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中’의 起源과 形態에 대한 再考

        趙宰亨(Cho Chae-hyung) 중앙어문학회 2009 語文論集 Vol.42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beginning and the form of ‘中’ on Ancient Korean under the loan-word transcription system of Korean. ‘中’ as a reception of Chinese Character has been treated that its sound and fuction are same on the Hyangchal(鄕札), Kugyol(口訣) and Idu(吏讀). Usually, ‘中’ has considered as the adverbial case markerswhich is the morpheme from a noun. Especially, it is very difficult to discuss whether ‘中’ is the Korean reading of a Chinese character or the reading Chinese character by their traditional Chinese pronunciation. Meanwhile, ‘中’ is the Chinese Character for the adverbial casemarkers and all case markers are the reading Chinese character by their traditional Chinese pronunciation under the loan-word transcriptionsystem of Korean.In order to discuss this, we criticize the precedingresearch for the sound of ‘中’ in the Hyangchal(鄕札), Kugyol(口訣) and Idu(吏讀), and we inquire into the sounds of ‘中’ in the Ancient Chinese, we assurance that the sound of ‘中’ in the Ancient Korean is not[dyung], [hui], [ui] but [*gyung, *guing], [gui]. Therefore, we show the possibility that ‘中’ is not the Korean reading of a Chinese character but the reading Chinese character by their traditional Chinese pronunciation. Also, the fact that ‘中’ is the reading Chinese character by their traditional Chinese pronunciation shows usthat ‘中’ is not from noun but is just case marker with the reading Chinese character by their traditional Chinese pronunciation under theloan-word transcription system of Korean.

      • KCI등재

        現代國語 副詞格助詞 ‘-에서’와 敍述語 간의 關係 考察

        조재형(Cho, Chae Hyung)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8 No.1

        이 논문의 목적은 현대국어 문장 내에서의 부사격조사 ‘-에서’와 서술어 간의 관계를 계량 분석적으로 파악하는 데에 있다. 이 논의를 위해 현대국어 말뭉치 자료를 분석하여 ‘-에서’가 사용된 문장 내에서 어떤 서술어들이 사용되었는지를 고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에서’와 서술어 간의 관계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말뭉치 자료 분석을 통해 다양한 ‘-에서’의 의미가 사전의 배열 순서와는 다른 빈도수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에서’와 共起하는 자․타동사 구문 분석을 통해 ‘-에서’와 공기하는 서술어는 자․타동사 구분이 없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셋째, ‘-에서’ 구문의 서술어 분석을 통해 ‘-에서’의 각 의미별 분류에서 다른 서술어에 비해 다수의 용례를 보여주고 있는 서술어들은 각각의 전형적인 ‘-에서’의 의미를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마지막으로 인지언어학의 이론을 이용하여 ‘-에서’의 기본의미와 그 확대 과정을 고찰하였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verbial case marker ‘-eseo(에서)’ and the predicate on contemporary Korean. For this discussion, we examined what predicates were used in the sentences in which ‘-eseo(에서)’ was used with analyzing of modern Korean corpus data. Also, based on this, we tried to discuss the relation between ‘-eseo(에서)’ and the predicate. This process resulted in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rough analysis of corpus data, it was confirmed that the meaning of various ‘-eseo(에서)’ was different from the arrangement order of a dictionary. Second, through analysis of the sentences using ‘-eseo(에서)’,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the intransitive verb and the transitive verb such as a predicate which is used with ‘-eseo(에서)’ in a sentence. Third, the analysis of the predicates used with ‘-eseo(에서)’ in a sentence indicates that the predicates showing many examples show typical meanings of each ‘-eseo(에서)’. Finally, the basic meaning of ‘-eseo(에서)’ and its expansion process were examined using the theory of cognitive linguistics.

      • KCI등재

        訓民正音 創制 目的의 考察

        조재형(Cho, Chae-Hyu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0 No.45

        이 글의 목적은 世宗 時代의 政治?社會的 狀況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하여 訓民正音 創制의 目的을 考察하는 데에 있다. 그동안 ‘訓民正音’의 창제 목적은 그것을 바라보는 연구자의 태도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낳아왔다. 시기적으로 일제 강점기부터 해방 전까지의 연구는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訓民正音’ 창제 목적을 살펴보려 하였으나 문헌 자료와 실증적 논증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실증적 관점의 ‘訓民正音’ 창제 목적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어디까지가 창제 목적이고 동기인지를 구분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문제를 내포하고 있고, 국어학적 논의를 벗어나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하는 연구들은 창제 목적과 소위 창제 효과를 구분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실증적 관점에서 국어학적 연구와 비국어학적 연구를 통합적으로 다루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고는 世宗 時代의 言語 政策과 政治?社會的 狀況과의 聯關性을 考察하여 ‘訓民正音’ 창제의 목적을 찾고자 하였고 그 결과로 ‘一般 百姓들의 文字 生活’, ‘改定된 우리 漢字音을 포함한 全面的인 우리말의 表記’를 ‘訓民正音’ 창제의 목적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for the objective of invention of the Hoonminjeongeum in view of the political state and state of a society in the King Sejong`s age. To do this. we take 3 methods. Firstly. we research the preceded study to analyze their faulty analysis. Secondly. we investigate the political state and state of a society in the King Sejong`s age. Lastly. we study deep into the relation between the objective of invention of the Hoonminjeongeum and the political state and state of a society in the King Sejong`s age. The preceded study about the objective of invention of the Hoonminjeongeum show us different results by research attitude. The nationalism study has the problem that they don’t have empirical demonstration. Also, the empirical perspective which has the point of Korean linguistic view study can’t tell us what is the objective of invention and what is the motive of invention. Furthermore, the study that has various point of view except Korean linguistic view can’t disentangle the objective of invention of the Hoonminjeongeum from the effect of invention of it. To study the objective of invention of the Hoonminjeongeum without faulty analysis, we advance an opinion that we have to consider he political state and state of a society in the King Sejong`s age. We think of the literacy life for the people and the sweeping writing of Korean language including revised the sound of the sino-Korean characters in the King Sejong`s age as the objective of invention of the Hoonminjeongeum i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 KCI등재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교육 내용에 관한 연구

        조재형(Cho, Chae-hyung),유해준(Yoo, Hae-jun),이유미(Yi, Yu-mi) 중앙어문학회 2013 語文論集 Vol.53 No.-

        Learning language is proportional to the understanding of culture on language. However, Learner who has no chance to experience Korean culture is facing limits because of a lack of cultural understanding.<br/> Meanwhile, there is only Korean language classroom which the Korean learners of foreign can experience Korean culture. If they cannot receive an education for Korean culture in Korean language classroom, they will not have chance to experience Korean culture.<br/> In this situation, they need the effective textbook for learning Korean language which has contents of Korean culture.<br/> The majority of learners who learn Korean language were grown in a society which is with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lso, they enter into a relation with Korean society and begin learning Korean language for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Therefore,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culture on learning Korean language is for understanding the mentality and attitude of Korean and make learners to members of society on Korean cultural area.<br/> Because of these, we suggest the materials development direction through analyzing the behavior cultural area on the textbook for Korean language.

      • KCI등재

        接辭性 漢字의 硬音化 考察

        趙宰亨(Cho, Chae-hyung) 중앙어문학회 2013 語文論集 Vol.55 No.-

        This studying is for the tensific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s in Sino-Korean word which are guessed as a quasi-suffix. Sino-Korean word makes various vocabulary with the characteristic word formation on our language life. At this time, Chinese characters can be a root or suffix. As Some the Chinese characters performance the function of suffix, they show us the feature that is different with the properties as a chinese character. Also, the sound of Sino-Korean characters can not be changed easily because of their conservatism. However, we can see the tensific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s which are guessed as a quasi-suffix. Therefore, to inquire into their tensification, firstly we investigated what is the tensification in Korean language. Secondly, we analyzed the feature of Chinese characters guessed quasi-suffix in the Sino-Korean word structure. Lastly, we tried to establish the cause of the tensification on Chinese characters in Sino-Korean word which are guessed as a quasi-suffix. From these discussion, we can say that Chinese characters which are guessed as a quasi-suffix are not suffix and they have just the attribute of suffix.

      • KCI등재

        `아기`의 어원(語原)에 대한 재고찰(再考察)

        조재형 ( Cho Chae-hyung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9 국제어문 Vol.47 No.-

        이 글의 목적은 `아기(?兒, 幼兒)`의 어원으로 인식하고 있는 `아지`의 차자표기에 대해 고찰하고 그 문제점을 파악하는 데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영아, 유아`를 의미하는 `아기`의 어원은 `아지`로 파악했다. 이러한 논의의 근거는 `아지`의 차자표기에 사용된 `-知, -智, -只, -之` 등의 한자음이 [지]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아기`의 어원이 `아지`라는 것에 대해 그동안 이견이 제시되지 않았다. 그러나 `아기`의 어원이 `아지`라는 의견은 인지언어학적인 관점, 음운론적인 관점, 한자음 변화상에서 살펴 볼 때,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고려시대 문헌에서의 `아기, 아가`의 차자표기와의 관련성을 볼 때, 더욱 그러하다. 본고는 이 문제점에 주목하여 이 연구는 지금까지 `아기`의 어원이 `아지`라는 의견의 제문제점을 고찰하고 오히려 `아기`에서 `아지`가 분파되었을 가능성을 논하고 입증하고자 하였다. 우선 `-知, -智, -只, -之`의 고대국어 시기의 음가가 [지]가 아님을 증명하기 위하여 중국 상고음에서 이들 漢字의 독음을 고찰하였다. 또한 고대국어 자료를 통해 이 漢字들의 독음이 [지]가 아닌 [기]에 가까운 것을 입증하였다. 또한 중세국어시기의 `아기`의 차자표기도 `아지`가 아닌 `아기`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논의들은 `아기`의 어원이 `아지`가 아님을 입증하는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A-ci` which is understood the origin of an A-ki and identify these issues in Sino-Korean on Ancient Korean under the loan-word transcription system of Korean. Because the sound of `-知, -智, -只, -之` in Sino-Korean on Ancient Korean under the loan-word transcription system of Korean has been comprehended [ci], the research so far in the etymology of `A-ki(baby)` has grasped that `A-ci` is the etymology of `A-ki and a different view has not been introduced. However, the research about he etymology of `A-ki has several points on cognitive linguistics and phonology with the diachrony of Sino sounds. Also, under the loan-word transcription system of Korean of `A-ki` and `A-ci` on Koryeo prove that the research is wrong. This paper takes notice of these issues and try to discuss and establish the possibility that `A-ci` branches from `A-ki`. To do this, we inquire into the sounds of `-知, -智, -只, -之` on Ancient Chinese and verify that their sound are closed to [ki] not [ci]. Futhermore, we authenticate that their sound are closed to [ki] not [ci] in Sino-Korean on Ancient Korean under the loan-word transcription system of Korean with comparing the example of `-知, -智, -只, -之` with the sounds of characters those can be replaced with them on documents in the Ancient Korean period. The facts we discussed above show that the `A-ci` is not the etymology of `A-ki` and `A-ki` is the etymology of `A-ci` on the contrary.

      • KCI등재

        고대국어시기의 冠形格助詞 ‘*-ra/reo’形의 再構

        조재형(Cho, Chae-Hyu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7

        본고는 고대국어시기에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관형격조사 ‘-ra/reo’形을 재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접근하였다. 첫째는 선행연구의 오류 분석이며, 둘째는 諸理論의 검토이며, 셋째는 자료의 철저한 분석이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고대국어시기의 형태소 재구의 문제점을 지적하였고, 특히 후대의 자료를 기반으로 하는 재구나, 고대국어시기의 한자음 연구의 소홀함을 지적하였다. 3장에서는 이른 시기의 국어에서 관형격과 부사격이 하나의 형태소에 의해 그 기능이 실현되었다는 점을 이론을 통해 관형격조사 ‘-ra/reo’形으로 보이는 자료들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2장과 3장의 이론적 검토를 통해 얻은 성과를 바탕으로 실재 고대국어 자료에서 여러 용례들의 검토를 통해 관형격조사 ‘-ra/reo’形을 재구하고자 하였다. 한편, 본고에서 다루고자 했던 것은 고대국어시기의 관형격조사 ‘-ra/reo’形의 재구이지만 이러한 논의의 과정을 통해 결과적으로 借字 ‘良’의 독음을 재구하여 ‘良’에 대응하는 형태소 모습을 재구하는데 도움을 줄 수도 있을 듯하다. 다만, 고대국어 자료의 빈약성으로 논의의 합리성을 충족시킬 만한 많은 자료를 다루지 못해 시원한 결과를 얻지 못함이 아쉬울 따름이나 이는 다음 기회에 좀 더 논의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for the reconstruction of genitive postposition ‘-ra/reo’ on the Ancient Korean period. To do this, we take 3 methods. Firstly, we research the preceded study to analyze their faulty analysis. Secondly, we review the theory those say the certain morpheme has two functions as a genitive postposition and locative postposition. Lastly, we inquire minutely into all examples on he Ancient Korean period. Especially, we research some examples those we think as a genitive postposition, and we check the sound of them on the Ancient Korean period. Also, In order to do this, we criticize the preceding research for the sound of ‘良’ in the Hyangchal(鄕札) and have a thorough grasp of the problem. Also we tried to proof the sound of ‘良’ is [ra/r?] in the Ancient Korean land-name, comparing with some examples which have character ‘良’. Meanwhile, to get universality about ‘良’, we investigate sound of the ‘良’ in the Ancient japanese and we found some examples that say the sound of ‘良’ is [ra/r?]. Furthermore, to proof that, we show some Altai languages. The facts we discussed above show that the sound of ‘良’ is [ra/r?] in Ancient Korean period and we can reconstruct a genitive postposition ‘-ra/reo’ on the Ancient Korean period.

      • KCI등재
      • KCI등재

        後期中世國語 時期의 副詞格助詞 ‘-에’와 敍述語의 關係 考察*

        조재형(Cho, Chae-Hyu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과학연구 Vol.0 No.49

        이 글의 목적은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부사격조사인 ‘-에’와 서술어와의 관계를 고찰하는 데에 있다. 현대국어의 ‘-에’가 지금의 통사적 기능을 지니게 된 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통시적 변천 양상을 考究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부사격조사 ‘-에’와 서술어 간의 관계를 ‘명사구 + 격조사(‘-에’) + 서술어’의 체계 안에서 격조사(‘-에’)의 운용은 체언의 의미적 특성보다는 격조사(‘-에’)의 의미 기능과 서술어 간의 의미적 특성에 의해 결정될 것이라는 관점에서 논의를 하였다. 논의를 위해 본고에서는 15, 16세기 훈민정음 표기 말뭉치 자료를 말뭉치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런 논의에서 나온 결과를 토대로 ‘-에’와 서술어 간의 관계를 자세히 살펴볼 수 있었고, ‘-에’의 다양한 기능 의미들이 그 기본 의미에서 어떻게 확장되었는가도 고찰할 수 있었다. 그동안 부사격조사의 연구에 대한 한계로 지적받았던 수의적 의미 해석 또는 계량적 방법을 통한 일차원적인 의미파악의 문제점을 이 연구에서는 두 연구 방법의 통합을 통해 부분적으로 해소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verbial case marker ‘-e(에)’ and the predicate in the late medieval Korean. The reason of doing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syntactic function of an adverbial case marker ‘-e(에)’in diachronic change. In order to do this, firstly, we have the perspective that management of a case marker ‘-e(에)’in the system ‘noun phrase + case marker ‘-e(에)’ + predicate’ is decided by the semantic chracteristics between the semantic function of adverbial case marker ‘-e(에)’ and the predicate, not the the semantic chracteristics of noun phrase. Also, secondly, we analyzed the Hunminjongum notation corpus data on 15c~16c with an analytical program for corpus data. A result of this research gave us the opportunity that we examine in detai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verbial case marker ‘-e(에)’ and the predicate in the late medieval Korean and we search how the basic meaning of an adverbial case marker ‘-e(에)’ expanded into the various function meaning of an adverbial case marker ‘-e(에)’. Through this research, we partially tried to get rid of the problems of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or a voluntary semantic analysis those have been pointed as limits for the research of adverbial case markers.

      • KCI등재

        ‘-에’와 敍述語의 關係 考察

        조재형(Cho, Chae-hyung),유해준(Yoo, Hae-jun)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4 No.-

        이 논문의 목적은 국어 문장 내에서의 부사격조사 ‘-에’와 서술어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에 있다. 선행연구들을 살피면 대체로 ‘-에’의 다양한 의미 기능이 형성될 때의 요소나 형성 조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논의하지 않고 있다. ‘-에’의 기본의미가 ‘-에’가 명사와 용언이 맺는 통사․의미적 관계를 표시한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 없으나 ‘-에’의 의미역의 범주는 명사와 용언 사이의 논리․의미적 관계를 뜻하는 독립적인 범주로서 ‘-에’의 기본의미와는 구별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위해 말뭉치 자료의 분석을 통해부사격조사 ‘-에’와 서술어 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말뭉치 자료 분석을 통해 다양한 ‘-에’의 의미가 사전의 배열 순서와는 다른 빈도수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기본적으로 ‘처소’를 의미하는 ‘-에’의 의미가 추상화를 통해 ‘상태’로, 그 의미 영역이 확대 되었고, ‘원인’까지 확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verbial case marker ‘-e (에)’ and the predicate. Previous research on ‘-e (에)’ has not discussed in a concrete manner the conditions on its semantic function. The basic meaning of ‘-e (에)’ as indicating a meaningful syntactic relationship between a noun phrase and a predicate cannot be denied. It therefore seems reasona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 thematic role of ‘-e (에)’ as indicating a logical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a noun phrase and a predicate, and its basic meaning. To address this issue, w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e (에)’ and the predicate through corpus analysis. Through the corpus analysis, we ascertained that the frequency of the several meanings of ‘-e (에)’ was quite distinct from the order of their arrangement in a dictionary. Furthermore, we discuss the abstract concept of ‘-e (에)’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ituation it indic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