시설원예 중심에서 노지 분야로 확대되고 있으며, 노동력 절감 및 물 부족 대응을 위한 노지 스마트 관개기술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2019년 대비 2021년에 노지 자동 관개시스템의 적용 농가 수는 노지 채소 6.5배, 노지 과수 4.5배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노지 자동 관개시스템이 전국적으로 확대 적용되고 있으며,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다. 노지 자동 관개시스템은 토양수분센서에서 계측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개시점과 관개량을 판단하여 용수를 공급하기 때문에 토양수분의 계측 기술이 필수적이다. 현재 농가들은 비용절감 목적으로 포장당 1~2개의 센서를 설치하고 있으나, 센서 설치방법과 관련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보통 센서를 포장의 중앙에 설치한다. 설치위치의 수분이 평균치보다 높은 수분값을 가지고 있으면 과소 관개할 수 있어 건조피해가 발생할 수 있고, 평균치보다 낮으면 과다 관개 가능성이 있어 과습 피해가 우려된다. 이처럼 센서의 위치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하고자 토양수분 대표지점 선정이 필요하다. 토양은 암석의 풍화산물과 이에 분해되어가는 유기물이 섞어지고 기후, 생물의 작용을 받아 변화되기 때문에 수직적 또는 수평적으로 불균일성을 갖는 이질성의 자연체로서 다양한 지형과 토양 그리고 작물 재배조건 등 여러 요인에 따라 구명이 쉽지 않다. 이러한 토양에 대해 시·공간적 안정성을 기반으로 토양수분 대표지점 선정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김제시 광활면의 시험포장에 총 20개의 FDR(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센서를 5 m 간격의 4⨉5 격자 모양으로 지표 아래 15 cm 깊이에 설치하였고, 시험포장의 기상상황을 알기 위해 일사량계, 강우량계, 온습도계 등을 포함한 기상대도 같이 설치하였다. 설치된 토양수분 센서에서 계측한 데이터를 통하여 토양수분분포의 시·공간적 안정성을 구명하고, SWAP(Soil Water Atmosphere Plant) 모델에 적용하여 불포화/포화 토양에서 수분 및 용질 등의 이동을 시뮬레이션하고, 토양수분분포를 모델링하여 토양수분 대표지점을 선정할 계획이다.

      • 스탠딩 데스크 사용의 효과: 인지적 주의분산과 육체적 부하

        강상현(Sanghyeon Kang),이주형(Juhyeong Lee),진상은(Sangeun Jin) 대한인간공학회 2019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9 No.10

        Objective: The goal of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it-stand desks on physical workload and cognitive performance under dual task paradigm. Background: Six of seven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cognitive performance between the sitting desk and standing desk, but they only tested cognitive abilities without any primary task that may not tap into enough cognitive resource. Method: Total 12 participants visited two times for testing both sitting and standing workstations, and asked to play the Tetris game (primary task) for 40 minutes. The experimental protocol consisted of four 10 min sessions, and each session had level of difficulty in primary task including two easy levels and two difficult levels. The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three cognitive tests (secondary task), kinematic and kinetic measures, captured about every 5 min. Results: Head flexion angle and lumbar flexion angle were significantly better in standing (more neutral) than sitting. In addition, the movement of center of pressure (CoP) was significantly bigger in standing than sitting, the but complexity of movement captured by the sample entropy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standing desk suggesting that the cognitive load paid for standing is greater. In line with this, cognitive performa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workstation condition, but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Specifically, cognitive performance decreased under the standing desk as compared to the sitting desk. These findings provide an evidence that the standing posture leads to increase in cognitive distraction because of having a higher degree of freedom in body segments and consequently bigger cognitive load. Conclusion: While using a standing desk the physical workloads can be reduced, but the cognitive load and distraction could be increased.

      • 지역농업 활성화를 위한 노지 스마트농업 모델 연구

        최인찬 ( Inchan Choi ),강상현 ( Sanghyeon Kang ),이상봉 ( Sangbong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최근 농업인구의 감소와 고령화를 해결하기 위해 4차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팜이 활성화 되고 있다. 국내 스마트팜은 온도, 습도와 기상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창문개폐, 양액공급, 냉·난방 등을 원격으로 제어ㆍ관리하는 기술을 포함한 온실과 축사에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농산물의 대량생산이 이루어지는 노지 농업에서의 스마트팜 확산속도는 빠르지 않으며, 현장에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스마트 농작업기, 센서를 통한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물 공급·관리를 위한 관수 시스템으로 스마트 노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먼저 노지 스마트농업 대상지는 고령화와 지역 소멸화가 높은 경북 의성군을 선정하고 농업환경, 주요 작목 문제점 파악 등 농업기술 및 경영, 스마트농업 인프라 구축현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지역 단위 스마트농업 모델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 대상 지역 농업 현장에 적합한 영농기술을 제시하였다. 의성군 주요 작목은 벼, 마늘, 사과이며, 총소득액의 66% 차지하고 있다. 이 작목을 중심으로 인터넷을 활용한 노지 스마트농업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벼에는 물 공급·관리를 위한 자동물꼬와 재배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마늘은 봄 가뭄을 해결하기 위한 원격관수시스템, 사과는 폭염 및 서리를 위한 차광망, 관수를 위한 원격제어시스템과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구성된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본 시스템은 인터넷 기반으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원격제어와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이전의 자동 물꼬 연구(2007)에서 기존물꼬 대비 86.2% 관리노력이 절감되었고, 시설원예 스마트팜(2016)에서는 영농 편의성이 23.9%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역단위 노지 스마트농업 지원 모델에 대한 노동력 감소, 편의성, 경제성 등에 대한 정확한 조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역에 적합한 스마트농업 기술을 통해 농작물 피해 최소화와 안정적인 농업 생산 기반을 마련하고 노지 관개시설로 물 절약을 통한 탄소중립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 제습기의 에너지 효율증가를 위한 자연모사기술의 제안

        윤성진,송경준,박병길,김완두,강상현,이선용,임현의,Yun, Seongjin,Song, Kyungjun,Park, Byung Kil,Kim, Wandoo,Kang, Sanghyeon,Lee, Sun Yong,Lim, Hyuneui 대한기계학회 2013 대한기계학회 논문집. Transactions of the KSME. C, 산업기술과 혁신 Vol.1 No.2

        Even though global warming and humid climate have resulted in an increase of use of dehumidifiers, they are not becoming more common because of high energy consumption. Furthermore, conventional dehumidifier technology finally reaches the limit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of water collection. As an alternative, nature-inspired technology may lead to a major breakthrough in the dehumidification performance.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dehumidifiers, we first analyze the energy consumption of commercial dehumidifiers and then study bioinspired water collection methods adopted by Namib beetles and grass. 기후가 무덥고 습해지면서 제습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지만, 제습기의 에너지 소비가 크고, 전기제품의 사용 증가로 인하여 전력이 부족하기에 제습기의 사용이 보편화되지 못 하고 있다. 제습기술은 오랜 시간 동안 최적화된 기술로써 기존기술을 바탕으로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데에는 한계에 도달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높은 에너지 효율, 즉 소비전력이 낮으면서 제습성능이 높은 제습기의 개발 요구가 계속되고 있고, 그 해답은 자연모사기술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상용품인 제습기의 소비전력을 분석하고 자연에서 무동력으로 공기 중의 수분을 포집하는 딱정벌레 등껍질이나 식물들로부터 영감을 얻어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아이디어를 살펴보고자 한다.

      • 토양수분에 기반한 자동 관수 시스템의 관수 기준 설정 알고리즘 개발

        김영진 ( Youngjin Kim ),강상현 ( Sanghyeon Kang ),이상봉 ( Sangbong Lee ),김희태 ( Heetae Kim ),김민영 ( Minyoung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1

        토양수분 변화에 기반한 자동 관수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관수를 자동으로 개시하고 중지할 수 있는 기준 값의 설정이 중요하다. 이때 관수 기준값은 작물의 종류와 생육 시기, 토성, 용적 밀도 등에 따라 달라지는 포장 용수량의 토양수분값으로 결정된다. 그러나, 토양수분 기준은 토양수분 장력(kPa 또는 pF)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자동 관수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채용되는 FDR 등 토양 용적수분(%)을 측정하는 전기적 센서에 직접 적용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토양수분 장력을 토양의 용적수분으로 환산할 수 있는 수분특성 분석이 필요하다. 토양의 수분특성 분석은 전문적인 지식과 분석 경험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장 농업인이 직접 파악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조건에 따라 적절한 토양 수분값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관수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재배 작물의 명칭, 재배 지역 및 재배 토양의 토성 등을 조건 변수로 하여 적절한 토양 수분값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내장 함수를 이용해 환산하는 프로그램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작물의 종류 및 생육 시기별 토양수분 기준을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내장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작물에 적합한 토양수분 장력 값을 추출하게 된다. 토성별 토양 수분특성 곡선으로부터 2차 회귀 방정식(R2=0.9 이상)을 유도하였으며, 토양수분 장력 값을 용적수분 값으로 환산하는 내장 함수로 이용하였다.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입력한 토성에 해당하는 회귀 방정식 함수를 추출하고, 사용자의 재배지역에 해당하는 토양 용적밀도 값을 이용해, 재배작물과 토성에 적합한 토양수분 장력 값을 토양용적 수분값으로 환산하게 된다. 본 알고리즘을 자동 관수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에 적용할 경우 작물 종류, 재배 위치, 토성 등의 데이터만으로도 적절한 토양수분 관리를 위한 관수 개시 및 중지의 자동 제어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노지 밭작물 재배에서의 스프링클러 변량관개를 위한 제어 시나리오 및 관개량 의사결정 연구

        김영진 ( Youngjin Kim ),김민영 ( Minyoung Kim ),김희태 ( Heetae Kim ),강상현 ( Sanghyeon Kang ),이상봉 ( Sangbong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노지포장에서 지점별 토양수분에 따라 변량 관개하기 위한 5가지 관개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증발산량을 이용하여 관개량을 산정하는 일련의 의사결정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기존 토양수분 기반 자동관개 기술은 전면적에 동일한 유량을 관개하는 방식이다. 반면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토양수분 차이가 작물생육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점별 토양수분값에 따라 관개 시나리오를 선정하는 논리 연산식과 증발산량으로 적정 관개량, 관개횟수를 산정할 수 있는 수학적 함수로 구성된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포장내 지점별 실시간 토양수분값에 따라 건조, 적정 또는 과습상태를 판단하여 관개 시나리오를 선정하고, 적정상태인 경우에는 증발산값에 따라 다시 3가지 관개 시나리오 중 하나의 방법으로 관개량, 관개횟수를 산정하게 된다. 적정 토양수분 영역은 현장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직접 최대·최소값을 설정하되 초기값은 -35 ~ -25kPa로 설정하였다. 과습 상태에서 시스템은 기계적 작동을 하지 않고 데이터를 수집, 저장하는 대기모드를 유지하게 된다. 건조 상태인 경우 1회 관개량 한계로 제시되는 12㎜를 기준으로 1회 3㎜씩 60분의 대기시간을 두고 최대 4회까지 관개하거나, 과습 상태가 되면 시스템은 정지 및 대기하게 된다. 적정 상태에서는 증발산량에 해당하는 용수량을 관개하게 된다. 증발산량이 1㎜ 이하인 경우에 관개량은 1㎜, 1~3㎜인 경우 증발산량만큼 1회 관개하고, 3㎜ 이상이면 1회 3㎜, 대기시간 60분으로 증발산량만큼 관개하게 된다. 유량은 스프링클러의 관개면적(㎡) 및 살수용량(L/min)으로 산출된 시간만큼 밸브로 제어하게 된다. 본 알고리즘에 따라 스프링클러 변량관개 시스템 시작기 세부 장치선정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적용 시험을 통해 실용성을 보완하고 영농효과를 분석할 예정이다.

      • KCI우수등재

        아파트 실내ㆍ외 미세먼지(PM10, PM2.5)와 블랙카본(Black Carbon)의 계절별 농도 및 시간대별 분포 특성 사례연구

        박신영(Shinyoung Park),윤단기(Danki Yoon),공혜관(Hyegwan Kong),강상현(Sanghyeon Kang),이철민(Cheolmin Lee) 한국환경보건학회 2021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47 No.4

        Background: Particulate matter (PM10, PM2.5) and black carbon contribute to poor air quality in urban areas, and can also affect indoor environments. Exposure to PM can be associated with respiratory and lung diseases.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door and outdoor concentration distribution patterns of PM10, PM2.5, and black carbon at an apartment building, a typical residential space in the metropolitan areas of South Korea, by season, day of the week (weekday vs. weekend), and time of the day. It aims to obtain foundational data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pollutants and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pollution levels between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Methods: Indoor and outdoor concentrations of PM and black carbon were measured at an apartment building located in Namyangju, Gyeonggi-do Province, using dust sensors and an Aethalometer AE51 (AethLabs, San Francisco, CA, USA) over the course of a year from June 2020 to May 2021.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patterns were analyzed by season and time of day. Results: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in the outdoor environment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indoor environment, regardless of the season. By contrast, the indoor black carbon concentration was higher than that in the outdoor environment during summer and autumn. The concentrations of PM10, PM2.5 and black carbon were found to be higher on weekdays than during weekends, especially during rush hour, with concentrations of 25.92~56.58 μg/m3, 21.12~44.82 μg/m3, 0.63~3.40 μg/m3. Conclusions: The outdoor concentrations of PM10, PM2.5, and black carbon were higher during the weekdays, especially during rush hour, than during weekend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health management of apartment occupants because it is measured over a period of more than one year.

      • 노지 배추 정밀관개를 위한 이동식 관개 장치의 종류별 특성 비교

        김영진 ( Youngjin Kim ),김민영 ( Minyoung Kim ),김희태 ( Heetae Kim ),강상현 ( Sanghyeon Kang ),이상봉 ( Sangbong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본 연구는 노지 배추 정밀관개기술 연구개발의 일환으로 이동식 관개장치의 종류별 종류별 특징, 적용사례 등에 관한 자료를 조사, 분석하였다. 정밀관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위치별, 시간별 관개의 변량제어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동력으로 위치를 이동하면서 관개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국내외 자료를 통해 파악되는 이동형 관개장치의 종류에는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원형 회전이동을 하는 center pivot, 수평 선형이동을 하는 side roll wheel move, linear move tower, big gun traveler와 함께 tractor 부착형 boom 방식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종류별로 외형 및 이동 특성, 장착되는 스프링클러 및 동력 발생의 특징을 파악하고, 국내 노지 배추 재배 여건에 있어 포장 형태, 면적, 토양특성 등을 비교하여 이동형 관개장치의 종류별 적용성을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국내 노지 배추재배 포장은 사각 또는 다각형의 부정형으로 농가별 재배규모 통계에 근거하여 이동식 정밀관개를 적용하는 면적규모 0.3~0.5 ha로 설정하였다. 토성은 우리나라 대부분 밭포장의 토성으로 배수가 양호한 사양토 및 양토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재배조건을 기준으로 이동식 관개장치의 종류별 관개규격, 적용면적 규모, 재배작물의 증산특성 및 적용 토성들을 파악하여 그 적용성을 정성적으로 판단하였다. 최소 직경 약 35 m, 최소 면적 약 28 ha 이상의 원형포장에 적용되는 center pivot, 살수거리 20~100 m에 적용되는 big gun traveler의 경우 국내 변량관개 장치로 적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side roll wheel move와 linear move tower의 해외사례에서는 폭 약 377 m 이상, 이동거리 약 500 m 이상으로 규모 면에서 국내에 바로 적용하기는 어려우나, 국내여건에 고려한 기계적 규격과 성능을 갖춘 제품을 개발한다면 정밀 변량 관개장치로써 높은 적용성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트랙터 부착형 붐 방식은 국내에서도 정밀농업 기계로서 연구된 사례가 많고, 현장 도입에 있어 가장 유리할 것으로 판단 되었으나, 작물 보호를 위한 차고 확보, 관개량을 고려한 붐의 구조적 보완 등 기계적 보완과 함께 인공지능 및 무인 자동관개 기능의 적용 등 정밀관개 기술의 지속적인 고도화에 있어 어려운 점이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 노지 변량관개를 위한 국내 스프링클러 제품의 살수균일도 분석 사례 연구

        김영진 ( Youngjin Kim ),김민영 ( Minyoung Kim ),김희태 ( Heetae Kim ),강상현 ( Sanghyeon Kang ),이상봉 ( Sangbong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본 연구는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상방식 스프링클러 헤드 일부 제품의 살수 균일도를 실험하여, 변량관개 적용의 적합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관련 연구사례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풍속 0.2m/sec 이하의 실내조건에서 크리스티얀센 균일계수(Cu)가 84~90% 이상인 스프링클러 제품이 변량관개에 적합하고, 75~76 % 이하인 경우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제안되고 있다. 시험방법은 ISO와 ASAE에서 채택되고, 국내 관련 연구에서도 채용되고 있는 크리스티안센 균일계수(Cu) 분석법을 따랐다. 단, Cu 계수의 경우 절대값에 따른 통계적 착시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점을 감안하여 시험계측값의 절대평균편차값(D)도 분석하여 상호 대조 분석하였다. 제품간의 순수 살수성능 비교를 위하여 ISO 15886-3:2021(E)의 살수 균일도 실내 시험법을 준수하였다. 풍속 0.1m/sec 이하로 유지되는 하우스 시설 내에 스프링클러 헤드의 설치높이 1 m, 60분 1회, 3 반복 실험하였다. 살수 구역은 직경 5 m의 1/4 원형 구역내에 3열 1 m 간격으로 1 L 비이커로 살수량을 받아 500 ㎖ 매스실린더로 측정하였다. 국립농업과학원에서 제시하는 저압식 살수기의 적정값을 준수하여 유압 160 kPa, 유량 11 ℓ/분으로 설정하였다. 대상 제품은 전북, 전남, 충북 지역의 대형 농자재 도매상에서 ’23년 4월 현재 농업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된 국산 3종 및 수입산 1종 제품으로 선정하였다. 실험결과 모든 대상 제품에서 살수직경 10 m, 설치간격 8 m, 중복 살수간격 2 m에서 Cu값이 80 % 이상으로 나타났으나, 중복없이 설치간격을 10 m로 할 경우 Cu값은 55~70 % 범위로 파악되었다. 설치간격이 좁을수록 Cu값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가장 높은 Cu 값은 국산 1종 제품을 설치간격 7 m로 했을때 88.7 % 로 나타났다. 이는 국립농업과학원에서 제시하는 스프링클러 적정 설치간격인 살수직경의 65 %와도 유사한 결과이다. 나머지 제품도 동일 조건에서 유사한 Cu값을 나타났다. 대상 제품들이 변량관개에 적합한 84% 이상의 균일살수 성능을 가지고 있지는 않았으나, 중복살수할 경우 변량관개에 부적합한 75~76% 이하는 아닌 것으로 파악되었다. 적정압력, 유량 및 설치간격에 따라 운전한다면,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노지 밭작물의 변량관개에 있어 신뢰성 있는 유의미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