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재희,박무석,김영삼,장준,김성규,김세규,김희만,박정탁,정재호,최병욱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2002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53 No.3
A Case of Tracheal Bronchus Associated with BilateralSuperior Vena Cava Anomaly 저자들은 어렸을 때부터 간헐적인 호흡곤란이 있어 기관지 천식으로 치료를 받아온 과거력이 있는 20세 남자에서 군입대 신체검사를 위해 시행한 흉부전산화단층촬영과 굴곡성 기관지내시경 검사상 우연히 발견된 양측성 상대정맥 기형을 동반한 기관성 기관지 1예를 경혐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지속가능한 친환경 지하캠퍼스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 사례분석과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중심으로 -
정재희,이상윤 한국교육시설학회 2010 교육시설 Vol.17 No.6
This study aims to propose design directions for the eco-friendly, sustainable underground campus in terms of integrated design. For this purpose, theoretical investigation, design methodology and quality investigation, analytical case studies on the domestic and foreign underground campus, and user survey for POE(Post Occupancy Evaluation) and analysis on the recently built domestic underground campus plans were conducted. As a conclusion, design direction and improvement areas for the synthesized sustainable underground campus plan were proposed. Underground campus plan will be a great alternative for a 21st century sustainable campus if well-developed plans with organized design guidelines are established.
화재 및 산업재해 대응 재난안전 로봇 시나리오 및 디자인 제안
정재희,김희성,문혁준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2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6 No.4
연구배경 대형화되는 재난 현장에서 소방대원의 인명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임무를 대신 수행하는 재난안전 로봇에 대한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소방대원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현장에서 실효적으로 활용 가능한 재난안전 로봇을 디자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5명의 소방대원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한 후, 구조와 화재진압의 단계별 문제점을 파악하여 고객여정지도를 작성하였다. 소방대원의 임무를 가장 효율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로봇으로 멀티모달센서 부착 4족 로봇과 방수 보조 4족 로봇을 선정하고, 해당 로봇의 사용 시나리오, 요구사항, 디자인을 제안한 후, 소방대원과 로봇 전문가를 대상으로 검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문헌연구와 사용자 조사를 기반으로 4족 로봇, 멀티모달센서, 음성 인식 컨트롤, 원격 제어, 중장비 전달, 방수 보조, 중계기 설치의 디자인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인명, 발화점, 추가 붕괴위험, 유해 물질 탐지에 활용되는 멀티모달센서 부착 4족 로봇과 장비의 이동과 방수 보조에 활용되는 방수 보조 4족 로봇을 디자인하고 사용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디자인 검증 결과 멀티모달센서 부착 4족 로봇이 방수 보조 4족 로봇보다 소방대원과 로봇 전문가 모두에게 좀 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결론 본 연구는 기술 중심의 제품에 있어서 엔지니어의 시각이 아닌 사용자의 시각에서 문제를 파악하고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해결책을 도출하였다는데 학문적 의의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