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방학지』 200집 기념 대담 <동방학, 국학, 동아시아론: 동방학을 다시 기록하다> - 백영서, 도현철, 한기형

        김성보,백영서,현철,한기형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2 동방학지 Vol.200 No.-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이 간행하는 종합 인문 학술지 『동방학지』가 200집 발간을 기념하게 되었다. 전쟁의 상흔이 채 가시지 않은 1954년도에 첫 1집이 나온 이래 온갖 풍상을 겪으면서도 한 번도 중단되지 않고 68년을 이어온 결과이다. 일제강점기 조선학의 전통이 없었다면, 분단과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도 동방학연구소를 창립하여 인문학의 밭을 일구어낸 선학의 선견지명이 없었다면, 그리고 글 한 편 한 편을 소중히 여기는 편집진과 필자들의 인문 정신이 아니었다 영글 수 없는 수확이다. 창업보다 수성이 어렵다고 한다. 수많은 학술지가 쏟아져 나오고 논문 편 수를 연구자 평가의 기준으로 삼는 학문 시장 속에서 과연 『동방학지』는 무엇에 의미를 부여하며 어디로 항해를 떠나야 할까? 국학연구원은 그 답을 찾기 위해 <동방학, 국학, 동아시아론: 동방학을 다시 기록하다>라는 제목의 대담을 마련하였다. ‘동방학’은 창립 당시의 연구소 이름이자 학술지 이름이다. ‘국학’은 이 연구소가 1977년도에 기구 확장을 하면서 붙인 새 이름이다. 그리고 ‘동아시아’는 국학연구원이 “21세기 실학으로서의 사회인문학”을 탐구하면서 화두로 삼았던 공간 개념이다. 이 세 단어는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있다. 그 연관성을 살피다 보면 한국인들의 전통적인 공간 감각과 정체성은 무엇이며, 그것이 어떻게 근대 국민국가의 세계 속에서 계승·전환하는지, 그리고 다시 국가의 경계를 넘어 어떻게 동아시아로 인식과 정체성이 확대되어 왔는지 파악할 수 있겠다. 대담의 주제는 크게 두 가지이다. 제 1부에는 한국발 동방학 연구의 연원과 지향점을 살펴본다. 그리고 제 2부에는 활기찼던 동아시아 담론이 남긴 성과와 한계를 진단하면서 그 논의가 어떻게 다시 새롭게 생명력을 얻을 수 있을지 진단한다. 제 1부에서 도현철은 주로 동방학연구소 창립 이래 국학연구원의 역사를 짚어보면서 동방학에 담겨진 의미를 짚어준다. ‘동방’은 중국의 동쪽인 한반도를 가리키면서 동시에 서방과 대비되는 중층적 개념이라는 지적이 흥미롭다. 백영서는 평소 지론대로 ‘동방’을 고정된 지리적 개념이 아닌 실천적 과제에 따라 계속 재규정되는 개념이라면서 ‘동방’의 의미를 더욱 풍성히 해준다. 한기형은 대동, 동양, 동아시아 등 동방과 유사한 용어들을 비교해주면서 오늘날 동아시아 담론이 오랜 한국의 전통과 현대적 전환 속에 나온 것임을 확인해준다. 대담은 학문 제도 속에서 국학과 동아시아학이 어떤 긴장 관계에 있었는지로 논의가 확대된다. 제 2부에서 백영서는 동아시아 담론이 단지 일시적 유행이 아니라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시작되어 일제강점기와 냉전기에 복류하다가 1990년대 탈냉전기에 지상으로 다시 ‘귀환’한 것으로 파악하면서, 이제 다시 글로컬한 차원에서 이 담론이 재구성될 필요성을 제시한다. 한기형은 한국의 동아시아 담론이 국경을 넘는 공감을 얻지 못해왔음을 뼈아프게 지적하면서 그 한계의 극복이 중요함을 지적한다. 동아시아 연구의 향후 진로에 대해서 도현철은 역사 연구가 동아시아를 넘어 유라시아적인 관점으로 확장되고 있는 예를 들면서 시대와 사회의 변화에 따라 학문 연구의 문제의식과 연구내용이 계속 변화할 것임을 진단해준다. 이 외에도 다양하고 풍성한 논의가 대담 내내 이어진다. 200집이 나오기까지 『동방학지』에 실린 많은 글에는 하 ...

      • KCI등재
      • KCI등재

        동방학연구소의 학술 활동과 정인보의 학풍 계승

        현철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2 동방학지 Vol.200 No.-

        Welcoming the 68th anniversary and 200th publication of 『THE DONG BANG HAK CHI(東方學志)』,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research activit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e of Far Eastern Studies established in 1949, and consider the future trajectory of the national studies research organization. The Institute of Far Eastern Studies was established to study the history, culture, and language of East Asia, with a focus in Korean studies. The direction “East” in the institute’s title refers to Korea, located to the east of China. The Institute of Far Eastern Studies published 『The National Archive Collections(國故叢刊)』. 『The National Archive Collections』 began with 『Goryeo History(高麗史)』 and aimed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printing sources both common and rare. The cover mark of 『THE DONG BANG HAK CHI』 is based on a Three-Legged Bird excavated from a tomb in Koguryo. The Three-Legged Bird refers to a mythical crow that lives in the sun. The animal is a symbolic creature commonly found in cultures north of Korea, including Koguryo. The Institute of Far Eastern Studies’ focus on the north was influenced by the Soron School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ts successor, Jeong In-bo. The Soron School actively conducted research on Yangmyonghak and northern regions, specifically examining the history of Koguryo and Balhae. Soron School academic Jeong In-bo also studied Yangmyonghak and the ancient history of the northern regions of Korea. Min Young-kyu succeeded Jung In-bo and continued his work in Yangmyonghak and northern region studies, carrying out research projects of The Institute of Far Eastern Studies. 1949년에 설립된 동방학연구소의 연구 활동과 그 성격을 살펴봄으로써 『동방학지』 간행 68년과 200호를 맞는 시기에 국학연구원의 진전 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이 이 글의 작성 취지이다. 동방학연구소는 한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의 역사, 문화, 언어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동방학연구소에서 동방은 중국의 동쪽인 우리나라를 의미하고, 동방학은 한국학을 말한다. 『동방학지』의 창간 목표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변 나라의 문화를 연구하여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신문화를 수용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 동방학연구소는 『국고총간』을 간행하였다. 『국고총간』은 『고려사』 영인을 시작으로 한국학 연구와 그 주변 나라에 대한 이해를 위한 기본자료와 희구한 자료를 영인한 것이었다. 『동방학지』에는 표지 마크는 고구려의 고분에서 출토된 삼족오를 배경으로 한다. 삼족오는 태양 속에 사는 세발 달린 까마귀를 가리키는데, 고구려를 비롯한 북방 문화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상징적 동물이다. 동방학연구소가 북방 연구를 중시한 것은 조선후기 학파인 소론과 그 계승자인 정인보의 영향이다. 소론은 양명학 연구와 고구려 발해사 중심의 북방 지역 연구를 활발히 전개하였는데, 정인보는 소론이었고 양명학과 한국 고대사의 북방 연구를 진행하였다. 민영규는 정인보의 양명학과 북방 연구를 계승하여 동방학연구소의 연구사업을 수행하였다.

      • KCI등재

        조선초기 단군 인식과 삼국유사 간행

        현철 ( Hyeon Chul Do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3 동방학지 Vol.162 No.-

        최근 조선초기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파른본 『삼국유사』가 소개되었다. 유교 국가 조선에서 불교사 입장에서 정리된 『삼국유사』를 간행한 이유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이 본고의 목표였다. 고려후기에 몽골의 침입으로 국가적위기를 맞았고, 『삼국유사』와 『제왕운기』를 통하여 국가의 시조로 단군을 인식하게 되었다. 『삼국유사』와 『제왕운기』는 고조선을 상정하고 단군을 우리역사의 시조로 설정하였다. 『삼국유사』는 고조선에서부터 시작하여 삼한과 삼국, 고려로 이어지는 역사 계승을 제시했다. 당초 단군은 평양과 황해도 구월산 지역의 민간 신앙적 수호신으로 이해하다가, 국가시조, 역사공동체의 시조로 인식하게 되었다. 고려후기에 단군을 역사의 시원으로 파악하기는 하지만, 신화적이고 설화적인 내용을 사실을 받아들이지 않는 유교의 합리사관으로 인하여 유학자들은 단군을 사실로 인정하는데 주저하였다. 유교 국가인 조선은 나라의 시조인 단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단군부터 조선에 이르는 역사를 서술하고 왕조의 정통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유교사관에 의한 연구를 통해 단군을 역사상의 인물로 재발견하였고, 『동국사략』과 『삼국사절요』를 완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삼국유사』의 간행이 필요했다. 역사서를 편찬하기 위해서는 근거가 되는 기본 자료의 확보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삼국유사』는 태조 3년 무렵에 『삼국사기』와 함께경주에서 간행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말하자면, 조선왕조는 단군 인식과 한국상고사 인식의 확대로 고조선으로부터 조선에 이르기까지 한국 역사를 계통적으로 이해하는 통사체계를 구상하였고 이 과정에서 『삼국유사』를 간행하였던 것이다. Recently, a new edition of Samguk Yusa,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printed and published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was presented to the academic community. This article examines why a Confucian state like Joseon bothered to publish Samguk Yusa, a history book which was written from a Buddhist perspective. In the latter half of the Goryeo period, Mongol forces invaded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following dynastic crises prompted the Goryeo people to a new interest in historical entities such as Dan`gun (perceived as the one and only founder of the people of the peninsula) which is reflected in the publication of history books like Samguk Yusa and Je`wang Wun`gi. The people`s new appreciation of certain historical figures eventually led to a formation of a national pride. Goryeo, which was being forced to establish a new kind of relationship with the Mongol Yuan Empire, a relationship which was quite different from its former relationships with the Chinese dynasties, and the Goryeo dynasty and its people were in need of a new identity, and also a new historical perspective from which to view their relationship with the Mongol Empire. Samguk Yusa and Je`wang Wun`gi describe the history of Gojoseon and establish Dan`gun as the person who literally began the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Samguk Yusa explains that Korean history began with Gojoseon, which was followed by "Sam Han" (``the Three Hans``), the Three Dynasties, and finally Goryeo. Previously, Dan`gun was believed in folklore to have been just a kind of regional deity from the Pyeong`yang area and the Mt. Guweon-san area of what is now Hwang`hae-do province, but he later came to be worshipped as the ``founder of the state,`` and the originator of the historical community in which the Goryeo people lived. Even in the latter half of the Goryeo period, when Dan`gun gained this new status as the founder of the Goryeo people, Confucian scholars, who believed in reasoning and did not embrace folklore-based stories with mythical properties, hesitated to accept Dan`gun as a historical figure and as a person who really existed. Based upon their understanding of Dan`gun, the people of the Confucian state of Joseon recorded the history from Dan`gun to Joseon, and in doing so tried to validate and justify the relatively young dynasty`s foundation. Using Confucian-based studies and analysis, they tried to discover the true nature of Dan`gun as a real person, and as part of this effort, Joseon writers completed Dong`gukSa`ryak and Sam`guk-sa Jeol`yo. Samguk Yusa was needed, as it was vital to secure basic primary data for historical compilation. It is presumed that Samguk Yusa was published in the Gyeongju area around 1394, in the third year of King Taejo`s reign, along with Kim Bu-shik`s Samguk Sagi. In other words, the people of Joseon imagined a Korean history that began with the time of Dan`gun and continued through to the time of Joseon, and published Samguk Yusa as part of the effort to prove this. The establishment of Dang`un as the founder of the Korean people was only possible because of the people`s already widened understanding of Dan`gun and the ancient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삼봉집』과 권근의 역할

        현철(Do, Hyeon-chul) 한국고전번역원 2012 民族文化 Vol.- No.40

        본고는 모두 3차례 즉 우왕11-13년 혹은 태조 6년의 2권의 초간본과 성종 18년의 8권의 중간본, 정조 15년의 14권으로 간행된 『삼봉집』의 성종본과 정조본을 비교하고, 『삼봉집』의 완성에 크게 간여한 권근의 역할과 역사적 의미를 살펴보려는 것이 목표였다. 성종본과 비교하여, 정조본은 새로 찾은 시문 자료를 3권에서 4권으로 늘리고, 『조선경국전』과 『경제문감별집』을 상?하로 나누었으며, 『불씨잡변』을 1권으로 독립시켰고, 陣法, 습유, 부록을 따로 2권으로 마련하면서 14권으로 늘어나게 되었던 것이다. 아울러 내용상의 세밀한 고증을 통해, 성석린의 ‘批’, 權近의 ‘訂’과 ‘註’ 등 조력자와 그 역할을 명기하였고, 『불씨잡변』과 『경제문감별집』은 細註로 그것의 전거를 밝혀 놓았다. 명종 2년에 간행된 『입학도설』에는 『삼봉집』에 있는 「心問天答」과 「心氣理三篇」이 실려 있는데, 이는 초학자를 위하여 유학의 기본 원리를 도설로 설명하는 과정에서 『입학도설』의 취지에 어느 정도 부합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삼봉집』과 『입학도설』에는 「心問天答」과 「心氣理三篇」에 대한 권근의 주석 방법이 다르게 표시되어 있다. 전자에는 권근이 주석한 사실이 애매하게 표시되어 있고, 정도전이 저술한 부분과 권근이 주석한 부분의 구분이 명료하지 않다. 그러나 명종 2년에 간행된 『입학도설』에 권근이 주석한 사실이 細註로 표시되어 있어 이를 통해 정도전이 저술한 부분은 선언적인 몇 句에 불과하고, 권근이 주석한 부분이 주요 내용을 이루고 있다는 사실이 분명하게 드러나고 두 작품은 결국 권근의 저술이라는 것을 암묵적으로 보여준다.결국 정조본과 성종본 『삼봉집』을 비교해 보고, ?입학도설? 안에 있는 「心問天答」과 「心氣理三篇」을 분석해 볼 때, 『삼봉집』의 편찬에는 권근이 절대적인 참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정석해의 교유관계와 연희대학교

        현철 ( Do Hyeon Chul ) 연세사학연구회 2019 學林 Vol.44 No.-

        본고는 정석해의 교우 관계와 교육 행정 활동을 살펴봄으로써, 정석해 개인뿐만 아니라 해방 직후부터 1960년에 이르기까지 연희대학의 역사와 대학 교수의 현실 인식과 사회적 실천 활동을 파악하려는 것이다. 정석해는 동료 교수들 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사적인 유대감과 함께 학교와 사회의 대소사를 논하고 진실의 구현, 정의의 실천에 앞장섰다. 그는 동료 대학교수들과 4·19 혁명과 6·3 한일협정 반대 시위 그리고 연세대학의 학원 자율화, 민주화에 참여하였다. 특히 그는 연희대학의 학원의 자율화와 민주화를 추구하여 권위적이고 비합리적인 태도를 수정해갔다. 그의 이러한 지식과 행동은 연세대학의 학교 운영이나 후배 교수의 교육 연구 활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This paper aims to apprehend not only Professor Tseung Suk Hai individual but also the history of Yonhi University and the real-life awareness and social practice activities of university professors from the Independent to the 1960s by looking at Professor Tseung Suk Hai’s friendly relationship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activities. Forming a network between his fellow professors, Professor Tseung discussed the great affairs of university and society, and took the lead in the realization of truth and the practice of justice, with a private bond. He participated in the April 19 Revolution and 6.3 protest against the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with fellow professors, as well as liberalizing and democratizing campus at Yonsei University. In particular, he had modified the authoritative and irrational attitude of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and professors in pursuit of liber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of academies at Yonsei university. His knowledge and behavior have greatly influenced the management of Yonsei University and the education research activities of junior professo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