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한 농촌 마을 `유수아동(留守兒童)`의 학교 외 일상생활에 대한 교육적 의미 이해

        가소만 ( Suman Jia ),허창수 ( Changsoo Hur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6 교육과정연구 Vol.34 No.4

        중국은 1978년 12월, 제11기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에서 경제개혁과 대외개방노선을 정식으로 선정하여 중국의 체제와 경제발전에 있어서의 전환점을 맞이하였다. 30여년의 발전을 거쳐 경제가 현저히 발전함에 따라 `농민공`이 발생한 중국에서 유수아동 늘어나고 있고 사회적ㆍ교육적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이 유수아동들로 인한 교육불평등 현상을 비판교육학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유수아동들이 생활하고 있는 마을 현장에 들어가서 그들의 일상생활을 중심으로 한 자료를 수집했다. 이를 위해 비판적 문화기술지의 관점에서 관찰과 면접을 사용했다. 이 연구의 결과로 연구대상인 유수아동들은 부모의 돌봄이 상당히 부족한 생활을 하고 있는 것은 이해하게 되었는데, 이로 인해 교육불 평등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비판교육학 시각에서 이러한 불평등은 `돈`, `매스미디어`, `가정교육결여`라는 주제와 상황을 통해 이데올로기적 헤게모니와 권력관계가 재생산 될 가능성으로 발견하게 되었다. 이에 대한 제안적 실천으로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공동체 형성의 필요성을 `허위의식에 대항하기`로 논의하고 있다. In December 1978, at the third plenary session of the 11th Central Committee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China formally selected the economic reform and foreign opening lines, signaling a turning point in China`s system and economic development. As the economy has developed significantly over the past 30 years, the number of the “Yoo-Su” Children has grown, causing social and educational problems in China, where the “permanent off-farm work` takes pl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inequality caused by the Yoo-Su children as critical pedagogy. For this purpose, a comparativist visited the village site where the Yoo-Su Children live, examined their daily lives closely, and collected materials. For this,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ere used with the methodological perspective of critical ethnography.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understood that the Yoo-Su Children are significantly lacking parental care, which can lead to inequalities in education. In the critical pedagogical view, these inequitie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ideological hegemony and power relations are reproduced through the mechanisms of money, mass media and a lack of home education. The need to form an educational community centered on villages to “counter false perceptions” is discussed as a proposed practice for this area.

      • KCI등재

        질적 연구 경험에 대한 협력적 성찰이 가진 방법론적 의미 탐구

        가소만(Suman Jia),허창수(Changsoo Hur),김보화(Bo-Hwa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9

        목적 이 연구는 연구자의 질적 연구 ‘경험’에 대해 동료 연구자들과 함께 협력적 ‘성찰’을 하여 그 의미를 찾는 것이 목적이다. 방법 한 연구자가 질적 연구를 처음 수행했던 경험을 토대로 자기 성찰과 협력적 성찰을 실천했다. 이를 위해 연구자의 주관성을 드러내는 데에 가장 적합한 글쓰기 방법인 자문화기술지를 연구방법으로 채택했고, ‘연구자의 질적 연구 경험은 어떠하며, 그 경험에 대한 성찰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결과 첫째, 질적 연구는 연구자의 자신의 삶에 대한 성찰로부터 시작하며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연구 주제와 대상이 발현한다. 둘째, 질적 연구는 연구 방향의 엄밀하고 타당한 검토를 위해서는 문헌, 현장조사 등 사전 연구가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셋째, 질적 연구의 타당도와 신실성을 확보하는 동료 검증은 협력과 학습을 위한 과정임을 이해하였다. 결론 질적 연구 경험을 성찰하는 것은 ‘연구자로서 나’와 ‘개체로서 나’에게 모두 의미 있는 전환 학습 차원의 교육적 경험이었다. Objectives This study purports to find the meaning through collaborative reflections on ‘experience’ of a qualitative researcher. Methods In response, a researcher practiced self-reflection and collaborative reflection based on a researcher’s first experience in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Auto-ethnography, which is the best way to reveal the subjectivity of researchers, was adopted as a research methodology. The research questions are the following: 1) how did a researcher experience the qualitative research?, and 2) what is the meaning of reflection on the experience?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qualitative research begins with a reflection of the researcher s own life, and the subject and object of the study are expressed through the process of deconstructing and reconstructing. Second, qualitative research recognized that prior research, such as literature and field investigation, was necessary for a rigorous and reasonable review of the research direction. Third, for the validity and trustworthiness of qualitative research, peer debriefing was understood to be a process of collaboration and learning. Conclusions Reflecting on the qualitative research experience was a meaningful educational experience for both ‘as a researcher’ and ‘as an o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