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아로마용액과 0.9% N/S 구강함수가 간호대학생의 구강건조, 구취 및 타액 pH에 미치는 효과 비교
조미경,조윤희 기초간호학회 2014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6 No.2
구강건조 및 구취 등은 개인에게 불편감을 줄 뿐만 아니라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유발하는 등 대인관계에도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며(Krespi, Shrime, & Kacker, 2006), 전신건강상태 및 건강관련 삶의 질과도 연관이 있다(Kim, Kang, & Jeong, 2010). 따라서 구강간호는 간호대상자의 안위를 살피는 간호사에게 있어서 기본적 간호중재 중 하나이다.
조미경,장혜영 한국자료분석학회 201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경기도에 위치한 E 대학 간호대학생 188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공감능력, 문화간호 자신감, 문화적 역량에 대한 자가보고 질문지를 사용하여 2013년 11월 2일부터 12월 13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 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0.97세(SD=2.00)이었고 외국어 능력과 문화간호 자신감의 평균 점수는 각각 4.98점(SD=1.72)과 4.66점(SD=1.89)이었다. 자기효능감의 평균 점수는 79.32점(범위 59-102)이었고, 공감능력의 평균 점수는 107.56점(범위 61-141)이었으며, 문화적 역량의 평균 점수는 122.17점(범위 69-201)이었다. 문화적 역량과 문화간호 자신감(r=.403, p<.001), 자기효능감(r=.227, p<.001)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문화간호 자신감, 외국거주경험, 자기효능감이었고 총분산의 24%를 설명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과 다양한 교수방법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cultural competency among nursing students in Korea.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Participants were 188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E university, Gyeonggi provinc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use of self-administration questionnaires of self-efficacy, empathy, confidence of cultural nursing, and cultural competency from 2nd November to 13th December in 2013. The data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software. The average age of the participants was 20.97 (SD=2.0) years and the average score of foreign language skill and confidence of cultural nursing was 4.98 (SD=1.72) and 4.66 (SD=1.89), respectively. Mean self-efficacy score was 79.32 (range: 59-102), mean empathy score was 107.56 (range: 61-141), and mean cultural competency score was 122.17 (range: 69-201).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cultural competency and confidence of cultural nursing (r=.403, p<.001), and between cultural competency and self-efficacy (r=.227, p<.001). Twenty-four percent of cultural competency was explained by confidence of cultural nursing, residence experience in foreign country, and self-efficacy.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diversity of teaching methods and cultural education programs need to improve cultural competency.
협심증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운동부하검사로 유발되는 흉통의 양상과 생리적 변인에 관한 연구
조미경,최명애 대한기초간호자연과학회 2000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variables of chest pain induced by exercise test in angina suspected pati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8 inpatients and outpatients aged between 40 and 75 who underwent treadmill test at exercise testing laboratory of S-University from January 2000 to June 2000. Subjects were interviewed with questionnaire regarding sociodemography, the past health history and history related to chest pain before the exercise test. Subjects were interviewed with questionnaire concerning quality, intensity, duration of chest pain induced by walking on the treadmill(Marquette, U.S.A. 1992) according to Bruce protocol following exercise test.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measured before, during and after the test, heart rate was determined by EC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Quality of chest pain induced by exercise test were feeling stiffness 19(67.9%), heavy 10(36.0%), exploded 9(32.1%), crushing, suffocating, tight 8(28.6%), stuffy, prickly 7(25.0%), burning 6(21.4%), clasp 5(17.9%), cleaved, tensed, piercing 3(10.7%), perfectly fitting, sore 2(7.1%), tearing, tingling, ticklish, heartburn 1(3.6%). 2) Mean score of VAS(intensity of pain) following exercise test was 5.79?.27 and mean duration of chest pain after the test was 7.83±5.31 minutes. 3) Sites of chest-pain induced by exercise test were middle site 11(39.3%), left-chest 10(35.6%), right-chest 6(21.5%). Radiation site of chest-pain was neck(l8.0%), right flank site 1(3.6%), left shoulder & arm 2(7.1%) and back 1(3.6%). 4) Symptoms other than chest-pain induced by exercise test were dyspnea 21(75.6%), perspiration 14(50.4%), fatigue 12(43.2%), leg-pain 11(39.6%), dizziness 7(25.2%) anxiety toward chest-pain 3(10.8%), thirst 2(7.1%), and palpation, headache and tingling sensation of hand and leg 1(3.6%). 5) Mean MET(intensity of exercise) during the exercise test was 7.64±2.57 and mean RPE(rating of perceived exertion) was 15.89±2.36. Mean duration of exercise was 6.79±2.88. 6)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RPE and VAS was 0.500(p=0.003), those between MET and VAS was 0.287(p=0.069) and those between either depression or elevation of ST segment and VAS was 0.236(p=0.114). 7)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systolic pressur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test as 146.29±28.18mmHg and 177.96±28.82mmHg(t=-5.640, p=0.000),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diastolic blood pressur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test as 84.85±15.07mmHg and 88.89±13.72mmHg(t=-2.082,p=0.047),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heart-rat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test as 81.89±12.22/min and 160.68±21.77/min(t=-21.255,p=0.000).
임상간호사가 인지한 병태생리학 지식, 필요도와 임상실무와의 연계성
조미경,신기수,최명애 기초간호학회 2013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5 No.3
간호교육은 급속하게 변화하는 환경 내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하도록 졸업 후 전문직 간호사로서 갖추어야 할 실무 수행능력 배양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간호사는 임상에서 비판적 사고 및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임상적 결정을 내릴 수 있어야 하고, 최상의 정보를 환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수행함에 있어 기본이 되는 기초간호과학 지식은 간호사에게 있어 환자간호의 질과 효율성 및 안전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필수요인 이 된다(Yoo et al, 2008). 그동안 임상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이 실무 수행 시 가장 큰 어려운 점은 기초간호과학에 대한 기본지식이 부 족하다는 것이었고, 기초간호과학 내용의 보수교육에 대한 요구도 가 매우 컸음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Choe & Shin, 1999). 임상간 호사들이 기초간호과학에 대한 기본지식이 매우 약하다고 호소하 는 것은 간호현상의 합리적 근거를 수립하는 데 기초가 되는 기초 간호과학 지식을 간호실무에 연결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간호 의 기반이 되는 지식의 부족에서 기인된 것이다(Choe, 2012). 국내에서 임상실무와 연계되는 기초간호과학의 교과내용을 개 발하기 위해 Choe 등(1999)은 임상에서 근무하고 있는 임상간호사 들이 필요로 하는 인체구조와 기능의 지식내용을 파악하였고 인체 구조와 기능에 이어 임상간호사들이 필요로 하는 병태생리학, 병원 미생물, 약물의 기전과 효과에 대한 지식내용을 파악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Choe et al, 2000). 그러나 학부과정에서 기초간호과학 교과목의 교과내용을 이수한 임상간호사들이 기초간호과학 지식 이 임상실무와 연계되는 정도를 어떻게 인지하고 있으며 또한 이러 한 지식을 임상 현장에 적용함에 따른 임상실무수행 시의 자신감 과 만족감은 어떠한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Engineering therapeutic antibodies targeting G-protein–coupled receptors
조미경,정상택 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16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Vol.48 No.-
G-protein–coupled receptors (GPCRs) are one of the most attractive therapeutic target classes because of their critical roles in intracellular signaling and their clinical relevance to a variety of diseases, including cancer, infection and inflammation. However, high conformational variability, the small exposed area of extracellular epitopes and difficulty in the preparation of GPCR antigens have delayed both the isolation of therapeutic anti-GPCR antibodies as well as studies on the structure, function and biochemical mechanisms of GPCRs. To overcome the challenges in generating highly specific anti-GPCR antibodies with enhanced efficacy and safety, various forms of antigens have been successfully designed and employed for screening with newly emerged systems based on laboratory animal immunization and high-throughput-directed evolution.
일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의 융복합적 연구
조미경,정현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1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 였다. 간호학과 학생 211명으로, 통계자료는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여 학생, 학교만족도, 전공만족도, 실습만족도가 낮을수록, 수간호사와의 관계를 어렵게 느낄수록 임상실습 스트레스 점수가 높았다.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의사소통 능력과 강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주 영향 요인은 실습 만족도, 의사소통 능력과 성별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이나 중재프로그램 등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실습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는 관련변수 파악과 다각적 인 방안의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empathy and communication skill on clinical stress of college students in the convergence society. The participants were 211 college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It was found that: nursing students showed higher clinical stress in case of lower level of school satisfaction, major satisfaction, clinical satisfaction, the difficult of relationship with head nurse, and female student.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ere found between communication skill and clinical stress. The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stress were clinical satisfaction, communication skill and gender. In order to reduce clinical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it is needed to find various ways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such as educational courses and intervention, and to figure out associate variables and multilateral research to enhance clinical satisfaction.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의 치매노인과 가족수발자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조미경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18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0 No.29
급속한 인구고령화에 따른 치매노인의 급증으로 인하여 치매노인과 이들을 돌보는 가족에 대한 사회적 지원의 확대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역할은 치매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가족수발자의 돌봄부담을 경감시키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의 치매노인과 가족수발자 지원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시행 이후 치매노인에 대한 장기요양 급여범위 확대, 인지활동서비스 개발, 치매가족휴가제 도입 등을 통해 치매노인과 가족수발자를 위한 지원은 다소 확대되고 있지만. 여전히 치매노인의 낮은 장기요양보험 수혜율, 치매노인과 가족지원서비스의 양과 질 미흡, 치매전문인력 및 시설 부족 등의 여러 문제들에 직면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첫째, 치매노인의 장기요양 수혜율을 향상시키고, 둘째, 치매노인을 위한 지역생활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셋째,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에 대한 지원을 한층 강화하고, 넷째, 치매노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인력의 자질 함양 및 처우 개선에 노력하고, 다섯째, 연속적인 보호체계를 구축하여 치매노인에게 지속적인 돌봄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