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낙촌(駱村) 박충원(朴忠元)의 문학 세계 고찰

        정용건 ( Chung Yong-gun ) 민족어문학회 2021 어문논집 Vol.- No.92

        본고는 駱村 朴忠元(1507~1581)의 문학 세계를 고찰한 글이다. 박충원은 16세기 문단을 대표하는 인물 중 한 명임에도 불구하고, 자료의 부족과 연구사적 시각에 가로 막혀 그간 충분한 조명을 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그는 奇遵·趙士秀·李滉·蘇世讓·金安老 같은 동시기 유력 인사들과 긴밀한 학적 관계를 맺었으며, 홍문관·사가독서를 비롯한 주요 문한 경력을 두루 거쳐 명종대 대제학에까지 오르는 등 당대의 유력 문인으로서 확고한 위상을 점유하고 있었다. 박충원의 문한 활동과 관련하여 주목해 볼 만한 지점은 크게 다음과 같은 세 대목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문장에 대한 강한 신뢰와 의지를 바탕으로 당대의 주요 정책 과제였던 文章華國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華國의 실천자’로서의 모습을 보였다는 점이다. 둘째, 15세기 말~16세기 초에 활동한 선배 사류들에 대한 여러 전기류 저작을 지음으로써, 그들의 유자적 풍모와 행적을 글로 정리하여 후대에 전하는 ‘儒脈의 전달자’로서 역할하였다는 점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영월 군수 시절 지은 노산군에 대한 제문이 후대의 단종 복위 및 사육신 기억 작업과 긴밀하게 연동되면서, ‘廢君의 추모자’로서도 후대 문인들에게 강렬히 기억되었다는 점이다. 이처럼 박충원은 ‘文運 정비와 儒風 심화’라는 단어로 요약되는 16세기의 주요 문인으로서, 당대 각 영역에서 활발한 문학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는 뛰어난 文才를 바탕으로 공적 영역에서 활약하며 宣祖代 문운 융성의 기반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가교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한편으로는 문학 작품을 통해 儒風의 振作에 크게 기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詞章과 思惟의 영역을 넘나들며 형성된 박충원 문학 세계의 다층적인 면모는, 그 자체로 16세기 문단이 지닌 복합적이고도 입체적인 특성을 잘 보여준다. 본고의 검토를 바탕으로, 16세기 문인에 대한 연구적 관심의 증대는 물론 이 시기 문학 지형에 대한 보다 다각적이고 심층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examines the literary activities of Nakchon (駱村) Park Chung-won (朴忠元). Although Park Chung-won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figures of the 16th century literature, he has not received sufficient attention because of the lack of data and the historical perspective. However, he had a close academic relationship with influential figures of the same period such as Ki Joon (奇遵), Jo Sa-su (趙士秀), Lee Hwang (李滉), So Se-yang (蘇世讓), and Kim Ahn-ro (金安老). And he was appointed to major literary positions and also appointed to Daejehak (大提學) in Myeonjong period. In this point, he is worthy of study as one of the influential literary figures of his time. Park Chung-won’s literacy activities can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based on strong trust and will in the literature, he showed his aspect as a ‘performer of Munjanghwaguk (文章華國)’, the main policy task of the time. Second, by composing several biographical works on the senior scholars who were active in the late 15th and early 16th centuries, they played a role as a ‘communicator of Confucian scholar’. Lastly, as 「Je Noreung Mun (祭魯陵文)」, written during the governorship of Yeongwol (寧越), was closely linked with the memory and remembrance of Danjong (端宗), he was strongly remembered by later writers as a ‘mourner of the dethroned lord’. Park Chung-won, as a major literary figure of the 16th century, summarized in the words ‘prosperity of literature and deepening of Confucianism’, conducted literary activities in various fields. Based on his outstanding literary skills, he was active in the public realm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prosperity of literature in Seonjo (宣祖) period. And, he also showed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amplification of Confucianism through his literature. The multi-layered aspect of Park Chung-won’s literary world, formed by crossing the realms of literature and thought, shows the complex and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16th century literature. Based on the review of this paper, It is expected that a more multifaceted and in-depth discussion on the writers and their literature of the 16th century.

      • KCI등재

        중종대(中宗代) 속찬증보(續撰增補) 사업과 그 정치적 함의

        정용건 ( Chung Yong-gun ) 근역한문학회 2018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0 No.-

        본고는 中宗代에 이루어진 일련의 續撰·增補 사업과 그 안에 내재된 정치적 함의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반정을 통해 왕위에 오른 중종은 무너진 국운을 회복하고 새로운 시대의 군주로서 자신의 지위를 다지기 위한 목적으로 각종 문화 사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정책에 적극적으로 호응한 집단은 ‘金宗直’이라는 학문적 경험과 ‘士禍’라는 정치적 기억을 공유하면서 성장한 중종대 관료 문인으로서, 이들은 문화 사업을 통해 연산군에 의해 부정당한 자신과 그 동류들의 위상을 복구하는 한편 새로운 시대의 담당자로서 자신들의 역량을 공인 받고자 하였다. 이러한 정치적 목적성을 인지한 위에서 『續三綱行實圖』, 『續東文選』, 『新增東國輿地勝覽』 등 중종대 속찬 증보 사업의 실제를 들여다보면, 선배 및 동료들의 학문과 행적을 현양함으로써 자신의 집단이 세종-성종대의 문화적 융성을 계승할 적임자라는 사실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각 서적의 내용을 구축한 편찬 주체들의 의식을 읽을 수 있다. 먼저 『속삼 강행실도』에서는 특히 연산군대의 사례가 폐조의 폭정을 배경으로 삼고 그 속에서 목숨을 잃은 인물들의 절행을 기리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에서 그러한 면모를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속동문선』에서는 성종 이후 40년간의 시문, 그중에서도 김종직 문파 및 사화에서 피해를 입은 인물의 작품을 부각시키고자 하는 의도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런가하면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는 『속삼강행실도』와 『속동문선』으로 대표되는 풍속·문학 방면의 성과를 하나의 지리서로 총집함으로써 그간의 문화 정비 사업을 완수해낸 데 대한 그들의 자부심을 간취할 수 있다. 이처럼 중종대 문화 사업의 주체들은 ‘국운의 회복’이라는 정치적 지향을 표방하면서도, 실제 추진 내용에 있어서는 자기 문인 집단의 권위를 복구하고자 하는 경향성을 뚜렷이 내보였다. 문물의 정비를 표방하며 ‘윤리’, ‘문학’, ‘지리’ 등 문화 각 방면에서 전 방위적으로 시도된 속찬·증보 사업의 이면에는, 자신의 시대를 의미 있게 만들고자 고민했던 당대 관료 문인들의 이와 같은 분주한 움직임이 자리하고 있었다. This thesis studied the series of follow-up and enlargement projects in the Jungjong(中宗) period and its political implications. Jungjong, who came to the throne by revolution, promoted various cultural projects with the aim of recovering the ruined civilization and strengthening his status as a monarch of a new era. The group that responds positively to this policy is a bureaucrat who grew up with the academic experience of 'Kim Jong-jik(金宗直)' and the political memory of 'massacre of scholars(士禍)'. Through these cultural projects, they tried to restore the status of their and their peers and to acquire their competence as a representative of a new era. As a results, a series of follow-up and enlargement projects such as 『Sok-Samganghaengsildo(續三綱行實圖)』, 『Sok-Dongmunseon(續東文選)』, 『Sinjeung-Donggukyeoji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were carried out under the communal goal of the king and subjects. looking at the realities of each book on this perception of political purpose, it can be seen that the writers built contents in the direction of revealing the fact that their group is suitable for succeeding the cultural prosperity by celebrating the scholars and activities of their colleagues. In 『Sok-Samganghaengsildo』, the case of Yeonsangun(燕山君) is especially made in the way of honoring the people who lost their lives in the background of the tyranny. And in 『Sok-Dongmunseon』, a lot of works of Kim Jong-jik's group and people who lost their lives in the massacre of scholars were recorded. Finally, in 『Sinjeung-Donggukyeojiseungram』, it is shown that the cultural projects that has been done by them by collecting the achievements in Confucianism reformation and literature. The group who subjected cultural projects in Jungjong(中宗) period clearly expressed the tendency to restore the authority of the self-literary group in the actual contents, while setting the political orientation of the 'recovery of the civilization'. Behind the follow-up and enlargement projects which have been tried all the way in cultural aspects such as 'ethics', 'literature', 'geography', there was a busy movement trying to make their own era meaningful.

      • KCI등재

        遯齋 成世昌의 文翰 활동에 대한 고찰

        정용건(Chung, Yong-gu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1 동양한문학연구 Vol.59 No.-

        본고는 16세기 관료 문인 成世昌의 文翰 활동에 대해 논한 글이다. 성세창은 15세기 말의 문장가 成俔의 아들로서, 특히 중종대에 각종 문한 요직을 역임하고 대제학에 임명되는 등 문단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유한 문인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16세기 문학에 대한 연구사적 무관심, 문집 不傳 등의 이유로 그간 학계에 존재가 충분히 알려지지 않아 왔다. 이에 본고에서는 곳곳에 산재해 있는 그의 시문을 수습하고 여러 관련 기록을 살핌으로써, 당대 그가 전개하였던 문한 활동의 특징적인 국면을 짚어내고 그 문학사적 지위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성세창의 문한 활동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무엇보다도 당대의 유력 관료 문인으로서 보여주었던 그의 행보이다. 그는 홍문관·사가독서 등 젊은 시절부터 문한 관련 주요 경력을 두루 거치며 文才를 널리 인정받았고, 이를 기반으로 당시 이루어진 각종 관찬서 편찬 사업에 관여하였다. 뿐만 아니라, 明 사신 접반, 『皇華集』 편찬 등 외교 국면에서 詞章의 능력을 발휘함으로써 ‘文章華國’의 가치를 스스로 실현하였으며, 인재 양성책 개진과 관료 문화의 확산 등을 통해 시대적 과업이었던 ‘文治 계승’의 기조를 이어 나가고자 하였다. 한편, 성세창은 儒風 진작을 위해 노력한 ‘士林’의 일원으로도 기억되었다. 이는 그가 金宏弼·李深源 등의 學人으로부터 수학하였으며, 趙光祖·金湜·金淨·李耔 같은 신진 사류들과 돈독한 교우 관계를 유지하며 학문·정치적 견해를 깊이 공유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儒者’로서의 성세창의 면모는 鄭夢周 墓碣 陰記나 安珦 사당에 대한 記文, 李耔를 위한 추도시 등 실제 작품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성세창은 평생에 걸쳐 부친 성현의 시문 수습을 위해 노력한 ‘편찬자’로서의 면모 또한 보였다. 行狀 찬술, 『續東文選』 편찬 참여 등을 통해 士禍로 인해 묻힌 ‘文士’로서의 성현의 명성을 다시금 드러내고자 하였던 그는, 1525년에 『慵齋叢話』를 간행하고 1540년에 『虛白堂集』을 수습·편찬해 냄으로써 그 바람대로 부친의 이름을 문학사에 뚜렷이 새겨둘 수 있었다. 16세기 전반기에 펼쳐진 역동적인 정치·학문의 場 속에서, 성세창은 시대를 대표하는 官僚이자 儒者로서 다양한 방면의 문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가 남긴 문인으로서의 삶의 행적과 여러 작품들은 특정 어느 한 지점으로 수렴하여 설명하기 곤란하다는 점에서 중층적이고 입체적이라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비단 성세창 개인에게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당대에 활약했던 여러 관료 문인들에게서도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중요한 특질이다. 이러한 본고의 논의를 통해 성세창이 차지하는 문학사적 비중에 대한 재인식은 물론, 16세기 문학 지형의 再構와 관련해서도 유의미한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researched the literary activities of the 16th century bureaucratic writer Seong Se-chang(成世昌). Seong Se-chang was the son of Seong-Hyeon(成俔) who was a famous writer at the end of the 15th century, and he occupied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literary field, such as serving in various literary positions in Jungjong(中宗) period and being appointed to Daejehak(大提學). Nevertheless, his existence has not been sufficiently known in the academic world due to indifference to 16th century literature and disappearance of his writings. So this study attempted to point out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his literary activities and to determine the status of his literary status, by collecting and examining his works scattered in various places. The most striking part of Seong Se-chang s literary activities is his actions as a leading bureaucratic literary man. He had been widely recognized for his literature since his youth, and involved in various government-book compilation projects. In addition, he realized the value of ‘Munjanghwaguk(文章華國)’ in the diplomatic phase by entertaining the Ming(明) envoys or compiling 『Hwanghwajip(皇華集)』 and insisted on a literary cultivation plan. Meanwhile, Seong Se-chang was also remembered as a member of ‘Sarim(士林)’ who made efforts to promote Confucianism. This is because he learned from the scholars such as Kim Goeng-pil(金宏弼) and Lee Sim-won(李深源), and made a close relationship and deeply shared academic and political views with young and reformed scholars. Seong Se-chang s aspect as a “儒者” can also be confirmed through various literary works. Lastly, Seong Se-chang was also active as a compilator of his father Seong Hyeon s works. He tried to reveal Seong Hyeon s reputation as the writer through the compilation of Haengjang(行狀), 『Sok-Dongmoonsun(續東文選)』 and anthology. Seong Se-chang s literary activities clearly show the one aspect of a multi-layered bureaucratic writer who cannot be fully discussed only with the schematic composition. I hoped that the discussion in this thesis will provide a meaningful opportunity to re-perceive his literary status and the literary terrain of 16th century.

      • KCI등재

        조선 후기 연행사의 `오삼계론(吳三桂論)` 창작과 사적 전개 양상

        정용건 ( Chung Yong-gun ) 우리한문학회 2016 漢文學報 Vol.34 No.-

        燕行錄은 고정된 연행 경로 위에 燕行使들의 체험 기록이 오랜 세월에 걸쳐 반복적으로 축적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때문에 연행록에 등장하는 특정 대상(사건, 장소, 인물)에 대한 인식을 통시적으로 관찰하는 과정은, 그들이 영위했던 의식과 감정의 역사적 변화 양상 및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유용한 연구 방법이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는 연행사들이 연행로 위에서 관습적으로 소환한 작품 대상으로서 `吳三桂`에 주목하고, 그를 주제로 형성된 `吳三桂論`의 사적 전개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오삼계는 明 멸망 당시 山海關을 개방하여 청의 중원 지배 계기를 제공 했지만 이후 청에 대항해 `三蕃의 난`이라는 漢族 부흥 운동을 전개했다는 점에서 `이중적 가치`를 점유한 인물로, 이것이 연행사들로 하여금 그를 다양한 모습으로 논평하게 만든 역사적 배경이었다. 17세기 중반에 작성된 초기 오삼계론은 그가 亡國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맥락에서 `한탄과 비판`의 논조가 두드러졌다. 그러나 17세기 말 삼번의 난 소식이 조선 내부에 전해진 이후, 오삼계론에서 그는 조선 문인들의 `기대와 열망`에 힘입어 문명 회복의 상징으로 재평가 받았다. 이렇게 역전된 인식은 18세기 중반에 들어 오삼계와 삼번의 난의 실체가 확인됨에 따라 다시 한 번 전환의 과정을 겪는다. 즉, 오삼계가 일으킨 반란의 명분과 목표가 명 황실 회복이 아니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그는 다시금 `천하의 죄인` 혹은 `亂逆者`라는 비난 어린 시선 위에서 다루어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소위 `陳圓圓 일화`가 조선 문인 사회에 널리 확산됨으로 인해 그는 심지어 `조롱`의 대상으로까지 전락하기도 했다. `오삼계`라는 연행 공간 위의 작품 대상에 대해 역사적으로 형성된 이와 같은 논의들은 결국 연행사의 의식 속에 내재해 있던 `中華主義`가 다양한 모습으로 표출된 문화적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오삼계론이 특징적인 것은 동일한 대상을 두고도 논평 주체가 소유하고 있는 `정보`나 `감정` 등의 변수에 따라 매우 극적인 형태로 전환되어 왔다는 점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오삼계론은 연행사들이 유가적 관념을 기저로 삼아 전개했던 문학적 위안의 양상을 확인케 하는 지점인 동시에, 역사 논평의 가변성을 보여주는 하나의 흥미로운 사례라 할 것이다. Yeonhaengnok(燕行錄) has a feature that Yeonhaengsa(燕行使)`s Experiences were repeatedly accumulated on the route of Yeonhaeng(燕行) for a long time. For that reason, the diachronic observation about awareness in specific targets(event, place or character) on Yeonhaengnok can be a useful research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ir recognition and sense`s aspects of transition and meaning. On that point, this thesis took notice on Oh Sam-gye(吳三桂) as a conventional subject matter and researched historical developmental aspects and meaning of critical comments about Oh Sam-gye. As a general of Ming(明), Oh Sam-gye surrendered to Qing(淸) after heard the revolt of Lee Ja-sung(李自成) and fall of Beijing(北京). But after that, he broke out in revolt called `Revolt of the Three Feudatories(三藩)` despite of Qing`s hospitality. Because he not only brought about Qing`s rule to Chinese mainland but also rose a revolt of Chinese revival, he was a unique character had a twofold aspects. Early critical comments about Oh Sam-gye in middle of the 17th Century had a feature of `lamentation and blame` in awareness that he lead to collapse of Ming. But after the report about `Revolt of the Three Feudatories` in late of the 17th Century, he was revalued as a symbol of civilization recovery by expectation and desire of Joseon scholars. This altered awareness of Oh Sam-gye had a change once more in middle of the 18th Century, because of delivery of the information that Oh Sam-gye`s loyalty to Ming was a fiction. on this account, he was evaluated as a criminal of civilization again and even laughed at due to the story of Jin Won-won(陳圓圓). In conclusion, the critical comments about Oh Sam-gye was a cultural phenomenon caused by Yeonhaengsa`s inward consciousness called `Sino-centrism(中華主義)`. It can have a special feature because it went through a dramatic change according to some variables like `information` or `emotion`. Therefore, it is not only a aspect being able to recognize their literary comfort based on Confucian sense, but also a interesting case showing changeability of historical comments.

      • KCI등재

        폐주(廢主)와 함께 남겨진 사람들 -연산조(燕山朝) 절신(節臣) 기억의 형성과 전개-

        정용건 ( Chung Yong-gun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21 漢文古典硏究 Vol.42 No.1

        본고는 조선 문인 사회에서 ‘燕山朝 節臣’으로 호명된 인물들의 면면과 그 史的 형상화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은 유가 이념을 표방하며 건국된 나라로서 자신이 한 번 섬긴 임금에 대한 마음을 변치 않아야 한다는 의리관을 공고히 견지하였다. 이러한 관념은 ‘暴君’이라 일컬어진 연산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었다. 따라서 조선의 문인들은 연산군에 대해 절의를 지킨 인물을 찾고자 노력하고 반대로 이를 저버린 인사에 대해서는 날선 비판을 서슴지 않는 등 ‘연산조 절신’에 대한 적지 않은 관심과 요구를 보였다. 洪彦忠, 兪起昌, 南褒는 바로 그와 같은 주목과 기대 속에서 ‘탄생’한 연산군의 절의지사들이었다. 이들은 비록 저마다 다른 성장 배경과 이력을 가졌지만, 중종반정 이후에도 끝까지 옛 임금에 대한 의리를 지키면서 은거의 길을 택한 인사들로 기억되었다. 다만 이들이 점유한 ‘절신’으로서의 지위는 어느 일순간에 갑자기 주어진 것이 아니라, 여러 후손 및 후배 문인들의 오랜 기간에 걸친 현양 작업에 힘입어 존재 가능한 것이었다. 이는 절의 관련 敍事의 정비ㆍ윤색ㆍ조탁 등 치열한 인물 재구성 노력의 과정을 수반하는 것이었으며, 때로는 오해와 와전이 절신 이미지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바로 이와 같은 과정이 있었기에, 연산군은 새로운 시대로 나아가지 않고 자신을 위해 남아 충절을 다한 ‘節臣’들과 함께 기억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산조 절신에 대한 기억과 그 형상화 양상은 시대를 거듭하며 점차적으로 고조ㆍ확장되어 간 유가적 의리관과 절의에 대한 관심을 배경으로, 부연ㆍ수식ㆍ재조명의 과정을 더해가며 이상적인 ‘연산조 절신의 像’을 정립하고자 노력했던 조선 후기 문인들의 면모를 보여주는 의미 있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이는 그간 ‘暴君’, ‘亂政’, ‘士禍’, ‘反正’ 등 제한적인 범주에서만 논의되는 경향이 강하였던 ‘연산군 내러티브’의 발굴과 확산에 있어서도 긴요한 참조점이 된다. This thesis researched the aspects of the figures who were called “Yeonsangun(燕山 朝)’s loyalist” in the Joseon literary society and their historical shaping process. The Joseon Dynasty, as a country founded by Confucian ideology, particularly emphasized a sense of loyalty that one should not change his mind toward the king he once served. This notion was similarly applied to Yeonsangun who called ‘tyrant’. Therefore, the writers of Joseon showed considerable interest for Yeonsangun’s loyalist, such as trying to find a person who kept his devotion to Yeonsangun or criticizing the person who went back on him. Hong Eon-chung(洪彦忠), Yu Gi-chang(兪起昌), and Nam po(南褒) were Yeonsangun’s loyalist who were “born” with this background and expectation. Although each of them had different backgrounds and careers, they were remembered as those who chose the path of retirement keeping their loyalty to the former king after Jungjong-banjeong(中宗反正) However, the status as loyalist was not suddenly given at any one moment, but could exist thanks to the long-standing commemorative work of various descendants and junior writers. This entailed the process of fierce restructuring efforts, such as reorganization, embellishment and carving, and sometimes misunderstanding and misrepresentation had a decisi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the loyalist image. But because of this process, Yeonsangun could be remembered along with loyalists who did not go forward to a new era and remained for him. This memory of Yeonsangun’s loyalist and its formation aspect shows the effort of Joseon writers who tried to establish the ideal image of loyalty. In addition, this will be an important reference point for the discovery and spread of the Yeonsangun Narrative, which has been discussed only in limited categories such as ‘tyrant’, ‘tyranny’, and ‘massacre of scholars(士禍)’.

      • KCI등재

        몽암(夢菴) 유희령(柳希齡)의 『북상행초(北上行草)』 연구

        정용건 ( Chung Yong-gun ) 우리한문학회 2021 漢文學報 Vol.44 No.-

        본고는 16세기 전반기의 문인 夢菴 柳希齡(1480~1552)의 『北上行草』를 소개하고, 그 창작 배경과 형식적·내용적 특징을 살핀 글이다. 『북상행초』는 1542년 유희령이 성절사로 명나라에 사행을 갈 때 지은 시문을 스스로 편찬하여 남긴 것으로, 조선 전기의 사행록 중에서도 양적-질적으로 풍부한 면모를 지니고 있는 저작이다. 작자 유희령은 ‘文學’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對明 외교’의 중요성이 한층 높아진 중종대에 활동한 문인으로서, 뛰어난 詩才로 문인 사회에서 널리 인정받았으며 시문집 편찬과 관련하여 특히 두드러진 성과를 제출한 인물이었다. 그와 같은 당대적 위상과 시문에 대한 자부심이 존재했기 때문에, 그는 사행길에서 겪은 자신의 체험과 그 감상을 『북상행초』라는 시집 형태의 사행록으로 엮어둘 수 있었다. 『북상행초』는 형식적 측면에서 볼 때, ‘일기+시문’ 결합의 형태로 거의 매일 빠짐없이 기록되어 있는 점, 사행 노정 및 수행 인원, 자신이 받은 증별시를 부록으로 실어둔 점 등을 주요한 특징으로 거론할 수 있다. 또한, 내용적 측면에서는 ‘중화 문명에 대한 관심과 체험’과 ‘문예에 대한 지향’이 특징적으로 부각된다. 이와 같은 『북상행초』의 면모는 유희령 개인이 지니는 ‘문사’로서의 치밀한 기록의식 및 문예 추구의 성향과 함께, ‘문명 의식의 표출’, ‘다양한 시적 표현’ 등으로 요약되는 16세기 전반기 조천록의 특징적 국면을 잘 보여준다. 바로 이러한 지점에서 『북상행초』는 조선 전기 사행록이 도달한 가장 높은 성취 가운데 하나로 운위될 만하다. 본고에서 수행한 이와 같은 논의를 기반으로 조선 전기 조천록에 대한 관심 고취는 물론, 유희령의 문학 세계와 그를 둘러싸고 있는 당대 문단의 성격에 대한 조명 역시 한층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introduced 『Buksanghaengcho(北上行草)』 of Mongam(夢菴) Yu Hee-ryung(柳希齡), a writer in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and examined the background of its creation and its formal and content characteristics. 『Buksanghaengcho』 is a poetry collection written by Yu Hee-ryung when he went to the Ming(明) Dynasty as a Seongjeolsa(聖節使) in 1542. It is a work that has a wealth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among the Sahaengroks (使行錄) of the early Joseon Dynasty. Yu Hee-ryeong, as a writer who was active in Jungjong(中宗) period, when interest in ‘literature’ and the importance of ‘diplomacy’ increased, made a remarkable achievement, especially in the compilation of poetry books. In terms of formality, the characteristic of 『Buksanghaengcho』 is that the works were recorded almost every day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diary+poem’, it memorized the journey course and the number of employees, and it wrote down the testimony poetry received by his colleague. In addition, in terms of content, ‘interest and experience in Chinese civilization’ and ‘direction for literature’ are characteristically highlighted. This aspect of 『Buksanghaengcho』 shows Yu Hee-ryung’s strong literary consciousness and the distinction of Jocheonrok(朝天錄) in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At this point, 『Buksanghaengcho』 deserves to be evaluated as one of the high achievements of Sahaengrok reach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 KCI등재

        希樂堂 金安老의 文章觀과 學問 興起論

        鄭用健(Chung, Yong-gun) 대동한문학회 2017 大東漢文學 Vol.50 No.-

        16세기 전반기는 新舊 士類 간에 발생한 학적 갈등이 ‘己卯士禍’라는 정치적 사건으로 발전했을 만큼, 각 주체가 지닌 학문 논리가 당대의 사상적지형을 읽어내는 중요한 코드로 존재하는 시기다. 이 구도의 한 축을 이루는 ‘官僚 文人’은 기존 연구사에서 흔히 ‘詞章派’로 분류, 설명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인식이 고착화됨에 따라 이들은 詞章이라는 범주 내에서 표면적으로만 서술될 뿐, 학적 성장 배경, 학문관, 詞章 주장의 현실 맥락과 같은 내밀한 부분에 대해서는 깊이 있게 다루어지지 못해 왔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본고는 이 시기 대표적 인물인 希樂堂 金安老(1481~1537)를 대상으로 중종대 관료 문인이 영위했던 학문 논리와 그 당대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했다. 그 학적 배경에서 짐작할 수 있듯, 김안로는 成宗代 신진 사류가 주창했던 성리학적 가치관을 지니면서도 학문에 있어 경술과 문장이 모두 중요하다는 ‘經文竝行’의 원칙을 고수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논리는 신진사류가 정치적으로 부상하고 道學 중심의 학문관이 확산됨에 따라 저항을 맞게 되었다. 자기 수양을 중시하고 문장을 배격하는 신진 사류의 가치관 이 주류 관점으로 자리 잡게 된다면, ‘經文竝行’ 관점을 내세운 기존 관료문인의 학적 지위는 흔들릴 수밖에 없었다. 그는 이에 대한 대응 논리로서 무엇보다도 현실 정치에 작동하는 ‘詞章’의 실제적 효용을 강조하며 그에대한 부단한 학습이 필요함을 역설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에도 불구하고 당대에는 내적 수양을 중시하고 詞章을 경시하는 풍조가 이미 유생들 사이에 널리 퍼져 있었다. 이에 김안로는 ‘文士 우대’라는 원칙의 회복과 ‘官學 강화’라는 제도적 통제를 통해 이러한흐름을 바꾸고자 했다. 그가 내세운 방법론은 성종대 사류의 맥을 잇는 그의 가치관을 반영하는 동시에, 정치-문단의 영수로서 그가 취한 관료적 입 장을 강하게 보여주는 것이었다. 이미 새로운 흐름을 형성하고 있었던 학문경향에 대해 이러한 ‘위로부터의’ 처방은 큰 효력을 발휘하지 못했지만, 어느새 舊士類가 되어 버린 ‘관료 문인’ 김안로의 현실적 고민이 녹아 있다는점에서 이는 분명한 시사점을 던져준다. 이러한 그의 모습은, ‘사장-도학’ 각 주체 간의 선명한 대립이 엄연히 존재했던 中宗代라 하더라도 그 구도의 이면에는 몇몇 용어만으로 설명하기곤란한 학문 배경과 논리, 현실적 맥락들이 자리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기왕의 문학사에서 다분히 평면적, 도식적으로 규정되었던 16세기 전반기를 보다 입체적인 모습으로 그려내기 위해서는, ‘도학파’ 뿐만 아니라 ‘사장파’에 대해서 역시 깊이 있고 폭넓은 시각을 바탕으로 한 재인식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The early 16th century was a period that academic conflict between the old and the new scholar was converted into a political tragedy called ‘Kimyosahwa(己卯士禍).’ Because the bureaucrat writers(官僚文人) who take charge one positon of this competitive structure only described as ‘school of literature(詞章派)’ in early research, they couldn t be evaluated properly on their status. For this reason, to investigate this period s study structure clearly, this thesis researched the position of literature and suggestion on study of Kim Ahn-ro(金安老) as a representative of early 16th century s bureaucrat writers. With his educational background, Kim Ahn-ro insisted a study emphasizing both inner development and literature(經文竝行). But his theory was resisted by the new scholar s opinion that put more value on moral philosophy(道學). In awareness of crisis about possibility to lose his academic status, Kim Ahn-ro put stress on literature powerfully by emphasizing literature s practical utility. In this point of view, he suggested recovery of a principle of honoring writers and reinforcement of a national school. Although his effort was failed because of the new academic trend s power, it shows Kim Ahn-ro s target consciousness to succeed traditional values of Seongjong period(成宗代) and his firm bureaucratic position as a leader of politics and literary world. In conclusion, Kim Ahn-ro was a core bureaucrat writer who pursued both inner development and literature with a steady view of learning. These aspects show that there were complex elements like educational background, learning logic and reality conditions make this period explain hard, in spite of the vivid opposition between the school of literature(詞章派) and moral philosophy(道學派). On this account, to describe this period more plentiful, we should have a new understanding of the school of literature(詞章派) with a more deep and wide vision.

      • KCI등재

        "특집 1 : 반계 유형원과 동아시아 초기 실학 : 磻溪 柳馨遠의 역사의식과 東國史 서술 구상― 『磻溪雜藁』 소재 기록을 중심으로"

        정용건 ( Chung Yong-gun ) 한국실학학회 2017 한국실학연구 Vol.0 No.34

        磻溪 柳馨遠(1622~1673)은 일찍부터 17세기를 대표하는 실학자로 주목되어, 그가 주창한 정치 경제 개혁론에 대한 연구 성과물이 학계에 이미 상당한 분량으로 축적되어 있다. 다만 그는 생전에 경학, 역사학, 지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방대한 저술을 남긴 인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전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그가 이룩한 사상의 전모는 여전히 충분하게 考究되지 못하고 있다. 본고는 유형원의 殘編인 『磻溪雜藁』에 담긴 역사의식의 면면들을 살펴보면서, 그가 기획하였던 동국사 재편 작업의 양상과 그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東史綱目凡例』에서 그는 朱熹의 『資治通鑑綱目』을 역사 서술의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하면서, ‘성리학적 의리론’이라는 동국사 서술의 기본 원칙을 제시하였다. 『東史怪說辨』에서는 동국 역대 역사서에 전해 오는 괴이하고 황당한 내용들을 성리학적 관점에서 반박하고 배제함으로써 보다 합리적인 역사 서술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그런가 하면, 『與朴進士自振論東國地志』와 『三韓說後語』는 그간 부정확 불확실하게 설명되어 왔던 동국의 지리 및 그 연혁에 대해 방대한 자료 검증 및 논리적 설명을 통해 나름의 해답을 제시한 글들이다. 이와 같은 유형원의 동국사 재편 구상은 곧 체계성, 합리성, 실증성 논리성이라는 특징으로 요약할 수 있다. 곧 그의 역사의식은 ‘성리학적 합리성과 논리성’이라는 선명한 방향성을 나타내고 있었던 것이다. 그는 이러한 방식을 통해, 역사의 영역에서 의리론과 정통론을 확고히 수립함으로써 청의 중원 지배라는 顚倒的 현실을 타개할 학문적 방안을 모색하였다. 물론 이러한 유형원의 바람은 결국 계획 단계에서 그쳤을 뿐, 실제 저술까지는 이어지지 못하였다. 그러나 17세기 중엽 이후 유행하였던 ‘綱目體 역사서’ 편찬의 기초 모델을 제시하였을 뿐 아니라, 약 100여 년이 지난 18세기 후반 안정복의 『東史綱目』을 통해 실제적으로 계승되기도 하였다는 점에서, 그의 동국사 서술 구상은 분명한 史的 의의를 지닌다. Yu Hyeoung-won(柳馨遠)(1622~1673)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Silhak scholar(實學者) in 17th century, so a lot of research results about his reform idea in politic and economy are cumulated. But because of lack of the present data, the research about his historical consciousness is still poor. In this respect, this thesis paid attention to investigate his rewriting plan of Korean history and its meaning by searching his posthumous work, 『Bangyejapgo』(『磻溪雜藁』). In 『Legend of Dongsagangmok』(『東史綱目凡例』), he suggested that history narrative should be follow the principle of Zhu-xi(朱熹)’s 『Jachitonggam ganmok』(『資治通鑑綱目』). And in Demonstration of Korean history’s strange rumor (『東史怪說辨』), he sought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 more rational history narrative by refuting and excluding the strange and absurd contents of the former history book. meanwhile, in other works(『與朴進士自振論東國地志』, 『三韓說後語』), through massive data examination and logical explanation, he tried to analyze the geography of the country and its history which have been explained inaccurately and uncertainly for the past years. Such a conception of his rewriting plan of Korean history can be summarized as ‘systematic’, ‘rational’, ‘demonstrative and logical’. In other words, his historical consciousness represented a clear direction of ‘rationality and logicality in Neo-confucianism.’ Through this method, he sought the academic plan to overcome the bleak reality of the ruling of the Qing dynasty (淸) by firmly establishing the theory of loyalty and authenticity in the field of Korean history. Of course, his desire did not lead to actual writing. However, his plan not only suggested a basic model of the ‘Gangmok-style(綱目體) history book’ which had been popular since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but also was succeeded by the Ahn Jeong-bok(安鼎福)’s 『Dongsagangmok』(『東史綱目』). In this point, his narrative concept of Korean history has a clear value.

      • KCI등재

        知退堂 李廷馨의 16세기 士禍史 정리 작업과 그 의미 - 『黃兎記事』·『壽春雜記』를 중심으로-

        정용건 ( Chung Yong-gun ) 민족어문학회 2022 어문논집 Vol.- No.96

        This paper examines the 16th-century sahwa(士禍) record work performed by Jitoedang(知退堂) Lee Jeong-hyeong(李廷馨, 1549-1607) and its historical meaning. Gimyo-sahwa(己卯士禍) and Eulsa-sahwa(乙巳士禍), which occurred in the 16th century, were events that brought great frustration and shock to the scholars of the time. Therefore, they continued to work on restoration of the victims, and furthermore, they devoted their efforts to writing history books that re-recorded the whole story from their own point of view. Lee Jeong-hyeong, also one of those who had such a will, reorganized the problematic social affairs of the 16th century by writing 『Hwangtogisa』 and 『Suchunjabgi』 in 1599 while staying in Chuncheon(春川). 『Hwangtogisa』 is a biographical record of the contents related to the victims of the Gimyo-sahwa. It is based on Kim Jeong-guk's 『Gimyodangjeok(己卯黨籍)』 and Anro(安璐)'s 『Gimyodangjeokbo(己卯黨籍補)』, but was described in a way that greatly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m in terms of format and content. And 『Suchunjapgi』 is a work written for the memorial of the victims of the Eulsa-sahwa and the historical condemnation of the Soyun(小尹). These two books are the works that have been refined in the most complete form among the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the 16th-century sahwa. 『Hwangtogisa』 and 『Suchunjapgi』 were continuously referred to by later writers and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historical awareness and writing activities. In particular, KimYuk(金堉)'s 『Gimyojehyeonjeon(己卯諸賢傳)』 is clearly found to have accommodated and wrote a considerable part of 『Hwangtogisa』 in both format and content,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contents of 『Hwangtogisa』 were used as the main basis for historical description in several other materials. For these reasons, Lee Jeong-hyeong's 『Hwangtogisa』 and 『Suchunjapgi』 are the works related to Sahwa record in the 16th century, which were compiled relatively early, and can be said to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the perception of Sahwa in later generations. Because of his writings, Joseon's literary men were able to clearly establish a concrete image of their predecessors who had to put off their dreams of reality due to political upheaval. Furthermore, it provided a practical basis for our current awareness of socialization.

      • KCI등재

        혼군(昏君)을 향해 세운 절의 - 조선 후기 광해조(光海朝) 절신(節臣)의 사적(史的) 형상화 양상 -

        鄭用健 ( Chung¸ Yong-gun ) 동방한문학회 2021 東方漢文學 Vol.- No.88

        본고는 조선 후기 문인 사회에서 ‘광해조 절신’으로 기억된 인물들의 면면과 그 사적 형상화 양상에 대해 살핀 글이다. 조선은 유교적 국가관을 표방하며 세워진 나라였던만큼 건국 초기부터 유가 이념의 근간을 이루는 ‘忠’을 강조하였고, 군신 간의 의리를 중시한 역대 인물을 지속적으로 기억·현양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와 같은 ‘節臣’에 대한 관심은 ‘昏君’이라 일컬어진 光海君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었다. 본 고에서는 그러한 ‘광해조 절신’의 존재 양상을 ‘柳夢寅과 北人系 인물’, ‘金坽’, ‘金興國’ 등 세 범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들은 北人, 南人(金坽), 西人(金興國) 등 각기 다른 당파 출신으로 仁祖反正 당시에도 상이한 상황에 처해 있었으며, 그 속에서 의리를 지킨 방식 역시 일정한 차이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후대에 이들을 절신으로 높이고자 한 주체와 그 시기 및 방법에 있어서도 저마다의 변별적 국면을 지니고 있었다. 다만 각 인물에 따라 독립적으로 이루어진 절신 현양 양상에도 불구하고, 그 과정 속에는 이들을 관통하는 공통점 역시 일정하게 존재하였다. 먼저, 이들에 대한 추숭 작업이 시기적으로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기에 이르러 완성되었다는 점이다. 각 인물들은 대체로 17세기 이래 절신으로서의 점진적인 기억 과정을 거쳐 문인 사회에서 ‘광해군을 위한 충신’으로 받아들여져 왔는데, 특히 이 시기에 이르러 그러한 노력이 최종적인 완성을 보았다. 다음으로, 이들의 절신 현양에는 정보의 추가·삭제·윤색 등 일정한 조탁의 과정이 동반되었다는 점이다. 김흥국은 18세기까지만 해도 광해군에 대한 절행의 내용이 크게 드러나지 않았다가 19세기에 이르러 비로소 절신 서사를 부여받았거니와, 유몽인과 김령이 역사적으로 기억되어 온 과정을 추적해 보면 시간의 흐름에 따라 특정한 일화와 사건이 조금씩 덧붙여지거나 제외되면서 보다 완정한 절신으로서의 모습이 조형되어 온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유몽인과 북인계, 김령, 김흥국 등은 그들이 가진 서로 다른 배경과 행적에도 불구하고, 점진적인 사적 형상화 과정을 거친 끝에 19세기에 이르러 ‘광해조 절신’이라는 담론장 안에 느슨하게나마 포섭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들은 군주의 明暗 여부에도 불구하고 신하로서의 의리를 끝까지 지킨 광해군의 遺臣으로 후대적 인정을 받았으며, 나아가 절의의 상징 ‘伯夷’를 비롯하여 ‘吉再·死六臣·金時習·燕山朝節臣’ 등 동방 절신과도 그 이름을 나란히 하였다. 유가 이념의 진작과 확립을 위해 조선만의 伯夷를 찾고자 부단히 노력했던 조선 문사들의 의식 활동은, 이처럼 광해군 때의 신하들을 대상으로도 분명한 성취를 거두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고의 논의를 통해, 그간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았던 광해조 절신에 대한 이해의 증진은 물론, 鄭夢周·吉再·死六臣·金時習 등 일부 인물만을 대상으로 언급되었던 ‘조선조 절신 서사’의 발굴과 확충에도 일정하게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examines the aspects of the characters who were remembered as ‘Gwanghaegun(光海君)'s Loyalist’ and their historic imagery in the literary society of the late Joseon Dynasty. As Joseon was founded with Confucianism, it emphasized ‘loyalty’ and continuously honored the historical figures who showed loyalty. This interest in loyalist was also applied to Gwanghaegun called tyrant. This thesis especially paid attention to the three categories of Gwanghaegun's Loyalist: ‘Yu Mong-in(柳夢寅) and buk-in(北人)’, ‘Kim Ryeong(金坽)’ and ‘Kim Heung-guk(金興國)’. They were in different situations at the time of the rebellion of Injo(仁祖反正) due to their different party colors. Not only that, they each had their own distinctive aspects in terms of the subjects who wanted to raise them, timing and methods. In spite of the aspect of the commemoration made independently according to the figures, there were also certain commonalities that penetrated them. First, in terms of time, it can be said that the commemoration work on them was completed in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and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Second, the commemoration was accompanied by a certain process of arranging, such as adding, deleting, and embellishing information. In this way, despite their different backgrounds and activities, the three men showed a pattern of being loosely included in the discourse of Gwanghaegun's Loyalist in the 19th century after going through a gradual commemoration process. Not only they received recognition from posterity as the loyalists of Gwanghaegun, but also stood shoulder to shoulder with the symbols of loyalist such as Jeong Mong-ju(鄭夢周), Gil Jae(吉再), Sayuksin(死六臣), Kim Si-seup(金時習) and Yeonsangun's loyalists(燕山朝節臣). For the promo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Confucian ideology, the activities of the Joseon scholars who worked tirelessly to find Joseon's Baek Yi(伯夷) were able to achieve clear results even for the subjects of Gwanghaegun. Through the discussion of this thesis, it is hoped that not only the understanding of Gwanghaegun's loyalist can be improved, but also the ‘Epic of the Joseon's loyalist’, which was mentioned only for a few people such as Jeong Mong-ju, Gil Jae, Sayuksin and Kim Si-seup can be discovered and expa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