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53-1967년 로버트 라이먼 작품을 통해 본 회화의 실천적 의미: 수평적 붓질의 물질성과 반복성

        김규은 한국미술이론학회 2017 미술이론과 현장 Vol.0 No.24

        This thesis examines Robert Ryman's paintings for a period from 1953 to 1967 in order to investigate how he built up his own meanings of painting by focusing on the experience in the interactive process of painting. He has been known as minimalist painter due to his pursuit of materiality and the pattern of repetition in his brushstrokes. In this study, his brushstrokes are interpreted as an act of experience – the notion that parallels the John Dewey's idea of art. As predicated by the Dewey's empiricism, Ryman consciously set control conditions in order to produce desired results – a feedback process built on his experience – with a specific target material. Using this process, he successfully managed to challenge even unconventional industrial materials. It is thus posited that the repetition of horizontal brushstrokes in his work enabled the expansion of material's possibility instead of reducing it. 본 논문은 로버트 라이먼(Robert Ryman, 1930-)의 1953년-1967년 작품을 중심으로 그가 회화를 경험하는 상호작용의 과정을 통해 회화의 의미를 축적했다는 점을 밝힌다. 물질성과 반 복성이라는 특징 때문에 ‘미니멀리스트 화가’로 알려진 라이먼이 1950년대부터 작품을 시작해 온 맥락이 최근 연구되었다. 본 글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그가 회화와 상호작용하는 붓질의 행위 를 실험으로 보고, 듀이의 경험론과 접목했다. 그는 경험 과정에서 얻은 해결책을 ‘의식’적으로 이용하여 통제 조건을 설정하고 결과를 산출하고, 또 새로운 재료를 향해 도전한다. 이러한 관점 에서 그의 수평적 붓질에 나타난 반복은 물질적 측면에서 감축이 아니라 역설적으로 확장되며, 산업용 재료를 사용했음에도 그가 이를 회화를 지속하는 바탕으로 사용했다는 점을 주장했다.

      • KCI등재

        ‘대학 교수자의 피드백 효과성’ 측정 도구 개발 및 타당화

        김규은,김민성 한국교육심리학회 2022 敎育心理硏究 Vol.36 No.4

        This study developed and validated a scale for “Effectiveness of College Instructor’s Feedback.” In the item creation stage, the components of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feedback” and “feedback effect” were extract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open-ended survey administered on 230 college students. After conducting the content validation, a preliminary survey for the pilot test was established. The pilot test was conducted on 278 students, and 20 items of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feedback” and 16 items for “feedback effect” were derived for the final instrument. For the main test, 524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and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rovided evidence for the construct validation of five-factor structure (elaborative feedback, guiding feedback, acknowledging feedback, interactive feedback, timely feedback) and four-factor structure (understanding, self-reflection, help-seeking, academic motivation). The scale exhibited correlations with academic self-efficacy, teacher-student relationship, mastery-approach goals,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s that confirmed the feedback literature, demonstrating the appropriateness of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Finally, the concurrent validity was confirmed by th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scores of the scale for “Effectiveness of College Instructor’s Feedback” and the existing feedback scales. In conclusion, the results provide a foundation for examining the feedback phenomena in higher education, and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for better improvement in teaching.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수자의 피드백 효과성’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효과적인 피드백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고 대학생 230명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피드백’에 대한 경험을 묻는 개방형 설문 자료를 실시하여 ‘효과적인 피드백의 특성’과 ‘피드백 효과’의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토를 거쳐 ‘대학 교수자의 피드백 효과성’ 예비검사를 개발하였다. 대학생 278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문항을 수정하였다. 최종 검사도구 개발을 위해 대학생 524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피드백의 특성’ 5요인(구체적 피드백, 방향제시 피드백, 격려 피드백, 상호작용 피드백, 적시적 피드백)과 ‘피드백 효과’ 4요인(이해, 성찰, 적응적 학습행동, 학습동기)으로 구성된 ‘피드백 효과성’ 척도의 구인타당도를 점검하였다. 전체 검사도구의 신뢰도(Cronbach’s α)는 .92-.96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대학 교수자의 피드백 효과성’ 구성요소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수-학생 관계, 목표지향성과의 상관관계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관된 양상을 나타내 적절한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확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형성적 피드백’ 척도 및 ‘피드백 리터러시’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공인타당도를 점검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대학 교수자의 피드백 효과성’ 측정도구는 대학교육에서 이루어지는 피드백 실제를 이해하고 대학생들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수업개선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Flow Experiences in High School Dance Students: A Closer Look into the Role of Flow in Dance Education in South Korea

        김규은,김민성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high school dance students experience flow. A qualitative phenomenological approach was used. A th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on semi-structured interview data from seven ballet students of performing arts high school. The findings showed that dance performance fostered flow experiences to the highest extent, as students felt most confident and satisfied after mastering dance pieces through long-term rehearsals. Receiving positive responses from the audience and dancing with peers in groups elevated their motivation and enjoyment while dancing on stage. In comparison, students were less focused in ballet classes due to the exhaustion resulted from excessive practices for competitions and performances. The resul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ncouraging frequent flow experiences in daily practice to enhance students’ well-being. In this study, flow is regarded not solely as an important factor for a better performance, but equally as future motivation for a long-term commitment in dance. This is particularly salient as flow experiences are beneficial to both students’ psychological states and long-term career goals.

      • 팔당수력발전소 건설계획개요 및 bulb형 수력발전기의 특이성

        김규은 대한전기학회 1966 전기의 세계 Vol.15 No.2

        근년에 이르러서는 최신식화력을 전력계통의 성장과 더불어 단위용량대형화 되었을 뿐 아니라 기기의 발달로 인한 효율의 대폭향상에서 KW당 건설비 및 KWH당 발전원비가 저감케되어 수요의 Base부분은 최신식 화력으로 하여금 담당토록 하고 비교적 단시간의 첨두부하는 수력 혹은 노후화력으로 하여금 담당케 하고 있다. 노후화력은 신규화력의 개발에서 생기는 부산당적 시설로 볼수 있으므로 첨두부하에 대한 공급전원이 부족할 때 수력으로 하여금 메꿀것이냐 그렇지 않으면 신규화력의 개발로서 생기는 노후화력으로 메꿀것이냐 하는 무제에 귀착된다. 본 고에서는 수력발전기 형식선정에 있어서 12m의 저낙차인 팔당의 경우 Bulb형기의 특성을 Kaplan형기와 비교검토하여 그 주요문제점을 논하고저 한다.

      • KCI등재

        잠재집단분석을 이용한 효과적인 피드백 제공 교수자의 특성 분석

        김규은(Kim, Gyueun),이동주(Lee, Dongjoo),김민성(Kim, Mins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교수자’의 특성을 학생의 인식을 통해 살펴보고 그 특성을 유형화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9년 11월 14일부터 11월 15일까지 광주광역시 소재 4년제 종합 사립대학에서 일반 교직과목을 수강하는 다양한 전공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수집된 230명의 자료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교수자의 특성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2019년 11월부터 2020년 9월까지 분석하고 이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한 후 도출된 특성들이 어떠한 유형으로 묶이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잠재집단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결과 대학생들의 설문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8개의 범주(개별적 관심, 참여소통, 수업열정, 눈높이 설명, 정교화 피드백, 방향제시 피드백, 긍정적 피드백, 즉각적 피드백)가 도출되었다. 잠재집단분석을 실시하여 ‘학생참여 촉진형(29.4%)’, ‘구체적/체계적 안내형’(22.2%)’, ‘개별적 관심/지원형(48.4%)’의 3개의 교수유형을 도출하였고, 교수자의 성별과 전공영역에 따라 유형별 소속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드러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효과적인 피드백 제공 교수자의 특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양적인 지표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대학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providing effective feedback through students’ lens, and to classify the identified teacher characteristics into heterogeneous sub-groups. Methods 230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via open-ended survey which used questions for students to reflect on their experiences of teachers providing effective feedback. Latent Class Analysis (LCA) was used to discover the underlying response patterns. The study conducted ANOVA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eachers’ gender and subject variables of the three latent classes. Results Through a qualitative approach, eight categories (‘personal interest’,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explanation suited to students’ level’, ‘elaborative feedback’, ‘guided feedback’, ‘positive feedback’, and ‘immediate feedback’) describing teacher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Through Latent Class Analysis, three sub-groups were defined as ‘active engagement facilitator’ (29.4%), ‘elaborative/systematic explanation provider’ (22.2%), and ‘personal interest/support provider’ (48.4%). The result of ANOVA fou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gender and subject variables.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an implication to improve the educational quality by presenting various insights of students’ thoughts followed by the representation of statistically sound results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providing effective feedback.

      • KCI등재

        대학수업에서 피드백 유형과 수업맥락이 피드백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규은(Gyueun Kim),김민성(Minseong Kim)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3 Global Creative Leader Vol.13 No.4

        본 연구는 대학수업에서 피드백 유형과 수업맥락(전공계열, 교수-학생 관계)이 피드백 성과(outcome)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활용하여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에 소재한 3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430명의 설문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드백 유형(구체적, 방향제시, 격려, 대화적, 적시적) 중에서 구체적 피드백, 격려 피드백, 대화적 피드백은 피드백 성과(이해, 성찰, 도움추구, 학습동기)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수업맥락 변인인 교수-학생 관계는 모든 피드백 성과 변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드백 성과에 미치는 수업맥락 변인(전공계열, 교수-학생 관계)과 피드백 유형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본 결과, 수업맥락 변인에 따른 피드백 유형의 차별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수-학생 관계는 구체적 피드백, 격려 피드백, 적시적 피드백이 피드백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조절하였고, 교수-학생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피드백의 효과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수업맥락과 효과적으로 밝혀진 피드백 유형이 피드백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으며, 수업맥락에 따라 피드백 유형의 차별적 효과를 다양하게 살펴봄으로써 수업맥락을 고려한 피드백 제공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feedback types and class context (academic disciplin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on feedback outcome in university classe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urvey data of 430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types of feedback (elaborated, guiding, encouraging, interactive, and timely), elaborated feedback, encouraging feedback, and interactive feedback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feedback outcomes (understanding, reflection, help-seeking, and academic motivation). Second,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positively impacted all feedback outcome variable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teraction effect of class context variables (academic disciplin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feedback types on feedback outcome, differential effects of feedback types and class context were confirmed. Lastly,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moderated the effects of elaborated feedback, encouraging feedback, and timely feedback on feedback outcomes. The better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the higher the feedback outcome was generated. By demonstrating the differential impact of feedback types and class context on feedback outcomes, the study suggests educators to consider the class context when providing student feedbac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