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적개발원조가 한국의 수출에 미친 영향 연구:패널 자료 분석

        강명주 ( Myeong Joo Kang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5 통상정보연구 Vol.17 No.1

        본 논문은 28개 국가에 제공한 공적개발원조(ODA)와 원조 수원국의 무역개방이 우리나라 수출에미친 영향에 중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05~2012년 기간의 패널자료를 가지고 원조 수원국의 경제규모(1인당 GDP), 무역개방(trade openness), 인구수, 원조 공여국의 공적개발원조(ODA) 규모, 원조 공여국과 수원국간의 거리(distance) 등의 변수를 포함하여 모형을 구축하였다. 또한 원조 수원국을 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 등 3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이들 지역에 제공한 원조가 우리나라 수출 에 미친 영향도 분석하였다. 모형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해 패널 단위근과 패널 공적분 검정을 실시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panel OLS, panel GLM, panel EGLS 등의 추정방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원조 수원국의 경제규모, 인구수, 무역개방과 우리나라의 공적개발원조(ODA)는 우리나라 수출 증가에 긍정적이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거리변수는 수출증가에 부정적이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더미변수를 이용한 경우, 아프리카와 아 메리카 지역에 대한 원조는 각각 5%와 10% 유의수준에서 우리나라 수출증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프리카에 대한 원조 규모가 최근에 증가하는 추세를 고려할 때 이 지역에 대한 원조가 우리나라 수출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들을 우선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또한 아프리카와 아메리카 지역에 대한 원조가 우리나라 수출시장의 확대보다는 자원의 확보와 개발에 중점을 두었는지에 대한 향후 연구도 필요하다. This paper uses the modified gravity model of international trade to examine the impact of ODA on the export of Korea to 28 aid recipients. In this perspective, the study includes recipient``s economic size, trade openness, population, donor`s scale of aid and distance between them as key determinants of the export of Korea by using panel data over the period of 2005-2012. To do this task, important econometric methods are fulfilled to test the model adequately, such as panel unit root and panel co-integration test. In addition, the study incorporated the panel OLS, panel GLM and panel EGLS methods. The empirical analysis clearly showed that an increase in Korea`s ODA promotes its own exports. The coefficients of recipients`s per capita GDP, population and trade openness have a positive impact on Korea``s export respectively, while distance between them has a negative impact. Regarding regional dummy variables, aid for the region of Africa and America have a negative impact on Korea`s export. Overall, the main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even if it emphasized Korea`s economic interests as determinants of ODA disbursements, but it also suggests that an improvement of recipient`s economic development, income distributio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can be an important concern in the future.

      • KCI등재

        무역개방과 해외직접투자가 소득분배에 미친 영향 연구

        강명주 ( Myeong Joo Kang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4 통상정보연구 Vol.16 No.4

        본 논문은 무역개방의 확대와 해외직접투자로 인한 세계화의 확대가 한국의 소득분배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득분배의 불평등과 관련하여 중요한 결정요인이 무엇인가를 밝혀내기 위해 기존의 연구에서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간주한 무역개방, 1인당 개인소득은 물론 FDI에 중점을 두었으며, 이를 국내 유입된 FDI와 해외로 유출된 FDI로 구분하여 모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1992년부터 2011년까지의 매년의 시계열 자료를 가지고 단위근과 공적분 검정, 그리고 오차수정모형도 실행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무역개방과 1인당 GDP의 증가는 한국의 소득분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출의 증가로 인한 무역개방의 확대가 소득의 증가를 가져오는 동시에 소득분배의 형평성을 제고시켰다고 할 수 있다. 반면에 FDI의 경우를 보면, 국내로 유입된 해외직접투자와 해외로 유출된 FDI 모두 소득분배의 불평등을 야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FDI 유입과 유출이 확대되는 경우 소득분배의 불평등이 더욱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또한 분석결과, 국내로 유입된 FDI가 해외로 유출된 FDI보다 소득분배의 불평등에 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Freenstra and Hanson (2007)의 가설과 일맥상통하는 점이 있다. 따라서 정책입안자는 FDI 유입정책과 관련하여 좀 더 실용적인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ization and income distribution in Korea. In order to identify the key determinants, the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rade openness, inward and outward FDI flows, and per capita GDP on income distribution. The study uses methodology of unit root and co-integration technique as well as an error correction model over 1992 to 2011 by using annual data. The empirical findings showed that income inequality is reduced as trade openness and the per capita GDP increase. Meanwhile, income inequality is deteriorated as inward and outward FDI flows increased. In addition, the study revealed that the negative effect of inward FDI flows on income inequality is greater than that of outward FDI flows. This result supports the Feenstra and Hanson (1997) hypothesis. Overall the globalization process can be beneficial for the Korean economy, but its nature should be closely monitored regarding income distribution.

      • KCI등재

        일본의 무역개방과 이산화탄소 배출량 분석

        강명주(Kang, Myeong-Joo) 한국상품학회 2013 商品學硏究 Vol.31 No.5

        연구목적: 최근에 지구온난화에 따른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되는 가운데, 경제성장과 환경의 질의 인과관계에 대한 분석이 많이 시도되고 있어 이에 대한 보다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일본의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GDP, 1인당 GDP 및 무역개방과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해 1971∼2009년까지의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 설계 및 방법론: 본 논문은 일본의 무역개방 확대가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에 중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특히, GDP와 1인당 GDP를 모형에 포함하여 이들 변수와 관련한 규모효과(scale effect)와 기술효과(technique effect)를 비교ㆍ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해 최소자승법(OLS)을 이용하였다. 분석 및 연구 결과: 대부분의 관심변수는 예상되는 부호를 나타냈으며, 또한 통계적으로도 유의함을 보였다. 특히, 경제적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증가하는 규모효과가 제품의 공정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소시키는 기술효과에 비해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본의 무역개방 확대와 1인당 GDP의 증가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소시키는 매우 긍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연구ㆍ분석의 결과, 소득의 증가로 자연을 훼손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산업이 앞으로 꼭 필요한 성장산업이기 때문에 이들 산업을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 있어 전체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아닌 산업별로 이산화탄소 배출량 자료를 가지고 분석하였다면 좀 더 의미 있는 연구가 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방향: 향후에는 본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여 일본의 산업별 또는 운송 산업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시도한다면 이들 산업에 대한 일본 정부의 정책변화와 관련하여 매우 흥미로운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공헌점: 무역개방이 확대될수록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감소하였다는 측면에서 기존의 연구, 특히 선진국들의 경우와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미리 환경에 눈을 뜬 일본의 경우를 조사ㆍ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기술력을 배양하여 우리나라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있어 기초적 연구라는 점이 본 연구의 기여라고 할 수 있다. Purpose: As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consequences and trade openness became an international issue, great effort was attempted consecutively to examine its connection lately. In this respe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asual relationships between CO2 emissions with GDP, per capita GDP and trade openness using time series data from 1971 to 2009 in Japan. Design/methodology/approach: The paper explores the empirical question of whether trade openness is beneficial on CO2 emissions in Japan. In particular, the paper focuses on examining the impact of trade openness on CO2 emissions. Further, it uses the ordinary least square methods to examine the scale effect and technology effect with respect to GDP and per capita GDP, respectively. Results/findings: It turns out that most of the variables have the expected signs even though all of them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CO2 emissions. The results also demonstrate that the scale effect dominates the technology effect. In addition, trade openness and increase in income play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CO2 emissions in Japan. Research implications/limitations: The study shows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actively support the natural eco-friendly industry, because it is considered as a growing industry in the future. However, if the paper analyzes the industry level of CO2 emission, rather than the total amount of CO2 emissions, the study could obtain more meaningful results. Future work/research: In the future, by expanding the scope of the present study in terms of investigating Japan's individual industry or transportation industry, the study will achieve more interesting results with respect to change in Japan's recent environmental policy. Originality/value: The paper finds that as trade openness continues to grow, CO2 emissions were reduced. These results are the same as the previous research.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worthwhile to mention that the paper might contribute to the competitiveness of Korea's by culturing environmental technology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