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철학으로서 불교철학의 지형과 방법

        고영섭 한국불교학회 2016 韓國佛敎學 Vol.77 No.-

        이 글은 인문학의 정수인 불교학의 지평을 탐구하기 위해 철학으로서 불교철학의 지형과 방법에 대해 논구한 글이다. 만학의 제왕인 철학이 미학, 윤리학, 종교학 등 인접 학문에 봉토를 분봉해 주다가 정작 자신은 봉건 영주로전락하였다. 대학의 인문학에 위기가 온 것처럼 철학에도 위기가 왔다. 하지만 생각하기에 따라서는 철학의 위기가 철학의 기회가 될 수 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인접 학문에 떼어주었던 탈영토화된 철학의 영토를 재영토화할 수있을까? 아마도 철학의 초심으로 돌아가 ‘지혜에 대한 사랑’을 찾고자 하는‘절실함’을 환기 복원시켜야 하지 않을까? 철학으로서 불교철학 또한 마찬가지이다. 깨침을 얻고 난 붓다가 설법하기를 주저할 때 ‘중도행과 연기법’을듣고자 勸請하였던 범천의 ‘간절함’의 자세를 환기 복원시켜야 하지 않을까? 그러기 위해서는 철학으로서 불교철학의 지형과 방법에 대한 물음과 배움의 자세가 전제되어야 한다. 서양철학과 인도철학 및 중국철학의 대별 위에서‘언제’, ‘어디서’, ‘누가’, ‘무엇을’, ‘어떻게’, ‘왜’라는 육하(六何) 즉 세계관적범주의 형식을 원용하여 초심의 자세로 불교와 불교철학에 대해 묻고 배워야하지 않을까 한다. 그렇게 할 때 우리나라 지식사회의 보편언어처럼 통용되는서양철학의 존재론에 대응하는 주체론, 인식론에 대응하는 심성론, 가치론에대응하는 수행론에 대해 보다 자세히 묻고[審問] 좀 더 폭넓게 배워[博學] 서로대화하고 소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되면 불교의 근원을 다시 돌아보게되고 불교철학의 근본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지혜의 당체’인 불교와 그 ‘지혜에 대한 사랑’인 철학이 만나 이루어진 불교철학의 지형과 방법도 초심(懇切함)과 발심(切實함)을 아우르는 초발심에서출발해야 할 것이다. 분황 원효(617~686)가 제시한 것처럼 ‘爲學’은 ‘爲學者’ 즉 ‘학’을 배우는 사람의 소임이자 임무이다. 그는 여래의 깊은 뜻을 담은 경의 오묘한 뜻인 ‘학’을 배우는 사람들은 한 두루마리의 책을 잠시 열어서 삼장의 뜻을 두루 탐구해야 한다고 했다. 이 문헌 즉 삼장의 뜻을 두루 탐구하기 위해서는 문헌학적 방법론에 입각한 깊은 이해와 그 문헌에 대한 넓은 해석학적 방법론이 적용되어야 한다. ‘爲道’는 ‘爲道者’ 즉 ‘도’를 배우는 사람의소임이자 임무이다. 그는 온갖 경계를 길이 쉬어서 드디어 일심의 근원에 돌아가고자 한다. 온갖 경계를 길이 쉬기 위해서는 자기 성찰이 전제되어야 한철학으로서 불교철학의 지형과 방법 / 고영섭 81 다. 자기 성찰은 ‘위학’에 입각한 문헌에 대한 깊은 이해와 문헌에 대한 넓은해석 위에서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위학을 전제로 하지 않는 위도는 있을 수없다. 학문의 길이 묻고 배우는 問學의 길이듯이 자세히 물어야[審問] 폭넓게 배울[博學] 수 있는 것이다. ‘위도’ 즉 ‘도를 배우는 사람’은 ‘철학하는 사람’이다. 철학이 ‘위학’ 즉 ‘학을 배우는 것’이라면 철학함은 ‘도를 배우는 것’이다. ‘도’는 그렇게 사는 이의 길이며 그렇게 누리는 이의 길이다. ‘철학’이 ‘지혜에 대한 사랑’이고, ‘학문’이 ‘물음과 배움의 길’이듯이 우리는 ‘위도자’가 되기 위해 ‘위학자’가 되어야 하며 문헌학과 해석학에 능한 ‘위학자’가 되어야비로소 응용학과 실천학에 깊은 ‘위도자’로 나...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different topography and methodologies of Buddhist philosophy as part of the greater field of philosophy in order to explore the future of Buddhist Studies as the essence of the humanities. In the past, Philosophy, the flower of all studies, was relegated to the status of feudal lord while related fields such as aesthetics, ethics, religious study, etc. were distributed as the fiefs. Philosophy has also entereda crisis period similar to the modern decline of the humanities at universities . However, the crisis facing philosophy can be seen as an opportunity depending on the mindset. Then, how can the realm of philosophy, which distributed its territory to related studies, become territorialized again? The answer may lie in the restoration of desperateness as a way to rekindle the love of wisdom by starting with the fundamental ideas of philosophy. The same is true for Buddhist philosophy as part of philosophy. We should restore and promote the desperate attitudes of Beomcheon (梵天) who strived to gain insight into Jungdohaeng (中道行 Middle Way) and Yeongibeop (緣起法 law of causality) after the Buddha hesitated to preach following his enlightenment. For that, the precondition is the constant pursuit and learning topography and methodologies of Buddhist philosophy as part of philosophy. We need to ask and learn about Buddhism and Buddhist philosophy with a renewed mind by sticking to the globally adopted principle of 5W1H (who, what, where, when, why, how), on the basis of general philosophy classified largely into Western philosophy, Indian philosophy, and Chinese philosophy. Then, we will be able to discuss and 철학으로서 불교철학의 지형과 방법 / 고영섭 119 communicate more effectively through extensive inquiry about subject theory corresponding to existentialism of Western philosophy which is regarded as the universal language of Korea’s information-based society, theory of human nature corresponding to epistemology, and discipline theory corresponding to the theory of value. By doing so, we can reexamine the foundation of Buddhism and contemplate the roots of Buddhist philosophy. As Bunghwang Wonhyo (617~686) suggested, learning is the mission and duty of the person who is learning. Those who pursue learning, the abstruse meaning of scriptures containing the profound thoughts of Tathagata, should open the scripture and explore the meaning of Tripitaka with intense vigor. To explore the meaning of this literature, i.e., Tripitaka, we should develop a profound understanding of literary methodologies and apply a broad hermeneutical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true meaning of the literature. Learning is the mission and duty of the person pursuing the Tao. The person pursuing the Tao seeks to return to the foundation of single-mindedness after passing through various mental boundaries and obstacles. To pass through these various boundaries, self-reflection is a prerequisite. Self-reflection is based on the profound understanding of literature, which is based on learning and the broad interpretation of literature. Thus, there should be no pursuit of Tao without the pursuit of learning. As learning is the constant process of inquiry and acquiring knowledge, we can learn extensively by asking questions in detail. Those who pursue Tao are philosophers. If philosophy is the pursuit of learning, then philosophy represents the pursuit of Tao. Tao is the way of those living and enjoying by this way. As philosophy is the love of wisdom and learning is the process of asking and learning, we should pursue learning to follow the true path of Tao. We can climb to the path of Tao with deep insight into Application Study and Practical Study only when we become followers of the Tao who are well acquainted with literature and hermeneutics. Therefore, the topography and methodology of Buddhist 120 한국불교학 77 Philosophy are two sides of the same coin 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