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RISS
RISS 처음 방문 이세요?
고객센터
RISS 활용도 분석
최신/인기 학술자료
해외자료신청(E-DDS)
RISS API 센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코퍼스 – 실험 – 딥러닝 연구방법론 비교분석: ‘-도록’ 통제 구문을 중심으로
강다은(Daeun Kang),송상헌(Sanghoun Song) 한국중원언어학회 2022 언어학연구 Vol.- No.62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convergent results are showing on specific language phenomenon, by using methodological pluralism. Focusing on the ‘-tolok’ control construction, we compared the results of three research methodologies: corpus, experiment, deep learning. Previous studies used corpus exploration and language experiment separately or deep learning based on English data. However, it was not sufficiently implemented that comprehensively examining the three methodologies and deep learning analysis using large amount of data based on specific Korean language phenomenon. Accordingly, we demonstrated whether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agree with each other for the ‘-tolok’ control construction using methodological pluralism. Furthermore, the types of Korean ‘control verb’ are classified into two typ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showing that different types of methodology can be complement to each other by adding deep learning to the corpus and experimental methods. Additionally, we empirically revealed the necessity of revisiting the using ‘seltukha-’ as a control verb in Korean and presented four verbs that require further study to be classified as control verb, including ‘seltukha-’.
마커를 이용한 관절 연체 모델 변형의 IK 계산 가속화
박현아(Hyunah Park),강다은(Daeun Kang),권태수(Taesoo Kwon)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2021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7
본 논문은 골격이 있으나 몸체의 변형이 비교적 자유로운 캐릭터 모델의 변형을 빠른 계산 속도로 구현하기 위해 가속화된 역기구학 풀이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풀이 방법은 ① 각 마커에 대하여, ② 해당 마커의 위치에 영향을 미치는 각 뼈대에 대하여, ③ 해당 뼈대에 영향을 미치는 상위(부모) 관절에 대하여 계산을 수행하는 삼중 중첩 반복 계산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해당 계산 과정에 중복되는 과정이 많은 것을 고려하여 사전에 계산된 값을 이용하는 방식을 통해 변형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계산 시간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방식은 선형 블랜드 스키닝 기법으로 구성된 캐릭터 모델을 다루거나, 마커 없이 단순 촬영만으로 수행하는 모션 캡처 관련 연구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저가형 모션 캡처 장비를 이용한 실시간 상호작용 애니메이션 시스템
김정호(Jeongho Kim),강다은(Daeun Kang),권태수(Taesoo Kwon)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2021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7
본 논문은 입력 정확도가 낮은 저가형(보급형) 모션 캡처 장비를 이용하여, 사용자 아바타와 가상의 아바타가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하는 애니메이션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전처리 과정에서는 예제 동작 데이터베이스 내에 있는 동작을 가상 환경의 아바타에 적용하기 위한 리타게팅 및 동작 맵핑을 수행한다. 실시간 과정에서는 사용자 입력 동작에 적합한 주 캐릭터 동작 및 이에 대응하는 부 캐릭터 동작을 선발하여 사용자 및 가상 아바타에 합성한 후, 가상 환경에 적합하게 최종적으로 보정한다. 실험 결과 사용자 아바타의 인사, 악수, 터치 등 다양한 동작 시도에 대하여 가상 아바타 또한 적절한 반응 동작을 취하며, 비슷한 유형의 동작이라도 신체부위의 높낮이나 각도와 같은 다양한 변수에도 적절히 대응한다.
초등 저학년 읽기부진 아동의 의미단어 해독과 읽기 유창성에 대한 읽기 이해의 매개효과
최윤정(Younjung Choi),강민경(Minkyung Kang),강다은(Daeun Kang),김다미(Damee Kim) 한국언어치료학회 2022 言語治療硏究 Vol.31 No.1
목적 : 초등학생의 읽기 구조에서 단어 해독, 읽기 유창성, 읽기 이해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읽기부진 아동의 읽기 지도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읽기 구조의 세 영역에 대한 다양한 관계를 탐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읽기부진 아동의 의미단어 해독과 읽기 유창성 사이의 읽기 이해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지능이 정상범주에 있는 초등학교 저학년(1~3학년) 읽기부진 아동 총 40명을 대상으로(1학년: 9명, 2학년: 18명, 3학년: 13명) 의미단어 해독, 읽기 유창성, 읽기 이해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어 읽기 검사(KOLRA)를 사용하여 평가하였고, 그 결과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읽기 유창성을 종속변인으로 Baron & Kenny의 위계적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의미단어 해독과 읽기유창성 사이에 읽기 이해의 매개 효과를 측정한 후 Sobel Test를 실시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했다. 결과 : 의미단어 해독, 읽기 유창성, 읽기 이해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의미단어 해독이 읽기 유창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며, 이 관계에서 읽기 이해는 부분매개 효과를 보였다. 결론 : 의미단어 해독과 읽기 유창성의 관계에서 읽기 이해가 매개 역할을 할 때, 의미단어 해독과 읽기 유창성의 관계에서 보다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읽기 이해는 읽기 유창성과 일 방향의 관계가 아닌 양 방향 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읽기 유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해독 능력과 어휘지식에 대한 지도뿐만 아니라 읽기 이해 훈련을 병행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Purpose : Word decoding,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reading structur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reading instruction for children with poor reading skills, it is necessary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three components of the reading structur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reading comprehension between word decoding and reading fluency among children with poor reading skills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Methods :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40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first grade: 9, second grade: 18, third grade: 13) with poor reading skills who are of normal intelligence. To identify word decoding,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the Korean Language-based Reading Assessment (KOLRA) was used,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mong the assessment’s results. To measure the mediating effect,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Barron & Kenny,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using a Sobel test. Results :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among word decoding,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Moreover, word decoding significantly predicted reading fluency, a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reading comprehension was confirmed in this relationship. Conclusions : The results suggest that when reading comprehension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word decoding and reading fluency, its impact on reading fluency is higher than the influence of word decoding. Thus, since there is a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 need for reading comprehension intervention as well as word decoding, and vocabulary are emphasized to enhance reading flu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