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터프팅 기업을 활용한 텍스타일디자인 개발 - loop & cut pile을 중심으로 -
강기용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9 No.-
본 연구는 터프팅의 작품제작 활동이 텍스타일디자인 전문가들뿐만 아니라 일반인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대중적인 표현기법임을 알리고자 하는데 있다. 생활 수준 및 정보 수집 편의성의 향상과 더불어 섬유 패션 제품을 직접 제작하는 것이 유행하면서 터프팅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터프팅 기법의 루프파일과 컷파일 유형에 따른 제작 과정의 정리에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학술지, 학위논문, 문헌, 인터넷 자료 등 다양한 선행연구를 통해 터프팅 기법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루프파일과 컷파일의 표현 방법 및 유형을 분석하였다. 또한, 터프팅 제작의 작업 환경, 도구의 종류 및 사용 방법, 실의 굵기에 따른 효율성과 적합성을 실험 제작을 통해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터프팅 기법을 정리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터프팅 건을 활용하여 텍스타일디자인 시제품을 제작하였으며, 루프파일, 컷파일, 그리고 두 기법을 조합을 루프&컷파일 시작품을 제작하였다. 또한 텍스타일디자인의 입체적 표현을 강화하기 위해 마무리 단계에서 카빙 기법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터프팅 기법이 단순한 평면적 디자인을 넘어 입체적인 텍스타일 표현으로 확장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텍스타일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 누구나 부담 없이 터프팅 기법에 접근할 수 있게 하여 섬유패션 소품 디자인에서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표현 방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시대적 트렌드에 부합하는 텍스타일디자인의 범위를 확대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form that tufting is a popular expression technique that can be easily participated in by not only textile design experts but also the general public. As the standard of living and convenience of information collection improve and direct production of textile fashion products becomes popular, interest in tufting is also increasing.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produ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types of loop pile and cut pile of the tufting technique. To this end, the tufting technique was theoretically examined through various previous studies such as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journals, dissertations, literature, and Internet materials, and the expression methods and types of loop pile and cut pile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work environment of tufting production, the types and methods of use of tools, and the efficiency and suitability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yarn were examined through experimental production, and the tufting technique was organized based on this. During the research, textile design prototypes were produced using a tufting gun, and loop pile, cut pile, and a cut & loop pile prototype was produced by combining the two techniques. In addition, the carving technique was applied in the finishing stage to enhance the three-dimensional expression of the textile design. Through this, it was shown that the tufting technique can be expanded beyond simple flat design to three-dimensional textile expression. These research results will allow not only textile experts but also the general public to easily access the tufting technique, and will not only provide a creative and original way of expression in textile fashion accessory design, but will also contribute to expanding the scope of textile design that matches the trend of the times.
가죽 소재를 활용한 텍스타일디자인 연구 - 베지터블가죽의 철염을 중심으로 -
강기용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1
This study aims to develop textile design by researching dyeing techniques that can be applied to leather material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sustainable textile design material development in the textile fashion industry by searching for the possibility of fashion accessory production. The existing researches on leather dyeing are centered on color expression or texture expression of leather, an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a textile design by dyeing leather patterns. In addition, it is difficult for an individual to encounter leather processing technology or to dye a pattern on the leather and apply it to textile design. Considering these aspects, we tried to research and develop the textile design expression technique based on the dyeing method of leather. In order to make it easy for anyone to dye, the convenience of dye supply, the ease of salt extraction, the easiness of the dyeing method are set as experimental conditions. Then, three dyeing techniques, coffee dyeing, alcohol dye dyeing, and iron salting, were tested on vegetable leathers. In addition, this study defined the dyeing method according to the iron reaction as iron salt and studied textile designs of various patterns using various types of steel tools that can be easily encountered around us. As a result, iron salt used in leather could express the textile design of familiar patterns easily and simply, and it could emphasize environmentally sustainable value without using dye. It was confirmed that this is a dyeing techniqu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leather dyeing processing technique. In order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the designs produced by iron salts, 17 items including bags were produced in connection with fashion items using handicraft techniques. This study resolves the prejudice that leather dyeing is difficult and expands the expression techniques of various textile designs by iron dyeing. In addition, it will help to expand the material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 using leather. 본 연구는 가죽 소재에 활용 가능한 염색기법을 연구하여 텍스타일디자인으로 개발하고, 나아가 패션 소품으로의 제작 가능성을 모색함으로써 섬유패션산업에 지속 가능한 텍스타일디자인 소재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 가죽염색 연구는 색상표현이나 가죽의 질감표현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나, 가죽의 문양 염색에 의한텍스타일디자인 연구는 부족하다. 또한, 개인이 가죽 가공기술을 접하거나 가죽에 문양을 염색하여 텍스타일디자인에 적용한다는 것은 많은 어려움을 동반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가죽의 염색방법을 중심으로 텍스타일디자인 표현기법을 연구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에 누구나 쉽게 염색을 할 수 있도록 염료 수급의 편의성, 염액추출의 용이성, 염색방법의 수월성을 실험의 조건으로 베지터블가죽에 천연염색의 커피염색, 화학염색의 가죽용알코올염료염색, 매염염색의 탄닌과 철의 반응에 의한 철염, 세 종류 염색기법을 실험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철의 반응에 의한 염색기법을 철염(Iron dyeing)이라고 칭하고, 우리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철재용구의 형태를 사용하여 다양한 문양의 텍스타일디자인을 연구 제작하였다. 그 결과 가죽에 활용한철염은 누구나 쉽고 간단하게 친숙한 문양의 텍스타일디자인 표현이 가능하였으며, 염료를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적 지속 가능한 가치를 높일 수 있어, 지금까지의 가죽염색 가공기법과는 차별화된 염색기법임을 확인할 수있었다. 이러한 철염에 의해 제작된 디자인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수공예 기법으로 패션 소품으로 연계하여 가방 등 17점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가죽염색 가공이 어렵다는 선입견의 해소와 철염에 의한 텍스타일디자인의 표현기법을 확대하고, 나아가 가죽을 활용한 텍스타일디자인의 소재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빅토르 바자렐리의 조형적 특성을 반영한 텍스타일디자인 연구
강기용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1
Textible design contributes on creating profits and improving the value of life for consumers and enterprises by enhancing the aesthetic value of a product, as the work creating beauty on textile products. This paper was started from the necessity of theoretic system related to textile design and the thinking about identity in producing the textile design. I have been interested on and influenced by the figurative features of op-artists. In particular, I am very interested in the repetitive configuration using inversion and rotation of forms and color contrast by Victor Visarely. On the basis of the deliberation and classification of figurative features in the previous research including visual expression and figuration principle in the works of Victor Visarely, I arranged my works in the past and produced the textile design. The inversion phenomenon of Gestalt element having impact on the visual sense in figurative features of op-art was classified into the phases, dot, line, plane and dimensional figure. The repetition of form by Victor Visarely was classified into five elements depending on the figurative features, inversion, brightness, size and rotation of an object, principle of Gestalt, to identify in what kind of form the geometric formativeness, the abstract expression, is expressed.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repetition of an image determining beauty of textile design was created into the figurative beauty by the figurative features including size, arrangement and interval of patterns on the basis of three elements, the repetition by rotation of visual figurative elements including the change of a form and repetition and overlapping generating dynamic power, repetition by brightness and repetition by inversion. This paper also tried to induce the emotional and soft friendliness by applying concrete image and compound color that is secondary color, from the cold and mechanic figurative features of op-art by mixing concrete and abstract features. 텍스타일디자인은 섬유제품에 조형적 요소를 더하여 소비자들에게는 미적 가치를 제안하고 기업에게는 이윤 창출의 기회를 제공한다. 본고는 연구자가 텍스타일디자인을 제작함에 있어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이론적 고찰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자의 작업은 오래 전부터 옵아트에 나타나는 조형성과 조형미에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빅토르 바자렐리(Victor Visarely)의 작품에서 보여지는 반전과 회전, 색의 대비에 의한 반복구성과 같은 조형미에 대해 많은 연구를 해왔다. 빅토르 바자렐리의 작품은 기하학적 조형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연구자는 옵아트(Op Art)의 조형적 특성인 게슈탈트(Gestalt) 요인의 전도현상을 점, 선, 면, 입체의 단계로 분류하고, 반복되는 요소들을 조형적 특성에 따라 다시 ‘대상의 반전, 밝기, 크기, 회전과 게스탈트의 원리’ 등의 다섯 가지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근거로 그의 작품에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면 첫째, 역동성을 강조하는 반복과 중첩을 이용한 형태의 변화로 연결되는 조형 요소를 찾을 수 있었고, 둘째, 회전에 의한 반복, 밝기에 의한 반복, 반전에 의한 반복을 이용한 문양의 크기, 배열, 간격 등의 조형 요소의 특징을 추출할 수 있었다. 이런 조형적 특성을 바탕으로 연구자의 기존 작품들의 이론적 배경과 정체성을 정리하고 조형미를 분석하여 텍스타일디자인 작품을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자는 작품을 제작함에 있어 ‘기계적 이미지, 원색의 추상적 특성’과 ‘정서적 이미지, 간색의 구상적 특성’의 “혼융(混融)” 방식을 활용하여 옵아트의 차가운 추상성을 보다 따뜻하고 친근한 구상성으로 변환한 텍스타일디자인을 시도하였다.
도시재생사업 민원 실태분석을 통한 민ㆍ관 갈등 개선방안 연구
강기용(Kang Ki-Yong),동정근(Dong Jung-Keun) 대한건축학회 2009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9 No.1(계획계)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ssues and conflict arising between private and governmental entities in phase-by-phase development of the project mainly focusing on LU1 City Project currently undertaking in Incheon, and to review the measures to mediate or resolve such conflict by analyzing the causes of conflict and associated issues. By so doing, this study purports to explore policy alternatives for efficient regeneration. In particular, the regeneration project carried out in a urban district where residential and commercial spaces are densely clustered may not proceed without mutu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between interested parties. As a result, any delay or interruption in such a project incurs substantial social and economic costs or losses. That being said, this study analyzes actual cases of civil grievances, as it represents a means of expression and intent regarding conflict resulting from regeneration, and to suggest any method to alleviate or resolve such conflict.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내장형 태양광 추적 시스템 구현
강기용 ( Ki-yong Kang ),구인본 ( In-bon Kuh ),전용기 ( Yong-kee Ju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9 No.1
본 논문은 단일 추적모듈과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내장형 태양광 추적시스템을 제안한다. 내장형 태양광 추적시스템은 조도 변화에 따라 단일 추적모듈로부터 도출된 회전값을 무선 센서 네트워크로 발전모듈에게 전달하여 태양전지를 동일하게 회전시키는 시스템이다. 추적모듈은 조도측정부의 양단 간 조도 값을 비교하여 회전값을 도출하고 항상 태양광과 프레임이 수직이 되도록 유지한다. 발전모듈은 전달받은 회전값을 적용하여 추적모듈과 동일한 방향으로 유지함으로 발전량을 최대화한다. 테스트베드를 개발하여 추적 실험을 통해 제안된 시스템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강기용 ( Kang Gi-yong ),최재구 ( Choi Jae-gu ),나건현 ( Na Geon-hyeon ),김상효 ( Kim Sang-hyo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6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 No.2
Temporary structures are essential elements in the high-rise structures. They are various and one of them, prefabricated shoring system is very useful. Because it is easy to install prefabricated shoring system. But collapse disaster of prefabricated shoring system occurs every year. In most situations, design deficiency and lacking in strength of vertical member give rise to the collapse. In this study, buckling stability of prefabricated shoring system was analyzed in the design ph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