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발달장애아동의 사회통합을 위한 통합교육 방략

        김남순 한국발달장애학회 2002 발달장애연구 Vol.6 No.1

        The purposed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historical background of special education and full inclusive education, paradigm shifts and school reconstruction. Special education required in society shall be integrated with normal education. Education based on the objectives and microscopic views currently used, following realism, positivism and determinism has neglected qualitative aspects such as personal existence, intention, and decision making. In general, what should be of fully inclusive education is discussed in the following aspects : First, it fits the assurance of fundamental human rights and social justice pursued by most countries . “People have their own personalities and personal rights, and have rights to be provided public education, and countries have duties and responsibilities to educate people properly according to the rights given them. Second, ”education is natural in terms of a constitution that is based on equity and the integration of curriculum for school education is naturally pursued for social integration and proper education. In modern society where scientific technologies dominate living and people live beyond time and space, separate living and learning due to the mental and physical disabilities is not required anymore. Third, it complements a society in the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system. The focus on the welfare society is given on the integration of the isolated. For this, students with disabilities need to acquire necessary technologies and methods for regular living along with non-disabled students. Inclusive education aims to establish systems in which subjects of special education are arranged in regular classes and considers special schools and classes as institutions which are in charge of adjustment training and support for inclusive education. It tries to change the established arrangement of ( special classes → special schools → regular classes ) into a new one ( regular classes → special classes → special schools ).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basic research and planning in special education as one of the policies of special education which meets the social demands of the 21st century for national special educational institutions. As many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possible should be accepted to regular schools and for this, an essential environment, facilities and faculty should be avaiable. Specifically, special classes should provide convenient acces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onvenient facilities such as toilets for the disabled and ramps should be expanded. The full inclusive education is a comprehensive approach to responding to the needs of all students in a home, school and society. so following table is a comparison between exclusive and inclusive society. 일반적으로 인간이 다른 사람들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것을 일컬어 사회라 한다. 이러한 사회는 다양한 사람들 -이를테면 남자와 여자 등 외형적 차이는 물론 기능과 지적수준, 적응행동과 사고방식까지도 포함한-이 함께 더불어 자신과 타인의 생명을 보호하면서 보다 행복한 삶을 살아가도록 하는 이상적인 사회를 추구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노력들을 끊임없이 하고있다. 인간의 이러한 이상적이고 조화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한 노력의 하나가 특수교육에서 주장하는 통합교육이다. 본 연구는 오랜 동안 분리교육의 대상으로 취급되어온 그리고 지금도 마찬가지인 발달장애아동의 사회통합을 위한 교육정책으로써의 통합교육방략을 모색한 것으로써, 우선 선행연구들을 통해 그 필요성과 내용을 살펴보고, 한국의 통합교육 현상을 살펴 본 후, 통합교육모델을 제시한 후 구체적인 방략을 모색한 것이다.

      • KCI등재

        정신지체아동의 직업교육·훈련의 발전 방안

        김남순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03 지적장애연구 Vol.5 No.-

        본 연구는 정신지체아동들의 직업교육과정과 직업적응을 실태를 조사 분석한 내용이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정신지체인들은 자신의 신변상의 일처리, 사회생활에의 적응행동 결함등으로 직업능력에 다양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둘째, 정신지체인들은 학교교육과정과 장애인직업재활센터에서 직업교육을 이수했다 하더라도 대부분 낮은 봉급수준과 열악한 가정환경 그리고 여가생활을 하기에 어렵다. 뿐만 아니라 직업재활 프로그램은 그들의 적성이나 흥미 혹은 환경 등을 고려치 않은 프로그램들이 대부분이고, 그들의 직업생활에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하고있다. 그러한 중요한 원인들로는 열악한 직업교육환경(시설과 설비 등), 비전문적인 교사, 적성 등을 무시한 단순 훈련과정, 현장실습과정이 없다는 점이다. 셋째, 대다수의 정신지체인들의 직업고용형태는 매우 열악하다. 그리고 고용되는 과정과 직장에서의 대우 또한 열악한 수준이다. 따라서 정신지체인들의 직업능력과 생활기능의 특성들을 고려한 가능한 직업개발이 필요하다. 정보통신, 문화산업 등의 분야 개발이 요구된다. 직업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 직업교육환경 기반조성이 선행되어야 한다. 현재의 이원화된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단일화하여 집중적으로 지원해야한다. 특수학교교육과정은 직업에 대한 기초교육만을 그리고 전문부에서는 집중적으로 실습과정을 이수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들이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정책적ㆍ제도적 개선과 재정지원이 선행되어야하며, 직업교육전담교사의 양성과 배치, 각종 연수과정의 실질적인 내용구성과 개방, 직업교육에 필요한 재정지원의 확대 등이 필요하다. The development program for physically challenged children's educating and work training. This paper contains an analysis based on research projects about work-educating progress that affects disabled young peopl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disabled people have some difficulties that must be overcome so that they can live independently, be productive members of society and work despite their limited abilities. Second, even though some disabled people have been to education programs and occupation rehabilitation centers for disabled people, most of them can't get enough pay, have inferior home environment and difficulties in outdoor activities. Furthermore, most occupation rehabilitation programs disregard disabled people's aptitudes, interests, and environments. As a result it's often not very helpful to them in their working activities. The major problems are inferior working-education environments (system, equipment, etc), unqualified teachers simple training programs without assessing a disabled people's aptitudes, and no experience in an appropriate employment area. Third, the most disabled people's employment environment is very poor. Employment progress for hiring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employee remuneration is inferior. Thus, we need to consider occupation development which takes into consideration disabled people's working abilities and characteristics. We also need more development in information technologies, culture industries, etc. There should be established foundation for working-education program effectiveness. Different working-education programs should be unified for intensive support. Special School education programs should progress in fundamental education for occupations. A specialized department should strive for progress in an intensive training program. We need social security programs and policies that help working people with disabilities. Also we need more qualified and specialized teachers, various special programs that contain concrete concepts and the fund for working-education.

      • KCI등재

        한국의 통합교육정책 분석

        김남순 한국특수교육학회 2004 특수교육학연구 Vol.39 No.2

        The importance of special educational policy and the necessity of research herein have been highlighted due to the expansion of social and public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and the unitary, rational aspect between politics and administ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build and develop the theoretical basis on special educational policy analysis. So this study were qualitative analysis of full inclusive education policy in Korea special educ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s the full inclusive education policy is generally regarded as a part of public policy, the attributes of policy were understood through the analysis of existing policy concept definition. 2. The full inclusive education policy content seemed to be composed of four system and eight components, such as normative system, planning(goal, means) system, behavioral system, evaluation system hierarchically interacted with each other. 3.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Regulations revised in 1994 requires education using textbooks, remedial education and occupational education through curriculum, education methods and media suitable for the subjects of special education.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Part 2, Article 1) 4. An effort for inclusive education under the existing laws and regulations is found in the conversion of educational systems. Inclusive education aims to establish systems in which subjects of special education are arranged in regular classes and consider special schools and classes as institutions which are in charge of adjustment training and support for inclusive education. 5. For a successful fully inclusive education, teacher training is necessary.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basic research and planning in special education as one of the policies of special education which meets the social demands of the 21st century for national special educational institutions. 본 연구는 한국 통합교육과 관련된 정책형성과 정책결정 그리고 정책집행과 평가과정을 정성적으로 평가한 내용이다. 특수교육에서의 통합교육은 공공성이 매우 크고, 일반 사회에 미치는 영향 또한 적지 않다는 사실을 감안하여 정책입안으로부터 실현과 결과에 미친 요인들을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인 정책 실현이 되도록 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입장에서 본 연구는 Dror 등의 이론을 최종운이 모형화한 통합적 분석모형을 기본모형으로 분석평가 하였다. 그 결과 정책 형성과 결정과정에서 사회 전반적인 협력을 이끌어 내는데 부족했고, 집행과정에서는 정책실행자들의 전문성 부족과 사회전반적인 이해부족이, 평가과정은 아예 실행되지 못한 점들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고려 할 때 차후 통합교육정책의 발전을 위해서는 보다 합리적인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실행하는 노력이 필요 할 것이다.

      • KCI등재

        발달장애의 수예공작 프로그램 필요성에 관한 고찰

        김남순,김동현,김희정,Kim, Nam-Soon,Kim, Dong-Hyun,Kim, Hee-Jung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1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 No.1

        환경적 오염 및 산업화 등으로 인한 직 간접적인 문제는 장애인, 급 만성질환자 등의 수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장애아동의 수도 성인과 비슷한 비율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특히, 발달장애는 전체 아동의 약 5~10%정도에서 발생되는 높은 유병률을 보이고 있다. 발달장애 아동에게 적용하는 치료로는 작업치료, 물리치료, 언어치료, 심리치료, 미술치료 등이 있다. 시지각이란 시각 기관을 통해 외부환경을 인지하는 기능으로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행동들이 시지각과 연관된다. 그러나 발달장애 아동은 충분한 시지각의 발달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일상과제 수행 면에 많은 영향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아동 작업치료 영역에서 시지각에 대한 평가와 치료에 관한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시지각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치료 방법 중에는 감각통합 훈련,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 수예공작 프로그램 등이 있다. 특히, 수예공작은 주로 손을 사용하여 무엇인가를 만드는 대표적인 활동으로 누구에게나 적용할 수 있다. 뇌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수예공작 활동을 통해 뇌기능을 사용하고 그 기능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이 증명되었으며, 소근육운동 또는 세밀하고 정확한 움직임을 필요로 하는 활동을 수행할 때 시지각 기술이 기반이 되기 때문에 수예공작을 통한 손 기능의 반복적인 사용은 두뇌기능을 발달시켜 시지각 기능 향상에 기여할 것임을 기대 할 수 있다. 이것은 수예공작이 분명한 치료적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작업치료 영역에서 시지각의 발달과 시지각의 장애에 대한 중재가 큰 영역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위논문의 타당성 검증을 위한 사전연구로서 발달장애 아동의 수예공작 프로그램 수행의 필요성을 소고하고자 한다. The number of the disabled person had been increased for the industrial accident and the environmental pollution. Especially, developmental disability has the high prevalence rate between 5% and 10% of the whole children. The childre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can be treated by the physical therapy, the occupational therapy, the psychology therapy, speech therapy, and art therapy. Visual preception which is function to recognize the external environment through the optic organ could be related to most behaviors on the everyday life. But because the children with disability could not develop the visual-preception enough, they came to have difficulties in executing daily life project. For this reason, it is most important to understand the estimation and the cure on the visual-preception in the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y. To improve the visual-preception power, we have many kind of methods including sensory integration, training program for the visual-perception and art-craft program. Particularly, the art-craft which is the representative activity for making something by hands, can be applied to anyone. As the study on the brain has been activated, it was proved that handicraft actives could have an good effect on the brain function and using brain. When the fine motor exercise and more delicate and accurate motion were carried, these motions need the essential help of the visual-perception. So it could be expected that using the repetitive hand function by art-craft makes the brain function improve, when a activity that needs a fine motor exercise and more delicate, accurate motion was carried, It also indicates that the art-craft program has a clear treatment value. Though the intervention between visual-perception development and visual-perception disability have a majority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there is a few study yet.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look back on the necessity of applying the art-craft program to the children with disability as the prestudy for preliminary validity of the master's thesis.

      • 한국 여성의 전반적 건강수준의 차이: 기대수명, 건강인식 및 활동제한 중심으로

        김남순,김유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보건복지포럼 Vol.210 No.-

        한국 여성의 출생 시 기대수명은 2011년 기준으로 84.5세로 남성은 78.0세와 비교하여 약 6.6년이 길었다. 반면에 여성의`자가평가 한 건강이 나쁜 분율`은 남성보다 높은 수준이었고, 19~64세 여성의 교육수준별 격차는 남성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활동제한율도 동일한 연령의 남성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노인 여성에서 학력 수준에 따른 격차가 컸다. 여성이 가진 건강잠재력을 성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여성의 장수하는데 비해서 건강인식과 활동수준이 나쁜 것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여성의 건강인식과 활동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 우리나라 노인인력의 활용실태와 개선방안

        김남순 한국사회복지지원학회 2007 사회복지지원학회지 Vol.3 No.1

        우리나라는 2000년에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의7.3%에서 UN에서 제시한 노령인구비율이 7%이상이면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에 이미 진입한 상태이다. 현재 2003년에는 전체인구의 8.6%이고 2019년에는 노인인구 비율이 14.4%에 도달하여 고령사회(Aged Society)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의 고령화의 진전은 그 속도 면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빠른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전체 인구에서 노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진다는 것은 사회경제적인 의미는 매우 큰 것이다. 장기적으로 볼 때 노동시장에서는 고령자의 경제활동 참가율을 획기적으로 제고하지 않는 이상 노동공급 자체가 줄어들게 된다. 노동공급의 감소를 상쇄할 만한 노동생산성의 증가가 없다면 고령화가 진전됨에 따라 경제성장도 둔화될 수 있다. 노동공급의 절대량이 줄어드는 경험을 하기 전에 먼저 노동력 인구의 고령화가 진행되는 것은 불가피한 것이고 이로 인해 생산현장에서 젊은이의 비율이 줄어드는 경험을 하게 될 것으로 본다. 이러한 전망으로 볼 때 비교적 젊고 건강한 노년을 활동적으로 보낼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는 것도 복지체계의 확립 못지않게 중요한 국가의 책무이다. 고령자의 절대규모와 비중이 급속히 증가하는 사회에서 현재의 중장년층에게는 건강이 허락하고 스스로 원하는 한 60~70대까지 일을 계속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노인들 스스로 어느 정도 생계를 책임지도록 하면서 사회참여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노인들에게 취업의 지속이나 재취업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은 개인적으로는 노후생활에 필요한 소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취업을 통해 건강을 유지하고, 의미 있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자부심과 유용감을 느낄 수 있게 하다. 국가적으로는 사회보장기금의 절약과 산업발전에 필요한 노동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하므로 노인문제, 사회복지재원 조달문제, 노동문제 등을 해결하는 종합적인 방안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