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단야구 소유자에 대한 연구

        차순철,Cha, Soon-Chul 국립문화재연구원 2003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36 No.-

        The smith's tool is a tool used for the forging that directly heat-treats and treats ironware. Smith's tools have been thus far excavated from 58 archaeologic sites in Korea, which include 46 hammers, 40 nippers, 5 tweezers, 17 chisels, and 12 anvils, totaling to 120 items. The historic sites from which smith's tools have been excavated indicate 2 sites in Nangnang, 6 in Goguryo, 30 in Silla, 3 in Baekjae, 15 in Gaya, and other 2 sites. Those smith's tools excavated from tumuli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Korea are known to be those from the Silla and Gaya areas, and some have been found in the Goguryo and Baekjae areas but require more accumulation of artifacts. Furthermore, the result of having investigated those smith's tools burnt with the corpse in tumulus revealed that smith's tool owners are classified into the blacksmiths who were directly engaged in manufacture and the ruling class who controlled them. Moreover, the smith's tools excavated from large-sized tumulus are presumed to have the potential that symbolically exhibits smithy-iron working, as compared with other funerary objects. Key words: smith's tool, blacksmith, manager.

      • KCI등재후보

        포항지역의 농지개간과 지역사회 변화

        차순철(Cha, Soon-chul)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4 한국고대사탐구 Vol.16 No.-

        포항 신광면에서 발견된 <냉수리 신라비>는 삼국시대 신라의 발전과정에서 나타난 지역주민들의 재산과 관련된 분쟁모습을 잘 보여주는 자료로 당시 신라사회의 발전과정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그리고 최근 조사된 <중성리 신라비>에 대한 연구 결과 앞서 일어난 분쟁과 유사한 지역민 사이의 다툼이 포항지역에서 계속되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중앙의 재판과 그 결과인 < >를 내림으로써 분쟁을 해결하고 있다. 당시 포항지역에서 일어난 분쟁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지만 <냉수리 신라비>에 나타난 < >의 성격과 규정이 중요하며, 이에 대해서 여러 의견이 이미 개진되어 있지만 아직 논란이 진행되고 있다. 본 글에서는 <냉수리 신라비>에 나타난 < >의 성격을 당시 포항지역에서 이루어진 토지개간으로 인해 새롭게 수취권이 만들어진 토지일 가능성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주목되는 유적은 포항 초곡리유적이다. 발굴조사 결과 6~7세기대에 계곡지역을 논으로 개간하고 이후 농경을 하면서 소가 사용된 모습이 확인된 점은 당시 신라 안에서 새로운 토지개간과 우경과 철제 농기구의 보급이 지방까지 폭넓게 이루어졌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생각된다. 포항 초곡리유적은 <냉수리 신라비>의 건립시기와 비교할 때 다소 늦은 시기의 유적이지만 삼국시대 포항지역에서 , 이뤄진 농지 개간의 모습 일부를 추정할 수 있는 자료로 생각되며, 향후 보다 이른 시기에 이루어진 농지개간과 관련된 유적이 확인되면 < >의 성격을 보다 분명하게 밝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Silla Monument in Naengsu-ri> found in Singwang-myeon in Pohang is the relic that clearly shows the property related disputes among local residents appearing in the course of social development in the Silla Dynasty during the Three States Period. Also, the study on recently investigated <Silla Monument in Jungseong-ri> showed that the conflicts between local residents similar to the disputes that took place earlier had continued to appear in Pohang area, and the disputes were settled in the trials given by the central authority and <Order>, the result of the trial. Although there are many opinions about what caused the dispute in Pohang at the time, the characteristics and definition of <Property> appearing in <Silla Monument in Naengsu-ri> are important, and there are still controversies about them while a number of opinions were given. This study intends to probe into the possibility that the characteristic of <Property> appearing in <Silla Monument in Naengsu-ri> is the land to which the right of receipt is newly given through the farmland development in Pohang area at the time. The remains that draw attention in relation to this are the Chogok-ri remains in Pohang. The excavation confirmed that the farmland was developed in the valley area during the 6th~7th centuries and the oxen were used in farming, and it shows that new farmland development, ox-driven plow, and iron farming tools spread widely to suburban regions of Silla at the time. Chogok-ri remains in Pohang are dated more or less later than the erection of the <Silla Monument in Naengsu-ri>, however, is considered as the source that can be referred to in estimating how the farmland was developed in Pohang during the Three States Period, and it would be possible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Property> more clearly if the remains related with farmland development dated earlier than the said period are found in the future.

      • 『韓紅葉』과 일본인들의 한국문화 인식과정 검토

        車順喆(Cha Soon-Chul)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2 한국고대사탐구 Vol.11 No.-

        『한홍엽』은 세키노 타다시를 비롯하여 당시 한국고적조사를 담당했던 야쓰이 세이이치, 쿠리야마 이치 등이 한국의 문화유적을 조사하고 느낀 여러 가지 생각을 강연한 내용을 활자화한 것으로, 한국 문화유산에 대한 일본인 연구자들의 생각이 들어나 있다. 세키노 타다시는 『한홍엽』에서 한국미술사의 시기구분을 시도하였고, 이를 통해서 한국 문화가 역동적이기보다는 타율성에 지배를 받았고, 한국 고유문화의 빈곤함을 바로 쇠락한 문명의 상징으로 보았다. 결국, 이 책을 통해서 일본 연구자들이 고적조사를 진행하면서 가졌던 역사의식을 엿볼 수 있는데, 이는 당시 한국인들에게 제국주의 역사관을 고착화시키기 위한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세키노가 한국 문화사를 선사시대와 역사시대로 구분하고, 각 시기별로 중국의 여러 왕조와의 관계를 비교하면서 영향관계를 살핀 모습은 결국 중국미술과의 교류관계를 중심에 둔 채, 동아시아 문화사를 바라보았던 당시 연구자들의 시각을 보여준다고 생각된다. 결국 『한홍엽』에 나타난 세키노의 인식은 한국 고대문화의 기원을 중국보다는 일본과 연계시키면서 그 동질성을 찾은 데에서 그 의미가 있으며, 이후 한국 미술사에서 통일신라미술을 황금기로 강조하던 모습의 원인을 찾아 볼 수 있다. “Hanhongyeop” is the printed version of lectures given to the general public by three people: Sekino Tadashi, Yaiichi Seiichi, and Kuriyama Shunichi on what they felt during the survey of historical remains of Korea. This book contains 3 pieces of writings that show the thoughts of Japanese researchers about Korean cultural assets. Sekino Tadashi attempted to divide Korean art history into different periods through “Hanhongyeop”. He saw Korean culture as the culture dominated by heteronomy rather than as a dynamic culture and saw the lack of unique Korean culture as the symbol of decaying civilization. Japanese researchers ultimately attempted to perpetuate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upon Korean people based on imperialism through this book. Sekino Tadashi divided the history of Korean culture into prehistorical era and historial era and examined the influence of various dynasties of China in each period. He found Korean and Japanese cultures through the exchange with China, and this indicates the view of the researchers that studied East Asian culture then. Eventually, Sekino Tadashi’s idea that appears in “Hanhongyeop” finds homogeneity by associating the origin of ancient Korean culture with Japan rather than China and this is the reason he emphasized the art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as the golden age in the Korean art history.

      • KCI등재후보

        하남지역 사찰공방 연구

        차순철(Soon-chul Cha),김선(Sun Kim) 북악사학회 2023 북악사론 Vol.17 No.-

        하남지역에 위치한 삼국~고려시대 사찰 중 천왕사지와 동사지에서 확인된공방의 종류와 특징을 살펴보았다. 천왕사지 공방은 금당과 강당 사이 공간에기와가마, 숯가마 그리고 동제련로(銅製鍊爐)와 주종유구(鑄鐘遺構) 등이 확인되는데, 사역 안에서 바깥쪽으로 위치를 옮겨가는 모습이 확인된다. 이는 사찰 창건기 사역 안에 입지했던 공방들이 중창 이후 회랑 바깥으로 옮겨지지만상시적으로 기와와 숯을 공급한 것으로 추정된다. 동사지 공방은 통일신라시대 창건된 건물들이 위치한 지면을 파고 만들었는데, 철기생산을 위한 추정용해로과 주종유구가 확인된다. 이들 공방은 사찰 창건 당시 필요한 기와와법구(法具)를 만들기 위해 한시적으로 운용되었으며, 계속 이어진 모습은 확인되지 않는다. 공방의 위치와 종류 그리고 운용모습으로 볼 때, 천왕사는 관사(官寺)의 성격을 보이며 동사는 귀족의 후원에 의한 원찰(願刹)로 창건되었다고 추정된다. 두 사찰공간 안쪽과 주변 일대에 위치한 공방의 성격을 살펴보면, 사찰에 필요한 물품을 직접 생산하여 공급하는 사찰 부속 공방의 성격이강하며, 이를 운용하기 위한 전문공인이 존재했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사찰 안에 공방이 지속적으로 운영된 모습은 사찰의 규모와도 관련되지만, 통일신라시대 성전사원(成典寺院)처럼 당시 국가나 지방관청에서 지원을 받은 관사(官寺)의 성격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workshops found in the Cheonwangsa Temple Site and Dongsa Temple Site among the temples of the Three Kingdoms and Goryeo Dynasty periods in the Hanam region. In the workshop of Cheonwangsa Temple Site, a tile kiln, a charcoal kiln, a copper furnace, and remains of bell-casting facilities can be found in the space between the main hall and the lecture hall. From these remains, it is presumed that the workshop inside the temple's precinct during the temple's founding period was moved outside the temple site after the remodeling but continued to supply tile and charcoal. The Dongsa Temple Site workshop was constructed by digging the ground where buildings were built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 furnace presumed to have been used for iron production and remains of bell casting facilities were found. These workshops were operated temporarily to make roof tiles and dharma crafts needed at the temple's foundation. There is no trace that they were continued afterward. Considering the workshops' location, type, and operation, Cheonwangsa Temple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a government office. It is presumed that Dongsa Temple was founded as a memorial temple sponsored by nobles. The workshops inside and around the two temple spaces are presumed to be auxiliary facilities that directly produce and supply items needed by the temples. It is deemed that professional craftsmen operated them. The operation of these workshops was related to the size of the temples. It shows the characteristic of a government office supported by the central or local government at the time, like the Seongjeon Sawon (temple with the government office in charge of construction, repair, and operation of temples) during the Unified Silla Dynasty.

      • KCI등재
      • KCI등재

        고려시대 진언기와 사례 검토

        차순철(Cha, Soon-Chul) 중앙문화재연구원 2021 중앙고고연구 Vol.- No.36

        경주지역에서 출토된 고려시대 명문기와 중 ‘옴소재진복와(唵消災進福瓦)’는 경주 월성 부근인 인왕동과 경주읍성 부근인 성동동 그리고 황성동 호원사지와 동천동 일대, 현곡면 나원리사지와 안강읍 갑산사지 등에서 출토되고 있다. 과거 이 명문기와는 통일신라시대 유물로 알려졌지만 발굴조사를 통해서 고려시대 중기에 사찰에서 사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과거 소개된 자료와 최근 출토된 명문와 내용을 살펴본 결과 과거에 판독된 ‘소재진복’의 앞쪽과 뒤쪽에서 각각 새로운 글자가 1자씩 추가로 확인되어서. 전체 내용은 ‘옴소재진복와’로 밝혀졌다. 그리고 그 내용은 불교진언으로 ‘옴(唵)’자를 첫 머리에 둔 “재앙이 소멸되고 복이 오는 기와”로 읽을 수 있다. 이 기와가 만들어진 시기는 고려시대 중기인 12세기 후반에서 13세기 초로 추정되며, 이 시기 유행하던 불교의식인 <소재도량(消災道場)>과 관련성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명문기와는 불교진언을 기와에 새김으로써 그 부처의 힘으로 재앙을 막고자하는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옴소재진복와’ 명문기와는 경주 인왕동유적 2방 6호 건물지, 성동동유적 그리고 시내 주변에 위치한 안강 갑산사-현곡면 나원리사지-황성동 호원사 둥에서 사용한 모습이 확인되므로 경주 시내와 주변지역에 위치한 사찰들의 연결 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또한 국내 유적에서 출토된 명문와 중 진언기와를 살펴본 결과 경주지역 외에도 지방의 여러 사찰에서 출토된 사례가 확인되므로 고려시대에는 소재도량을 통해서 재해를 막고자 기원하면서 함께 진언기와를 사용함으로써 그 공력을 빌었다고 생각한다. Among the inscribed roof-tiles of the Goryeo Dynasty excavated in Gyeongju region, the ‘Om Sojae Jinbok Tile (唵消災進福瓦)’ are found in Inwang-dong near Wolseong Fortress of Gyeongju, Seongdong-dong near Gyeongju Eupseong Fortress, Howonsa Temple site in Hwangseong-dong and Dongcheon-dong, a temple site in Nawon-ri, Hyeongok-myeonm and Gapsansa Temple site in Angang-eup. In the past, this inscribed tile was known as an artifact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However, excavation surveys proved that it was used in temples during the mid Goryeo Dynasty. The examination of the materials introduced in the past and the details of the inscribed tiles excavated recently, discovered new letters, one before and the other after Sojae Jinbok (消災進福), and revealed the entire phrase, ‘Om Sojae Jinbok Wa (唵消災進福瓦)’. The phrase is from the words of Buddha and can be read as “Om, roof-tile that eradicates disaster and brings luck.” The Mantra roof-tile is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between late 12th century and early 13th century, which is the mid Goryeo Dynasty. It has some association with a Buddhist rite called ‘Sojae Doryang (消災道場),’ which was prevalent at the time and intended to prevent disasters in the temple. In summary, this inscribed tile is an expression of the intent to prevent harms with Buddha’s power by inscribing the words of Buddha on the roof-tile. Also, it is deemed that an association could be found between Gapsansa Temple, the temple in Nawon-ri, Howonsa Temple, and the temples in Inwang-dong and Seongdong-dong in downtown Gyeongju area based on the fact that this inscribed roof-tile was shared among the temples in downtown Gyeongju and its peripheral areas. The examination of inscribed tiles excavated domestic sites, the ones with the words of Buddha in particular, such roof-tiles were found in various temples inside and also outside Gyeongju. All this indicates that people prayed for the prevention of harms through ‘Sojae Doryang’ and made roof-tiles inscribed with the words of Buddha to depend on Buddha’s power.

      • KCI등재

        고고학 자료 데이터베이스화의 현황과 과제

        차순철(CHA, Soon-Chul)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4

        현재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고고학 자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는 발굴조사보고서를 중심으로 활발한 자료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들 자료에 대한 2차, 3차 검토 및 분류작업을 통한 세세한 분류와 색인작업 등에 대해서는 많은 과제를 남기고 있다. 고고학 분야에서는 매년 수천 권의 발굴조사보고서와 관련 자료가 생산되고 있다. 기초자료 부분으로 볼 때, 그 어떤 학문 분야보다도 많은 내용이 집적되고 이를 정보화하여 유통하고 있지만, 이러한 자료의 이용부분은 매우 제한된 모습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자료의 생산과 유통부분에 있어서 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세부 분석과 해제를 하는 부분이 아직 덜 이루어진데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 생산된 각종 자료들에 대해서는 보고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서 제공이 이루어지고 있고, 국공립기관을 중심으로 새롭게 재해석한 보고서도 출간되고 있다. 북한자료에 대해서는 과거 불법출판된 영인본이 주를 이루었으나 현재는 저작권 계약에 따른 출판물이 발간되고 있다. 그러나 최신 자료의 입수문제는 한계가 있으며, 이들 자료에 대해서는 국립문화재연구소를 중심으로 정리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공공자료라 할 수 있는 고고학 발굴조사보고서 이용과 관련하여 발간기관별로 관리되는 점과 PDF를 제공하는 기관이 상이한 점 등은 연구자들이 자료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굴조사보고서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와 이용을 요구하는 의견이 제기되므로,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원문정보와 시대별, 유적별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고고학자료에 대한 이러한 검색기능을 구비하기 위해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발굴조사보고서 등록제도에 추가적으로 해당 보고서의 주요 내용에 대한 검색편리를 위한 표제어 입력이 가능하도록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결국 고고학 자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각종 문화재 관련 보고서자료 등을 인터넷상에서 제공할 수 있는 전문 관리시설의 존재는 문화유산 보호를 위해서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이러한 시설을 통해서 한국 고고학 자료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면 보다 편리한 이용방안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For the development of a database for archeological materials currently pushed forward with in Korea, related data have been generously produced centering on the excavation survey reports. However, there are much to be done for the detailed classification and also the indexing through secondary and tertiary review and classification of such materials. Every year, thousands of excavation survey reports and related materials have been produced. For basic materials, the field of archeology is accumulating more contents than any other academic fields and is digitalizing and circulating them ; however, such uses of the materials are quite limited. One of the reasons is that the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data have not been comprehensively managed, analyzed in detail, and released properly. The materials produced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to today are made available through report database and newly interpreted versions have been also published mostly by national and public organizations. North Korean materials had been mainly photographic copies illegally published in the past whereas publications are issued based on copyright contracts. However, there are limits in collecting latest materials and such materials have been organized mainly by National Cultural Properties Research Institute. The fact that the archeological excavation survey reports which are considered public materials are managed by their publishing organizations and the fact that their PDF versions are offered by different organizations are causing inconvenience in using such materials. For the comprehensive management and use of excavation survey reports are suggested as the solution for such problem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easure to seek after solutions and provide original text information alongside other information by period and remains. The current system for registering excavation survey reports needs to be improved by adding a feature to enter keywords to facilitate the search of main contents of the reports in order to develop a feature for searching archeological data that are available in various forms. Eventually, the professional management facilities capable of efficiently managing archeological materials and providing a variety of cultural heritage related reports and so on through the internet are deemed necessary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More convenient uses could be provided if Korean archeological materials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through such facilities.

      • KCI등재후보

        통일신라시대 경주지역 장판타날기와의 출현시기 검토

        차순철 ( Cha Soon-chul ) 동아문화재단 2020 文物硏究 Vol.- No.37

        통일신라시대 경주지역에서 장판타날기와가 언제부터 사용되었는가라는 문제는 새로운 기와제작기술이 도입된 것보다는 기존에 국가의 직접 관리 아래에 있던 기와제작기술이 변화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변화는 당시 공통된 제작기술을 유지하던 기와생산체제가 어떤 원인으로 인해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인 모습이다. 중판타날기와라는 통일된 기준을 가지고 기와가 생산되던 신라사회에서 중앙관사의 통제력이 약해지면서 왕경 외곽 또는 지방을 중심으로 새로운 기와제작기술인 장판타날기와가 생산되면서 건물에 사용하는 기와의 기준이 변화된 모습이 확인된다. 이러한 변화가 시작된 시기는 분명한 연대자료를 통해서 확인할 수 없지만 경주 외곽지역에서 발굴조사된 여러 기와가마 출토품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신라왕경에 기와를 공급했던 기와가마들은 통일신라시대 후기까지도 내성(內省)에 속한 와기전(瓦器典)의 관리감독아래에서 중판타날기와를 생산했다고 보여지며, 신라왕경 외곽에 위치한 기와가마들은 이러한 와기전의 관리감독을 벗어났을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원인은 당시 정치혼란과 호족세력의 출현과 발전으로 볼 수 있다. 당시 사회 분위기 속에서 경주 외곽지역을 중심으로 새로운 기와 제작기술인 장판타날기와 생산이 이루어졌다고 생각되며, 그 출현시기는 다른 지방의 장판타날기와의 출토사례와 제작시기 그리고 경주 방내리 생활유적 내 기와가마의 연대측정결과를 고려할 때 신라 헌덕왕 14년(822) 이후로 추정된다. The question of when the use of the roof tile with large paddle-beat pattern had begun in Gyeongju region during the Unified Silla Dynasty period is a matter of the change in the roof tile production which were managed by the government rather than the introduction of a new production technology. In other words, this indicates that the roof tile production system that maintained a common production technology at the time changed for some reason. Silla used roof tiles with medium paddle-beat pattern. However, when the central control grew weak, new roof tiles with large paddle-beat pattern were produced mostly in the outskirts of the royal capital and rural areas, which brought changes to the standards for the roof tile. This change could not be confirmed through chronological data, however,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artifacts excavated from a variety of roof tile kilns that were excavated and investigated in the outskirts of Gyeongju. The roof tile kilns that supplied roof tiles to the royal capital of Silla until the late Unified Silla Dynasty period produced roof tiles with medium paddle-beat pattern under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the Roof Tile Agency under the Ministry of Interior, but it is quite likely that the roof tile kilns located in the outskirts were outside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the authority. This is related with the political disorder and the emergence of powerful clans. It is estimated that the production of the roof tiles with large paddle-beat pattern began in the outskirts of Gyeongju, which is estimated to be after the 14th year in the reign of King Heondeok of Silla (822) considering the excavations in rural areas and the dating of the remains of the dwellings in Bangnae-ri, Gyeongju.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