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近代朝鲜移民对中国东北地区水田农业发展的影响(1875~1945)

        金?(김영) 이주사학회 2017 Homo Migrans Vol.17 No.-

        김영의 〈근대 중국 동북 지역 벼농사 발달에 대한 조선인 이주민의 영향 연구〉 이란 논문은 근대 중국 동북지역의 벼농사는 장장 200여 년간 계속된 봉쇄령이 점차 폐지되는 와중에, 관내 이민의 밭농사 중심의 농업 개발의 기반 위에서, 선진적인 냉지 벼농사 기술과 경험을 가진 조선인 이주민들이 중국 동북 지역으로 이주하는 과정에서 개시되고 파급되었으며, 그들은 줄곧 이 지역 수전농업자원 개발의 주요 노동력과 직접 담당자들이기도 하였다. 근대 동북지역 벼농사는 뒤늦게 19세기에 들어와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지만 벼농사 개발 과정에서 수준 높은 벼농사 기술과 경험을 가진 조선인 이주민에 의해 추진되었고 이들 조선인 이주민은 조선에서의 도작법을 도입하고 활용하면서 거듭되는 실패를 겪으며 중국 동북지역 각지 실정에 알맞는 냉지 도작법을 찾아냈고 줄곧 담당해 왔기 때문에 이 곳의 벼농사는 기나긴 발전단계를 거치지 않고 단 70년(1875~1945) 의 짧은 기간에 급격한 발전을 이루었다. 1945년 일제통치로부터 해방될 때 벼는 이미 동북 지역 6대 작물 중의 하나로 급성장 하였으며 수전은 동북 지역의 최북단 일부 지역을 제외한 동북 전역에 분포되었고 동북지역 수자원 개발이 조선인 이주민들의 벼 재배와 함께 개시되고 발전되기 시작하였다. 그 후로 수리 시설 개발은 점차 농업 발전에 없어서는 안 될 기본 조건으로 부상되어 갔다. 중국동북지역 벼농사가 발달하던 시기는 일제의 조선 식민지화, 일제의 중국 동북지역에 대한 침략세력의 침투와 점령, 전면적인 대륙침략전쟁시기와 겹치고 있었다. 일제는 대륙침략에 줄곧 벼농사에 종사하는 조선인 이주민을 이용하는 정책을 펴왔기 때문에 주로 조선인 이주민이 담당하고 있었던 벼농사는 중국 국가 안전을 위험하는 우려도 사기도 하여 벼농사는 복잡한 모순과 시련을 겪으며 발전해 갈 수 밖에 없었다. 위만주국시기 일제는 중국인을 주로 밭농사에 종사시키고, 일본인과 조선인 이주민이 벼농사에 종사하도록 하는 노동의 민족적 분담현상을 강화하는 정책을 시행하였기 때문에1945년 일본이 투항했을 때 현지 중국인들은 여전히 벼 재배에 대한 경험과 기술이 부족하였다. 중국동북지역 벼농사가 전체 농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그다지 크지 않아 이 지역 농업발전 전반에 대한 영향력이 일정한 한계가 있겠지만, 이 문제에 대한 연구는 중국동북지역 농업 근대화의 독특한 특징 및 중국 조선족 형성에 관한 문제연구를 한층 깊이 하도록 한다. Study on Influence of Korean immigrants in Modern Times on Agricultural Development of Paddy Fields in China Northeast Area written by Jin Ying demonstrates that modern paddy agriculture in Northeast area, after 200-year long seclusion from outside world, was brought in by Korean immigrants with the advanced cold-area rice farming techniques and expertise in the process of cross-border immigration to Northeast area and developed on basis of inland migrants’ dry land farming techniques. Korean immigrants had always been the main labor force and direct players in the development of paddy agricultural resources in China Northeast area. In spite of the late start of modern paddy agriculture in Northeast area, rice had become the sixth most important crop during a short period of 70 years (1875-1945), thanks to the Korean immigrants with the advanced techniques who utilized rice cultivation method brought from Korea in the practice of rice farming, and innovatively created and spread the techniques and expertise of hardy single cropping Japonica rice cultivation that are applicable everywhere in Northeast area. Paddy fields can be seen in any part of the Northeast except the northernmost. Irrigation development had become the essential basis for agricultural development in the Northeast area. However, paddy agriculture also experienced obstructions and interruptions because of threatening issues to the China’s national security during Japan’s imperialist invasion to and occupation of the Northeast when Japan expanded its interests in the Northeast with the immigration of Koreans and with rice planting by Korean immigrants. In the period of the puppet state of Manchuria, Japanese authority forcibly demanded that paddy agriculture should only be practiced by Japanese and Koreans. This led to the fact that local Chinese lacked the expertise and techniques of rice farming of paddy fields even after Japan’s surrender in 1945. The study on this issue will be of assistance to profoundly demonstrate the characteristic of agricultural modernization of China Northeast area, and will help to lead the study on the formation of Korean nationality in China to depth.

      • KCI등재
      • KCI등재
      • 육체노동의 경험칙상 가동연한 인정 기준 : 노동생명표를 이용한 은퇴기대연령의 활용 -대법원 2019. 2. 21. 선고 2018다248909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김영서(Young Seo Kim),서예린(Ye Rin Seo) 서울대학교 법학평론 편집위원회 2020 법학평론 Vol.10 No.-

        육체노동의 경험칙상 가동연한은 손해배상 시 일실이익 산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된다. 대법원은 1989. 12. 26. 선고 88다카16867 전원합의체 판결 이후로 육체노동의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만 60세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를 유지해 왔다. 그러나 대법원은 2019. 2. 21. 선고 2018다248909 전원합의체 판결(이하 ‘대상판결’)에서 경험칙의 기준이 되었던 제반 사정들이 현저히 변화하였으므로 만 60세를 넘어 만 65세까지도 가동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 경험칙에 합당하다고 판시하였다. 대상판결의 다수의견과 별개의견 1, 별개의견 2는 육체노동의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만 60세를 넘어서까지 인정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이견이 없었다. 그러나 대법원이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일률적으로 특정 연령으로 선언해도 되는지 여부, 선언해도 된다면 어떤 연령으로 선언할 것인지에 대하여 견해를 달리했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가동기간의 의의 및 기능을 개관하고, 가동기간 전반에 관한 기존 대법원 판례의 흐름을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가동연한 인정 기준에 대한 판례의 태도를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적용되는 가동연한의 인정 기준에 있어서 ‘경험칙상’ 가동연한이 가지는 체계적 위치를 규명하였다. 먼저 본고는 경험칙상 가동연한에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적 요인과 노동시장 요인, 제도적 요인을 모두 고려하였을 때, 기존에 대법원이 인정하던 만 60세를 넘어 경험칙상 가동연한이 상향조정되어야 할 만큼 사회 현실이 변화했다는 점에 대해서 대상판결과 견해를 같이하였다. 다음으로 대법원이 육체노동의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특정 연령으로 단정하여 선언해서는 안 되고, 별개의견 2의 견해와 같이 포괄적인 법리를 제시하는 데에 그쳐야 한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더 나아가 손해의 공평한 분담이라는 관점에서 구체적 타당성을 추구하는 방법으로 바람직한 가동연한 산정방식의 탐색이 필요하고, 구체적으로 육체노동의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인정함에 있어서는 통계적인 수치를 활용하여 법 규범과 현실의 간극을 좁힐 것이 요구된다는 점을 보였다. 이 점에서는 고령자고용법상 법정 정년을 경험칙상 가동연한의 기준으로 하자는 별개의견 2의 견해와 의견을 달리하였다. 본고에서는 노동생명표를 이용한 연령별․성별 은퇴기대연령의 산출방식을 소개하고, 이를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인정하는 기준으로서 활용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언하였다. 이 방식을 통해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특정 연령으로 단정하여 선언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통계적인 수치를 활용하여 법 규범이 현실을 시의 적절하게 반영하도록 함으로써 구체적 타당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점을 보이고자 했다. 나아가 직종별 가동연한을 달리 보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는 별개의견 2의 첨언에 대하여, 직종별로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달리 보는 현재 대법원 판례의 태도가 타당하다는 입장을 개진하였다. The legal maximum working age based on empirical standards (hereinafter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of manual laborers is a very important criterion for calculating damages for lost earnings. Since the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88Daka16867 decided December 26, 1989, the Supreme Court had maintained the view that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of manual laborers should be 60 years old. However, in the en banc decision 2018Da248909 (hereinafter ‘the Case’), the Supreme Court declared that manual laborers are highly likely to work beyond the age of 60 to the age of 65, considering significant changes in the underlying social and economic circumstances that substantiated the previous standards. The majority opinion, the first concurring opinion and the second concurring opinion in the Case all agreed that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of manual laborers should be beyond the age of 60. However, they disagreed with each other on whether the court can uniformly set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at a certain age and what the age should be, if the court could. By analyzing the existing Supreme Court cases concerning the legal working period including the Case, this paper identifies the status of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in the current legal regime for determining the legal maximum working age ultimately applied to an individual. This paper agrees with the Supreme Court that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should be raised from the age of 60, considering biological, economic, and institutional factors. However, this paper stands with and explores the second concurring opinion’s idea that the Supreme Court should refrain from declaring a uniform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for manual laborers and should only present comprehensive legal principles about it. Furthermore, this paper purports to show that the gap between legal norms and reality should be narrowed by adopting statistical measures in calculating damages, as it would enhance the specific justice. Regarding this point, this paper differs from the second concurring opinion, which contends that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should be primarily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legal retirement age set by the Act on Aged Employment. This paper introduces a method of estimating the expected retirement age by age and gender groups using the Work-Life Table, and subsequently suggests using it as the new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The new method is expected to enhance the specific justice as it would resolve the problems that may arise when the Supreme Court uniformly declares a certain age as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and ensure that legal norms reflect reality in a timely manner. Finally, whereas the second concurring opinion added that courts should not discriminate based on profession when determining the legal maximum working age,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Supreme Court’s current approach, which applies different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by profession, is more valid.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우수등재

        간호사의 탄릭적 근무형태 적용에 관한 연구

        김영해(Young Hae Kim),양영옥(Young Ok Yang),조규영(Gyoo Yeong Cho) 한국간호행정학회 2005 간호행정학회지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asons behind the high turnover rate of nurses, and to delineate measures for inactive nurses to participate in professional nursing activities so as to upgrade the quality of the health care delivery system in Korea, Thus, tried this study to drive market entry of these idleness manpower. Methods: This study used the action research, to collect idea from hospital/nurse administrators, nurses on the job, part-time nurses. Results: This study basic data about flexible shift form through scientific paper, Internet, individual contact source collection do, and compare each situation by direct conversation with a nurse, director of a hospital, nursing administrators about flexible shift form, and analyze example of hospital which utilize flexible shift form actually or utilized and deduced advantage, shortcoming, cause of failure, cause of success, other application plan. Conclusions:1. Emphasize that database about idleness manpower should be put priority certainly. 2. In case of idleness manpower wants a re-employment hospital and institution which can connect to administer demonstration premise. 3. Emphasize that need organ to enforce education program and this that idleness manpower can apply in nursing spot. 4. Premise nurse`s great people image and research about method that convert productivity of nursing to mone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