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작업동맹(working alliance)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김은하,박승민 한국상담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3 No.1

        상담 및 심리치료 연구에서 작업동맹은 다양한 심리치료 접근에서 중요한 치료적 요인이면서 동시에 상담의 성과와 관련되는 중요한 요인중 하나로서 오랫동안 관심의 주제가 되어 왔으며, 작업동맹과 상담 효과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 또한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지금까지 이루어진 작업동맹 연구의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흐름과 성과를 정리하고 앞으로 초점을 두어야 할 연구의 방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작업동맹을 주제로 국내에서 이루어진 전문학술지 논문 및 학위논문 88편을 대상으로 내용분석한 결과, 주제별 동향은 ‘작업동맹’을 과정변인으로 간주하고 다른 과정변인들과의 영향 관계를 살펴본 과정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방법별 동향은 상담 연구의 전체 동향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이 양적연구에 치우쳐져 있었다. 작업동맹을 측정하는 도구로는 대부분의 연구가 WAI(Working Alliance Inventory)를 사용하고 있었고, 작업동맹과의 영향관계를 살펴본 관련 변인들로는 내담자 변인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작업동맹 연구의 경향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추가하였다. The working alliance has been of primary interest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research for several decades. Many researchers have consistently documented that the working alliance is a key predictor of good outcomes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of and issues in research about the working alliance in Korea up to date, and to propose directions for further study. For this end, eighty eight studies about the working alliance, published from 1992 to February 2010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research topics, subjects of study, research methods (i.e., measurements, quantitative, or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conceptually related variables with the working alliance. Based 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current issues in the researches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유령의 귀환과 비통한 마음의 서사

        김은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5 한국문화 Vol.69 No.-

        Condolences are a rite of emotion for helping us to overcome sorrow because survives can put the memory of the dead into site of memory and come back to daily life. Condolences can last, not just one-off event, because ‘the impossibility of condolences’ failed like paradoxical thesis of Jacques Derrida that can assure faithfulness of condolences. It seems that ‘the faithfulness of condolences’ is well identified by the fall victim to a certain suppressed power and the condolences, which is not natural death. It is because sacrificial death is sized with ‘a grudge’ that can’t be forgotten easily even though time goes by. It makes ‘condolences’ be an issue that is down to a social group, which a community shall bear, not to personal feeling wounded by the loss. It is because it brings up the necessity to heal sorrow as a group, not personal dimension, as giving trauma to whole communities. Empathy for sorrow and the solidarity that people can feel might be a key point of political experiment for forming ‘us’, beyond an isolated individual. Condolences come from a human being that can respond as an existence and have responsibility to respond.Here, responsibility refers to an entrance into the relation with others, leaving one’s own isolated world. Therefore, condolences make us go our own life into a prospect of our life, not making the victims be an exorcist as making them be a monument. It can be an ethical theme. as asking us to change lifestyle. It is because if a heart that empathizes deeply the pain of others and considers doesn’t rise up, condolences may be just a chance of a political battle. According to Kobysashi Hideo, history is ‘the greatest grudge of mankind’, so what has been supporting it is not ‘casual links’ but ‘our regret’. Seeing the example of it, there are two novels. When 『a boy comes』 by Han-gang tried to reveal the iniquity of state violence based on a detailed historical research of Kwangju, it tried to do an aesthetic test which the people from the outside can share the event of contempt that the victims had. Explorations in human scar which the victims had can’t be collected with language such as idea, politics and the main body of history, as inducing somber empathy for human vulnerability. Moreover, 『Legato』, which is a disclosed statement of the generation in Kwangju, has evoked the importance of a sharp sense for violence that is done unconsciously, prior to political knowledge or purity of faith. It seems that the naked violence lead the readers to disillusioned and a cynic for human nature. These works, however, imply that emotion which has been degrading under reason such as humiliation and sense of guilty until now could be a clue that calls ethically mankind and rebuilds justice of community. Especially, condolences make sorrows be a meaning as a political resource for a fine emotion of community, as awakening that we are inextricably linked with other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성차별경험이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에 미치는 영향: 성별집단자존감을 조절요인으로

        김은하,박한솔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개인자존감을 통제한 상태에서 성별집단자존감이 성차별경험과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Belief in a just world; 이하 BJW)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300명의 일반 여성을 대상으로 성차별경험, 개인자존감, 성별집단자존감, BJW를 측정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인자존감을 통제한 상태에서, 성별집단자존감이 성차별경험과 BJW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별집단자존감이 높을수록, 성차별경험이 BJW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성별집단자존감의 하위유형(멤버쉽, 사적, 공적, 정체성)이 각각 성차별경험과 BJW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 정체성을 제외한 나머지 하위유형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그리고 상담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gender collective self-esteem w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gender discrimination and belief in a just world (BJW) after controling the effect of personal self-esteem. For this, we measured perceived gender discrimination, personal self-esteem, gender collective self-esteem, and BJW in a sample of 300 women and conduct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after controlling the effect of personal self-esteem, gender collective self-esteem mode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gender discrimination and BJW. That is, as gender collective self-esteem became greater, the negative effect of perceived gender discrimination on BJW decreased. In addition, we tested if four aspects of gender collective self-esteem (e.g. membership, private, public, identit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gender discrimination and BJW. It was found that all of the four aspects except identity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Finally, we discussed limitation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clinical implication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상담관계에서 대학생 내담자의 자율성 욕구 중요도가 초기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 : 상담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 중요도의 조절효과

        김은하,서정선,백혜영,신희천,조은주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미래교육학연구 Vol.31 No.1

        Based on the three psychological needs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i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how the clients’ perceived importance of autonomy needs in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would influence their working alliance. In addition, we examined whether the therapists’ perceived importance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would have moderate effect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99 clients from university counseling centers and their 37 therapis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clients’ perceived importance of autonomy needs was positively related to working alliance and that the therapists’ perceived importance of autonomy and competence needs moderated such a relationship. More specifically, therapists’ importance of autonomy needs strengthen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lients’ importance of autonomy needs and working alliance, while therapists’ importance of competence needs weaken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lients’ importance of autonomy needs and working alliance.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therap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에서는 자기결정이론의 기본 심리적 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를 적용하여, 내담자의 자율성 욕구 중요도가 이들이 지각하는 초기작업동맹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상담자의 기본심리적 욕구 중요도가 내담자의 자율성 욕구 중요도와 초기작업동맹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상담센터에서 개인 상담을 받고 있는 105명의 내담자와 이들의 39명의 상담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회귀분석을 한 결과, 내담자의 자율성 욕구 중요도는 초기작업동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상담자의 자율성과 유능성 욕구 중요도가 이러한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담자의 자율성 욕구 중요도가 높을수록, 내담자의 자율성 욕구 중요도와 초기작업동맹 간의 정적 관계가 높아지는 반면에 상담자의 유능성 욕구 중요도가 높을수록 내담자의 자율성 욕구 중요도와 초기작업동맹 간의 정적 관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 문학과 21세기 소녀의 귀환 -여성작가의 청소년 소설을 대상으로

        김은하 한국여성문학학회 2010 여성문학연구 Vol.24 No.-

        Recently, a girl is showing up as an active subject who cuts dominant culture and revolts against it. In the adolescent literature, the growth of girls is no more the sacrificial pass time where gains adopted feminist as entering the law of father. It can be to say that has resulted from the active creative activities of women writers since paternal authority fell and feminism popularized due to IMF. While a father is disappearing in the adolescent literature by women writers, 'the romance plot of an Oedipus family' is destroying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daughter is abslutized. Separation mother from daughter or betrayal is no more essential procedures of the growth; rather, recovery of this relationship between them is presented as a narrative goal. The girl in an adolescent literature is problematic character who represents the time after 'feminist literature' and 'feminism'. However, while the influence of father is getting slight on the growth of adolescence, it is potentially showing up that mother-child relationship may be come in conflict and struggle. The illusion of omnipotent mother can be caused that puts the daughter under the mother. On the other hand, at last,the girls return to the adult body which can get sexual desire or which can get a function of being pregnant and giving a birth, not purity such as an idiot, or a poor victim.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new understanding of a girl who is not innocent child before differentiation of gender, but a main agent of a body. But, on the one hand, the girls in the reality makes their body be a place to have a pleasure or to overturn, for the adult artists, it is that the sex of adolescent can't legitimately be mentioned ty them because they have been experienced this as anxiety or fear. On the other hand, it felt out the possibility of new adventures by appearing girl losers cross over dichotomy but a repressive intolerance between the virgin and the villainess. For the meantime, in the fable-adolescent literature, when we consider that girls-women could not leave toward the road of adventure locked by the romance plot which is scattered everywhere, this change is breakthrough. However, we are concerning whether the feminism is holding hands with self-development discourse which can open a door of it for everybody who passes over a border arming challenge and self-confidence. 최근 소녀는 지배 문화를 횡단하고 반란하는 능동적 주체로 등장하고 있다. 청소년 문학에서 소녀들의 성장은 더 이상 아버지의 법 속으로 들어감으로써순응적 여성성을 획득하는 희생적 통과제의의 시간이 아니다. 이러한 변화가일어나게 된 계기로 아이엠에프로 인한 부권의 추락과 페미니즘 대중화 이후여성작가의 활발한 창작활동을 들 수 있다. 여성작가들에 의해 청소년 문학에서 아버지들이 사라지고 있는 한편으로 어머니와 딸의 이자(二者) 관계가 절대화되면서 ‘오이디푸스 가족 로맨스 플롯’이 무너지고 있다. 어머니와 딸의분리 혹은 배반은 성장의 필수적인 절차가 되지 못하며, 오히려 이자 관계의회복이 서사적 목표로 제시된다. 청소년 문학 속의 소녀는 ‘여성문학’ ‘페미니즘’ 이후를 보여주는 문제적 주인공이다. 그런데 청소년의 성장에 아버지가 미치는 영향력이 미미해 지면서 모자관계는 또 다른 의미에서 갈등과 투쟁이 될 수 있음이 징후적으로 드러난다. 전능한 어머니의 환상은 딸을 어머니의 지배 하에 가두어 버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소녀들은 여성작가들에 의해 비로서 백치같은순수나 가엾은 희생자가 아니라, 성욕을 가진 몸 혹은 임신과 출산의 기능을갖춘 성숙한 육체로 귀환한다. 이는 소녀가 성이 분화하기 이전의 천진한 유아가 아니라 욕망하고 생식하는 몸의 주체로 재인식되고 있음을 암시한다. 그러나 현실 속의 소녀들이 스스로의 육체를 유희와 전복의 장으로 삼는데 반해 성인 작가들에게 십대의 성은 불안 혹은 공포로 경험되기 때문에 소녀의섹슈얼리티는 본격적으로 말해지지 못한다. 다른 한편으로 성녀와 악녀라는편협하면서도 억압적인 이분법을 가로지르며 소녀 루저들이 등장해 새로운모험담의 가능성을 타진한다. 그간 동화-청소년 문학에서 소녀-여성 들은 도처에 편재하는 로망스 플롯에 묶여 모험의 길을 떠날 수 없었던 점을 고려해보면 이러한 변화는 획기적이다. 그러나 페미니즘이 도전의식과 자신감으로무장한 채 경계를 넘어 횡단하는 이들 모두에게 누구나에게 문을 열어주는자기계발 담론과 손잡고 있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