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면역 기능의 이상이 발견되지 않은 영아에서의 침습성 녹농균 감염증 2례

        강민재,김소희,김남희,이진아,은병욱,최은화,이환종,Kang, Min Jae,Kim, So Hee,Kim, Nam Hee,Lee, Jin-A,Eun, Byung Wook,Choi, Eun Hwa,Lee, Hoan Jong 대한소아감염학회 2006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3 No.2

        침습적 Pseudomonas 감염은 대개 면역 저하 환자들에서 발생하며, 이는 높은 사망률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드물게는 면역력이 정상인 숙주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첫 번째 증례는 괴저성 농창과 Pseudomonas 패혈증이 발생한 5개월 여아이며, 두번째 증례는 9개월 남아에서 지역사회 감염으로 발생한 폐렴과 Pseudomonas 패혈증이다. 두 환아 모두에서 녹농균이 배양검사로 증명되어 감수성 있는 항생제를 사용하였으며, T 림프구, B 림프구, 보체, 식세포 등 면역력에 대한 검사는 모두 정상이었다. 저자들은 이전에 건강했던 영아들에서 발생한 침습성 녹농균 감염증 2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Invasive Pseudomonas infections most often occur in the immunocompromised patients and are associated with high mortality rate. Rarely this disease may develop in healthy infants and children. We report two cases of invasive Pseudomonas aeruginosa infections that were diagnosed in otherwise healthy infants. The first case was a previously healthy 5-month-old infant with ecthyma gangrenosum and septicemia. She presented with fever, swelling of left periorbital area and multiple erythronodular skin lesions. Each skin lesion formed a black eschar surrounded by an erythematous areola over time. Cultures of blood, urine and discharge from skin lesions grew P. aeruginosa. On the day of visit, she showed pancytopenia which was normalized after 10 days. The patient responded well to the management with ceftazidime and tobramycin. The other case was a previously healthy 9-month-old infant with community-acquired pneumonia. He was referred from an outside hospital with fever and cough. Chest x-ray revealed pneumonic infiltrations on both lower lungs with pleural effusion on the right side. Cultures of blood and pleural fluid grew P. aeruginosa. Chest CT performed on the ninth day demonstrated pneumatoceles, lung abscess and necrosis of lung parenchyma. He was managed with ceftazidime and amikacin for 50 days. No residual pulmonary complications were noted during the three month follow-up. Laboratory results to evaluate immunologic defects of phagocytic cells, complement components and T- and B-lymphocytes were all within normal range in both patients.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Pseudomonas can be, though uncommon, a cause of community-acquired invasive infections in the previously healthy infants.

      • 대전 소재 5개 초등학교 과학 교재원의 활용 실태 사례

        강민재 ( Min Jae Kang ),김효남 ( Hyo Nam Kim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gnize the problems about the use of science gardens for science in the elementary schools and inquire out the improvement plans for them through analysis of investigation that surveyed 25 teachers from 3rd grade to 6th grade and 5 science teaching assistants of 5 elementary schools in the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on the survey about satisfaction of science garden, 48% of the teachers said ``dissatisfaction``. The most reason for dissatisfaction was that the kinds of science garden were not various because the learning materials in science garden of each school were averagely related to 25%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econdly, 44% of the teachers used science garden recently for a year and among them, 80% of the teachers used it for science class once or twice a year. Use method of the science garden do tend to differ each teacher and teachers who used science garden answered that science garden was of help. Thirdly, on survey about improvement plans of science garden, the teachers suggested preparation of learning materials, thorough maintenance of science garden and budget securement.

      • 장년층의 디지털 및 소셜미디어 역량에 대한 디지털 격차분석

        강민재(Kang, Min-Jae),이진춘(Lee, Jinchoon) 한국의사결정학회 2023 의사결정학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장년층(40대, 50대, 60대) 간에 있는 디지털 격차를 식별하고 그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디지털 격차를 인터넷 및 관련 정보에 대한 접근성 격차를 1차 디지털 격차라고 하고, 디지털 역량과 소셜미디어 역량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디지털 역량 차이를 2차 격차라고 한다. 우리나라는 ICT가 고도화되어 있는 국가이므로 1차 디지털 격차는 대체로 해소가 된 것으로 보이지만, 디지털 역량의 차이로 인한 2차 정보격차는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이를 파악하기 위해 우리나라 장년층을 상대로 디지털 격차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디지털 역량과 소셜미디어 역량이 개인의 자기효능감의 제고를 매개로 모바일 이용을 하고 있는 프로세스에서 디지털 격차의 유의성을 식별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우리나라 장년층인 40대-60대의 응답자들은 디지털 역량과 소셜미디어 역량에서 일정 부분 유의성이 밝혀졌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에는 디지털 역량이 차이로 인한 디지털 격차가 나타났고, 소셜미디어 역량인 유튜브를 통한 영향력도 비수도권에서 나타났지만, 개인의 디지털 역량으로 인한 자기효능감은 수도권 응답자가 더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gital divide among the elderly in Korea (40s, 50s, and 60s) and analyze its impact. The digital divide is referred to as the primary digital divide in access to the Internet and related information, and the digital capability divide caused by the difference in digital capability and social media capability is referred to as the secondary divide. Since Korea is a country with advanced ICT, the primary digital divide seems to have been largely resolved, but there is expected to be a secondary digital divide due to differences in digital capabilities. To understand thi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digital divide among the elderly in Korea and identified the significance of the digital divide in the process in which digital and social media capabilities are using mobile as a medium for improving individual self-efficacy.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respondents in their 40s and 60s, the elderly in Korea, showed some significance in digital and social media capabilities. There was a digital divide betwee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non-metropolitan area due to differences in digital capabilities, and the influence through YouTube, a social media capability, was also shown in the non-metropolitan area, but the self-efficacy of individual digital capabilities was higher in the metropolitan area.

      • KCI등재

        태양 에너지 기반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에너지 적응형 선택적 압축 기법

        강민재(Min Jae Kang),정세미(Semi Jeong),노동건(Dong Kun Noh) 한국정보과학회 2015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2 No.12

        센서 네트워크에서 압축은 종단 간 지연시간과 에너지 사용량 사이의 이율배반적인 관계가 있다.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압축을 하면, 추가적인 지연시간과 에너지 소비가 발생하지만, 전송으로 인한 에너지 소모는 감소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기반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지연시간을 손해 보더라도 네트워크의 생존시간을 최대화하기위해 압축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한편 태양 에너지 기반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주기적으로 에너지 재생산이 이루어짐에 따라, 동작하는데 충분한 에너지양 이상의 에너지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분의 에너지를 사용해 종단 간 지연시간을 감소시키는 에너지 적응형 선택적 압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노드의 에너지가 충분하지 않을 때,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압축을 사용하고, 에너지가 충분한 경우에는 종단 간 지연시간 감소를 위해 압축을 사용하지 않는다. 시뮬레이션을 통한 에너지와 지연시간의 성능평가를 통하여 제안하는 기법의 우수성을 증명하였다. Data compression involves a trade-off between delay time and data size. Greater delay times require smaller data sizes and vice versa.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performed in the field of wireless sensor networks on increasing network life cycle durations by reducing data size to minimize energy consumption; however, reductions in data size result in increases of delay time due to the added processing time required for data compression. Meanwhile, as energy generation occurs periodically in solar energy-based wireless sensor networks, redundant energy is often generated in amounts sufficient to run a node. In this study, this excess energy is used to reduce the delay time between nodes in a sensor network consisting of solar energy-based nodes. The energy threshold value is determined by a formula based on the residual energy and charging speed. Nodes with residual energy below the threshold transfer data compressed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and nodes with residual energy above the threshold transfer data without compression to reduce the delay time between nodes. Simulation based performance verifications show that the technique proposed in this study exhibits optimal performance in terms of both energy and delay time compared with traditional methods.

      • KCI등재

        저교정 굴절이상 유병률 및 관련 요인 분석

        강민재(Min Jae Kang),임형택(Tyler Hyung Taek Rim),김성수(Sung Soo Kim),대한안과학회 역학조사위원회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8

        목적: 국내 저교정 굴절이상의 유병률과 이와 관련된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8년부터 2012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완료한 36,162명의 우안을 기준으로 유병률을 산출했다. 저교정 굴절이상은 시력 교정을 하였을 때, 시력이 나안 시력 혹은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있을 때보다 시력이 2줄 이상 호전을 보이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직업군별로 저교정 굴절이상의 분율을 제시하고, 사회인구통계학적인 요인과 관련성을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제시하였다. 결과: 총 36,162명의 대상자 중 6,954명이, 40세 이상 19,884명 중 3,980명이 저교정 굴절이상에 해당하였고, 이는 전 연령대상 18.5%, 40세 이상에서 18.8%의 유병률로 추정되었다. 기존의 시력교정기구를 착용하는 군과 시력교정기구가 없는 군을 나누어서 보았을 때, 시력교정기구가 없는 군에서 저교정 굴절이상의 유병률은 23.1%로 높았다. 4줄 이상 시력 상승을 보인 군은 전체에서 7.2%(2,606)를 차지하였다. 직업군에서는 농업, 어업 등에 종사하는 군과 단순노동자에서 각각 22.8% (570/2,499), 20.2% (497/2,457)로 저교정된 굴절이상의 분율이 높았다. 연령별로는 30대를 기준으로 10대와 70대, 80대에서, 여성, 저소득층, 저학력층, 동거인이 없는 경우가 관련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저교정 굴절이상과 고령, 여성, 낮은 사회경제적 상태가 관련 있으므로, 이러한 취약층에 대한 공중보건학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적절한 시력 교정을 통한 저시력 예방 노력이 필요하다. Purpose: To assess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undercorrected refractive error in South Korea. Methods: We analyzed 36,162 participants for estimating prevalence usi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2012). Undercorrected refractive error was defined as an improvement of at least 2 lines in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compared with the presenting visual acuity in the right eye. Proportion of undercorrected refractive error by occupation was presented, and associated sociodemographic factors were evaluated by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prevalence of undercorrected refractive error among all participants and among adults was 8.5% (n/N, 6,954/36,162) and 18.8% (n/N, 3,980/19,884),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undercorrected refractive error was higher among those with did not wear spectacles or contact lenses (23.1%) than among spectacle or contact lens wearers (8.1%). The proportion of participants who gained more than four or more lines of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was 7.2% (n = 2,606) for the all age group. In terms of occupation, farming, fishing, and forestry occupations (22.8%, 570/2,499) and laborer (20.2%, 497/2,457) were more likely to have undercorrected refractive error. Age groups of 10s, 70s, or 80s (30s as a reference group), female sex, lower income, lower education level, and living without a spouse were associated with undercorrected refractive error. Conclusions: People of older age, female sex, and lower socioeconomic status were more likely to have undercorrected refractive error. This suggests that a public-health approach is needed for preventing visual impairment via proper vision corr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