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부순모래 콘크리트의 특성에 미치는 잔골재 치수와 혼합조건의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정영한,김재온,송하영,김을용 大田産業大學校 1999 한밭대학교 논문집 Vol.16 No.1

        Recently, the suprly of natural river sand as concrete fine aggregate has been getting worse and it is necessary to recycle the construction wastes produced on the process of stone materials production in our country. Therefore, this study was aimed to find the reuse method of crushed sand as concrete fine aggregate and to estimate the quality of crushed sand concrete. In this study, to inverstigate the influence of fine aggreate size and mixing condition on the properties of crushed sand oncrete and compare with the natural river sand concreter the 2 cases of the aggreate size and the 5 cases of mixing condition are tested. The test results presented that the properties of mixed crushed sand with natural river sand concrete was better than the prorerties of natural river sand concrete.

      • KCI등재

        20세기 팝 아이콘 마릴린 먼로 - 앤디 워홀의 영향과 동시대 한국미술에서의 재해석

        정영한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6

        This study approaches 'Modern Icon' which exists now here from pop art of last century and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at issue: "Why Marilyn Monroe became an Icon of Korean contemporary art?" Andy Warhol dealt with Marilyn Monroe's death to became Superstar as he always aspired and Marilyn Monroe became unforgettable icon of Pop art as well as she still alive as a muse of contemporary art. It reflects on the zeitgeist of the 21st century like the connotative term Postmodernism that include multivocal meaning and added value. In this sense, this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of Marilyn Monroe as a subject with tendency of Korean contemporary artists who are influenced by Andy Warhol's Pop art. First, this study explores sociocultural ideology involv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celebrity and contemporary art and it would rethink the matter about fame as a common denominator of Marilyn Monroe's death and golden age of Andy Warhol. And this study approaches the reinterpretation of the problem of Andy Warhol's Marilyn Monroe based on the above as the background for analysis the Korean artists Kim Dong Yoo, Lee Gil Woo, Lee Dong Jae, Chung Young Han who create two dimensional art works from mixed media, and a witty sculptor Jo Jung Hwa wha.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discourses inherent in the cultural code of our mass consumption society as the fame and power which entered into a connection with 'Icon' and Marilyn Monre as the inevitable subject of comtemporary art from Andy Warhol's Pop art. 이 논문은 “왜 지금여기의 미술에서 마릴린 먼로인가?”라는 담론의 가능성을 기반으로 하여 지난 세기의 팝아트에서부터 동시대 한국미술에 존재하는 ‘현대의 아이콘’에 관한 연구이다. 마릴린 먼로의 죽음을 철저하게 이용한 앤디 워홀은 그가 열망하던 슈퍼스타가 되었으며 죽음과 동시에 앤디 워홀의 뮤즈가 되었던 마릴린 먼로는 대중문화와 현대미술을 막론한 불멸의 아이콘으로 끊임없이 복제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세기가 전환된 동시대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마치 어떤 단어로 대체하더라도 결국 포스트모더니즘에 함축되어 있는 문제에서 파생된 가치를 공유하고 있는 21세기의 시대성을 반영하는 듯하다. 이러한 지점에서 이 연구는 동시대 한국미술의 관점을 거쳐 재해석되고 있는 마릴린 먼로라는 화제(畵題)를 앤디 워홀의 팝아트의 영향을 수용하고 있는 동시대 한국미술의 경향에 적용시켜 분석하는데 집중한다. 이에 따라 스타와 현대미술의 관계를 구축하는 사회문화적 이데올로기를 우선적으로 고찰하고, 다음으로 죽음으로 완성된 마릴린 먼로와 앤디 워홀의 팝아트에 개입된 명성에 관한 문제를 재조명하는데 논점을 둔다. 이와 같은 배경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매체의 조합을 시도하는 김동유, 이길우, 이동재, 정영한의 회화작품과 마릴린 먼로라는 주제를 3차원의 감각으로 위트 있게 패러디하는 조정화의 조각작품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앤디 워홀의 마릴린 먼로가 동시대 한국미술에서 어떻게 해석되어지는가에 대한 문제에 접근한다. 마지막으로 앤디 워홀과 동시대 한국미술이 공유하고 있는 마릴린 먼로라는 주제를 통해 ‘아이콘’이라는 인식의 기저에 동반되어 있는 명성과 권력, 즉 소비사회의 코드가 함축하고 있는 담론들을 이 연구의 맺음말로 부친다.

      • KCI등재

        데이비드 호크니의 <더 큰 그림> 연구 -회화의 시각과 시점에 관한 문제를 중심으로-

        정영한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5

        이 논문은 데이비드 호크니의 근작 <더 큰 그림>에 관계된 ‘시점’에 대한 문제를 호크니의 회화론과 동시대적 입장을 통해분석하는 것을 논점으로 한다. 호크니는 회화, 판화, 사진, 무대미술, 일러스트 디자인, 그리고 ‘아이폰 드로잉’이라고 불리는 미디어통신 매체를 활용한 작품 등, 기법의 한계를 자유롭게 넘나드는 미술가이다. 호크니는 리처드 해밀턴, R.B. 키타이 등과 함께 영국 팝아트의 핵심인물이자 <결합(joiner)> 과 같은 독창적 포토 콜라주 작품을 고안한 사진가이며, 오페라 무대공간을 연출하는 무대미술가로서 활약했고, 2001 년에는 Secret Knowledge라는 저서를 통해 르네상스 거장들의 그림을 광학이론에 기초하여 분석하면서 미술이론가로 활동 영역을 넓혔다. 이른바 호크니-팔코 이론이라고 명명되는 그의 연구는 현재까지 많은 논란 속에서도 다양한 분야에서 언급되고 있으며, 2000 년 이후부터 영국 요크셔 지방을 배경으로 마치 외광파의 방식과 유사한 풍경화, 즉 <더 큰 그림>을 통해 그의 이론을 시점에 관한 담론과 함께 전개시키고 있다. 따라서 호크니의 <더 큰 그림>은 회화를 보는 눈, 즉 시점에 관한 동시대적 담론을 가장 전통적 매체를 통해 구현해냈다는 데 중요한 의의가 있으며, 회화를 여전히 실험 가능한 매체로 제시하는 등 이미지 제작에 대한 폭넓은 감각적스펙트럼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비평적 관점에서 재고해 볼 필요성이 있다. 결국 <더 큰 그림>은 ‘회화에 있어서 시점의 문제’에 대한 호크니의 회화론과 다양한 매체를 통한 실천적인 실험과정이 집약된 결과이며, 사진-이후 시대의 회화에서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될 주요 과제이다. This study deals with ‘perspective’ issues of David Hockney’s recent work <A Bigger Picture> by analyzing his optical theory and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art. Hokney is well known for the artist who is without technical limits for example he makes painting, engraving, photography, stage design, illustration, and he uses ‘I-phone’ for drawings. Actually Hockney emerged core of British Pop artist in the early stage, then he made creative photographic collage under the name of <Joiners>, he designed opera stage for Stravinsky’s Rake’s Progress, and in 2001 he expanded his career as an art theorist. In his book Secret Knowledge, Hockney argues that optical devices were used by European painters from the early 15th century. Usually called ‘Hockney-Falco thesis’, Hcokney’s highly controversial theory has been marked upon today’s art. It is important connecting with Hockney’s recent work <A Bigger Picture> which is en plein air landscape painting of Yorkshire having the implications for vision and perspective issues of painting. In this sense, <A Bigger Picture> means that Hockney embodied the discourse of the eyes or the perspective in contemporary painting with the most traditional medium of art, and it is important that he presents the latent possibility of painting as still experimental media in today’s art field. At this point, there is a need to reconsider Hockney’s wide spectrum of image making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art. And <A Bigger Picture> is a result of the essence of Hockney’s practical experiments progress using his own theory and multiple media so that should not be overlooked in Post-Photographic era.

      • KCI등재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IT 지향적 프레임워크의 개발에 관한 기초적 연구

        정영한(Jung Young-Han),황영삼(Hwang Young-Sam),박태근(Park Tae-Keun) 대한건축학회 2004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20 No.2

        This research shows the preservation administration framework which is conceptualized by link of development of IT solution for the preservation administration of facilities.<br/> Also, the preservation administration framework to propose is general. That is, it is not subject to restriction of administration formation's scale which apply variety of examined property type or scale of equipment administration project or framework. Framework can act in general policy guide line to execute preservation administration within organization which attend to government official of various property set.<br/> Framework would make a standard of process techniques, process activities, and information and method to interchange each activity. In addition to, the update of knowledge would be possible to establish new logical process about these process and activity and to adjust the integration through new administration process or activity if framework's structure would be soft and substantial.

      • 흰점박이꽃무지분 시용이 상추 생육과 토양 화학성에 미치는 효과

        경희(Kyonghee Joung),이슬비(Seulbi Lee),심현영(Hyunyoung Shim),허준영(Junyoung Heo),장다현(Dahyun Jang),유병만(Byungman Yoo),배성문(Sungmun Bea),영한(Younghan Lee),장영호(Youngho Chang)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Protaetia brevitarsis larvae)은 굼벵이로도 불리는 친숙한 산업곤충의 하나로 식용, 약용, 사료 및 기능성 식품과 화장품 등의 원료로 활용되고 있다. 매년 1,700 여톤 정도 발생 되는 흰점박이꽃무지분은 50% 이상의 높은 유기질 함량과 1.7% 정도의 질소를 함유하고 있으나 비료로 등록되어 있지 않아 이용에 제한이 있어 비료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시험 장소는 경남 진주시와 창녕군 두 곳으로 토성이 미사질양토인 노지에서 수행하였다. 토양분석에 따른 NPK 검정시비량을 기준으로 NPK시비 (CF), NPK시비+가축분퇴비 (CFC, 540 kg 10a<SUP>-1</SUP>), NPK시비+흰점박이꽃무지분은 기준량 (CFP1, 540 kg 10a<SUP>-1</SUP>), 배량 (CFP2, 1,080 kg 10a<SUP>-1</SUP>) 등 총 4개 처리구를 난괴법 3반복으로 적치마 상추에 시용하였으며, 생육과 수량 및 토양화학성 변화를 검토하였다. 시험 후 토양화학성은 진주지역에서 유기물과 총질소 함량은 CFP2, CFC, CFP1, CF 순으로 높았고, pH, EC, 유효인산, 치환성 K, Ca, Mg와 CEC 함량은 차이가 없었으며, 창녕지역은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상추의 지상부 생육 및 수량은 두 지역 모두 흰점박이꽃무지분 배량 처리구인 CFP2 처리구에서 양호하였다. 흰점박이꽃무지분이 가축분과 동량으로 처리된 CFP1 처리구에서는 가축분을 처리한 CFC 처리구와 비교했을 때 상추의 엽수, 엽장, 지상부 생체 중 등이 비슷하거나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NPK만 시비한 CF 처리구보다는 창녕, 진주 지역에서 수량이 각각 7.5%, 9.2% 증수됨을 보였다. 이는 관행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가축분 퇴비와 비슷하거나 우수한 생육 증진 효과로, 흰점박이꽃무지분 또한 유기질 비료로써의 비효를 인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