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장애인 고등교육 지원 법 조항에 대한 장애학생지원센터 전담인력의 이해도 및 만족도 조사
강명숙,박성우 복지대학교 장애인능력개발원 2016 장애인고등교육연구 Vol.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고등교육 지원 관련 법 조항 이해 및 지원 만족도에 대한 장애학생지원센터 전담 인력의 이해도 및 만족도 정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대학생 고등교육 관련 법 조항에 대한 장애학생지원센터 전담인력의 이해도는 평균이상(‘조금 알고 있음)의 반응을 보이고는 있으나, 설문지의 특성을 감안할 때 이해도 수준이 그 다지 높다고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특히 입학전형 시 차별 금지 제재(범금 300만 원 이하) 부과 사항이나 특별지원위원회 및 장애학생지원센터의 역할 구분, 통합교육을 위한 정기 연수 등에 대한 인식이 특별히 낮은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안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장애대학생 고등교육 지원에 대한 장애학생지원센터 전담 인력의 만족도에 있어 문항별 미묘한 차 이를 보이기는 하나,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지원센터 기능의 역할 모호성, 전담인력 인센티브 부재 등에 따른 이행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군 입대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인으로
강명숙,변상해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군사회복지학 Vol.10 No.2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analyze how family health and stress coping methods affect the adaptation to Special Warfare Soldiers. It also focused on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the adaptation to military lif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family health and stress-coping methods perceived by the adolescents are significantly affecting their military life.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the family health perceived by adolescents, the greater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were measured. It was found that the more active stress-coping methods the adolescents have, the greater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were measured. The while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had positive mediating effects. Social support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adaptation to military life. These study findings can help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unctions and develop a stress-coping program. By doing so, a positive impact will be made in helping those adolescents who have a lower level of family health or less capability of stress-copying, or suffer mal-adaptation to military life increase psychological resources useful for the adaptation to military life. 본 연구는 특전병의 군 생활 적응에서 심리적 자원으로서의 가족건강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서 매개변인으로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군 입대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군 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건강성이 높을수록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적극적 대처방식일수록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높으며, 매개변수인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정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군 생활 적응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특전병의 군 생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하여 스트레스를 대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한다면 가족건강성이 낮거나 스트레스 대처에 미흡했던 군 입대 청소년 및 군 생활 부적응 청소년의 개인역량 강화 등 군 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유치원 교사의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관련 이해도 및 이행 만족도
강명숙,박소영,박성우 한국통합교육학회 2018 통합교육연구 Vol.13 No.1
장애유아의 통합교육 및 의무교육이 강조됨에 따라 일반유치원 교사의 특수교육법에 대한 이해 및 이행 만족도는 교육의 질을 제고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에 일반유치원 교사의 요인 별 특성(설립유형, 경력, 지도경험, 연수경험)에 따른 특수교육법에 대한 이해도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유치원 교사의 특수교육법 이해도에 있어 설립형태 및 교직경력에 따른 차이는 없는 반면, 특수교육 연수 경험 및 장애유아 지도경험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었다. 즉, 특수 교육에 대한 연수경험과 장애유아 지도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연수미경험 및 장애유아 지도 미경 험 집단보다 특수교육법에 대한 이해도가 높았다. 둘째, 일반유치원 교사의 특수교육법 이행 만족 도에 있어 교직경력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는 반면, 학교 설립형태나 특수교육 연수 경험 및 장애 유아 지도경험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었다. 즉, 사립보다는 공립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들의 경우 특수교육법 이행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수교육 연수경험과 장애유아 지도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연수미경험 및 장애유아 지도 미경험 집단보다 특수교육법 이행 만족도가 높았다. 셋째, 일반유치원 교사의 특수교육법 이해도 및 이행 만족도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즉, 특수교육 법에 대한 이해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이행 만족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유치원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특수교육법 이해 및 이행 관련 연수의 필요성을 제 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and fulfillment satisfac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law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establishment type, career, guidance experience, and training experi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eneral kindergarten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special education law is not different according to establishment style and teaching experience, but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experience of special education and experience of mentor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other words,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of special education and experience of instruc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ve higher understanding of special education than those who do not have experience with in service training or disability guidance.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aching career in general kindergarten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e implementation of special education law, but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school establishment type, special education training experience, and mentoring experience. In other words, teachers who are in public institutions rather than private institutions have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implementation of special education law.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of special education and experience of mentor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more satisfied with the implementation of special education law . Third, general kindergarten teachers have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fulfillment of special education law.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understanding about the Special Education Law,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위회귀분석 적용
강명숙,장연수,송의림 간호행정학회 2020 간호행정학회지 Vol.26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PSMA) of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levels of PSMA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Methods: A descriptive study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135 nursing students from universitie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wit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rough online surve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PSMA scale and modified version of the TBP-bas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d quantile regression.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PSMA was 4.09±0.44 out of 5 points. In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patient safety education,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intention were significant factors. In the quantile regression, place of clinical practice (in 75%), patient safety education (in 50% and 90%), subjective norm (in 75%),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 50% and 75%) and intention (in 50%) were significant factors. Conclusion: We confirmed the dynamic influences of all factors according to the levels of PSMA. It is proposed that the affecting factors according to the levels of PSMA should be considered in designing effective programs to enhance PSMA among nursing student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계획된 행동 이론에 근거하여,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실천 수준별로 환자안전관리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13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활용하여 온라인 조사로 이루어졌다. 설문지는 환자안전관리실천 도구와 계획된 행동이론에 근거하여 대상자에게 적합하도록 개발된 측정도구로 구성되었으며, 자료는 다중회귀분석과 분위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안전관리실천의 평균 점수는 5점 만점에 4.09±0.44 점이었다. 다중회귀분석 시, 환자안전관리 교육,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력, 행동 의도가 영향요인이었다. 반면, 분위회귀분석 시, 상급종합병원 임상실습(75% 분위), 환자안전관리 교육(50%와 90% 분위), 주관적 규범(75% 분위), 지각된 행동 통제력(50%와 75% 분위), 행동 의도(50% 분위)가 유의한 영향요인이었다. 결론: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실천 수준별로 영향요인은 각각 다르게 확인되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환자안전관리실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환자안전관리실천 수준별 영향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습부진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강명숙,이현림 한국직업교육학회 2007 職業 敎育 硏究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a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hich was to improve the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es of underachievers. The hypotheses for this study were first, the self-esteem levels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ould be improved more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achievement motiv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be enhanced more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onsisted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y 16 underachievers respectively in D middle school, Daegu, Korea. 12 sessions of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ere carr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90 minutes each.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first, the self-esteem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tatistically more increased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t was proved that the program revealed great effects on improvement of the self-esteem.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dicated to significantly enhanced in the total scores for the achievement motiv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proved that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showed the positive effects on achievement motives of middle school underachiev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should be enough considerations of providing underachievers with various group counseling programs in middle schools. 본 연구는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습부진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 가설은 첫째,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습부진 중학생은 통제집단보다 자아존중감이 향상될 것이다. 둘째,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습부진 중학생은 통제집단보다 성취동기가 향상될 것이다. 연구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D중학교 1학년 학습부진 중학생 32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6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측정도구는 김희화와 김경연(1996)이 한국의 아동 및 청소년용으로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성취동기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로서 McClelland(1965)의 성취동기 이론에 입각하여 문선아(2002)가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Chapman(1976)의 진로탐색 프로그램, 교육인적자원부(2003)에서 제작한 양성 평등한 진로지도를 위한 지침서 및 이현림(2007a)의 긍정적 사고훈련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목적에 적합하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으며, 총 12회기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는 첫째,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은 학업 및 전반적 자아, 친구 관련 자아, 성격적 자아, 신체 능력 자아, 교사 관련 자아 및 자아존중감의 전체에서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한 향상을 보여 주었다. 둘째,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성취동기는 미래지향성, 자신감, 책임감, 도전의식, 과업지향성 및 성취동기의 전체에서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