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종호,김종호,이제헌,임형택,방경은,이숙진,임순용,양승민 한국통신학회 2000 한국통신학회논문지 Vol.25 No.8
If the control system that works important job fails, economical loss occurred. Hence, to guarantee high reliability, it must be duplicated. In the case of traditional duplication mechanism, dedicated operating system with duplication functions were built. This required much development and maintenance cost. They can be saved, if we use commercial operating system and its development environment.This paper proposes a duplication mechanism for the system based on commercial 0S. The system that explained in this paper is BSC(Base Station Controller). The duplicated BSC system uses concurrent write memory for synchronization and VxWorks as an operating system. We propose how the task supporting duplication functions is executed without delay and preemption, how to synchronize standby's memory with active' s, and how to use concurrent-write memory easily with VxWorks' s partition. We also describe the takeover procedure when the active detects its hardware fault and when the standby recognizes the failure of the active.
김종호,정수종,김규랑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봄철 식물의 꽃가루는 기후변화에 따른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와 기온, 강수량 등의 변화로 비산시작 시기가 빨라지고, 농도는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최근 평균기온이 상승함에도 연중 총 꽃가루 비산량이 감소하고 있는 경향성이 나타나고 있어 꽃가루 농도를 설명하기 위해 기상요소들과 같은 외부적 요소뿐 아니라 식물 계절학적 (페놀로지) 측면에 대한 추가적 접근과 같은 생태학적 요인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과학원이 7개 관측소에서 2007년부터 측정 중인 소나무의 일별 꽃가루 농도 자료를 활용하여 꽃가루 비산시작시기와 비산종료시기를 도출하여 기상변수 및 식물 페놀로지가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확인했다. 먼저, 기존의 연구들과 같이 비산시작시기는 겨울철 온도상승에 대하여 유의미하게 빨라지는 것을 확인했다(0.31 일/년). 반면에 비산종료시기는 온도상승과 빨라진 비산시작시기로 인해 0.77 일/년씩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비산기간은 상대적으로 더욱 빨라지는 종료시기로 인해 짧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최근 줄어들고 있는 연중 총 꽃가루 비산량은 온도가 아닌, 줄어든 비산기간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꽃가루 농도 예측 모델과 서비스 제공을 위해 기온 및 강수량과 같은 외부적 환경요소와 함께 식물 페놀로지와 같은 식물의 환경 적응 과정인 내부 생장 결정과정도 함께 고려해야함을 시사한다.
고객세분화를 통한 정책홍보 적용 방안 연구 : 국정홍보처의 고객맞춤 홍보와 매체 운영을 중심으로
김종호,김세훈 한국행정연구원 2006 韓國行政硏究 Vol.15 No.3
본 연구는 정책홍보에서 활용되는 매체 선택과 홍보 방법이 고객집단별 특성에 맞추어 적용될 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수행되었다. 이에 국정홍보처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검토하고, 향후 정책홍보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요인과 적용 모형을 구성하여 보았다. 정책홍보에서의 활용 매체는 방송·인쇄·인터넷매체로 구분하였고, 이를 Push·Pull의 방식으로 유형화하였다. Push와 Pull형 매체는 고객집단이 정책의제에 대해 가지는 관여도와 지식수준에 따라 다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적대·우호의 행태 표출에 따라서 다르게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론적 논의의 결과였다. 이를 근거로 현재 국정홍보처에서 수행하는 정책홍보 실태를 매체별 예산집행현황과 고객중심 맞춤홍보 수행 실태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Push형 성격을 가진 일부 매체에 지나친 편중이 있었고, 고객중심 맞춤홍보는 실제로 차별화된 수행이 이루어졌다고 보기 어려웠다. 이러한 한계 극복을 위해 관여도, 지식수준, 대응행태별로 어떻게 고객집단을 특성화시키며, 어떠한 접근이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제언하였다.
김종호,이형돈,문형철,곽평진 한국도로학회 2014 한국도로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4 No.9
유지관리측면에서 공항포장 요철(평탄성)관리는 도로포장과 비교하였을때 매우 상이하다. 도로포장과 공항포장의 요철관리를 위해서는 비교적 장파장에 대한 노면 요철 측정이 요구된다. 국제민간항공기구 (ICAO)에서 공항 포장의 요철 허용치를 3m 직선자 기준 3mm 이하로 권고 하였으나, 10차 개정안에서 권고되는 측정방식은 국부적인 요철 뿐 아니라 항공기 특성을 반영하여 장파장(120m)의 노면요철까지 고 려하여 요철 크기에 따라 조치사항을 권고하고 있다. 도로 요철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관성형 프로파일 측정기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하지 못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공항 요철 측정에는 일반적으 로 워킹프로파일 측정기(Walking Profiler)를 사용하고 있으나, 현저하게 낮은 속도로(4km/h미만) 24시 간 운영되는 국제공항과 운영 특성상 측정효율이 매우 낮아 현실적으로 현장조사가 어려운 단점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항요철 평가에 적합하도록 고속레이저 변위센서(Laser displacement sensor), 관 성항법측정장치(Inertial Mesurement Unit) 및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 하여 고속 요철 측정 장치를 개발하였다. 더 나아가 광대역 레이저 스캐너와 연동하여 활주로 전체에 대한 3차원 프로파일을 측정, 활주로 전체 의 요철을 관리 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임업부문과 타산업부문간의 산업연관분석에 관한 연구(1970∼1980)
김종호,박태식 한국임학회 198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65 No.1
本 硏究는 國民經濟의 循環 속에서 林業 및 林産加工産業의 位置와 構造를 把握하고자 1970年, 1975年, 1980年 産業聯關表를 資料로서 林業 및 産業加工産業을 3部門 他産業을 16部門으로 統合하여 19部門表를 作成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投入係數 및 逆行列係數를 구함으로써 林業 및 林産加工産業과 他産業部門間의 聯關構造 變化를 分析한 結果를 綜合하여 볼 때, 1970年에서 1980年間에 經濟構造가 轉換됨에 따라 林業의 相對的 比重은 감소하고 있으며 구조적으로 中間需要的 原始産業型인 特性이 있으나 中間需要比가 增加하고 있어 다른 産業에 대한 供給産業으로서 중요한 役割을 하고 있다. 특히 林産物의 輸入係數는 他産業과 比較할 때 크고 增加趨勢에 있다. 林産加工産業이 發達하여 林産物에 대한 需要가 增加하더라도 그것들이 輸入에 의하여 充當된다면 이러한 聯關構造는 國內産業에 아무런 波及效果를 주지 못한다. 따라서 林業과 他産業間의 진정한 聯關擴大는 國內生産에 基盤을 두어야 하며 林産物의 輸人은 이러한 시각에서 再檢討되어야 하고 林産物의 自給策이 시급히 요청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