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까시나무림의 군락분류와 군락생태

        조광진,김종원 한국생태학회 2005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8 No.1

        The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L.) forests were studied by a phytosociological approach.Particular atention was given to characterize the vegetation classification, distribution pattern, and ecological flora of the syntaxa classified. A total of 38 releves were analyzed by using Corelation coeficient, UPGMA as character sets such as scrambler, annual and biennial plants, forest elements, and actual urbanization index. The analyzed data are based on site-releve matrix with relative net contribution degree (r-NCD) of species. A total of 77 families, 193 genera and 323 species of vascular plants are recorded. Camellino-Robinietum pseudoacaciae ass. nov. and Phragmites-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were described. Main cluster and ordination could be separated: 1) urban type, 2) rural type, 3) riparian type, and 4) combined type. It is defined that the Robinietum is a representative unit on the black locust afforestation, Phragmites-Robinia community on lino-Robinietum ailanthetosum altissimae as an urban forest type. The Robinietum was considered as a perpetual community.

      • KCI등재

        농업생태계에서 농경지유형에 따른 C<sub>4</sub>식물의 출현과 분포

        조광진,오영주,강기경,한민수,나영은,김미란,최락중,김명현,Cho, Kwang-Jin,Oh, Young-Ju,Kang, Kee-Kyung,Han, Min-Su,Na, Young-Eun,Kim, Miran,Choe, Lak-Jung,Kim, Myung-Hyun 한국농림기상학회 2013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논, 밭, 과수원, 도로변에 생육하고 있는 식물상을 조사하여 $C_4$식물의 분포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현장조사는 2002년부터 2006년까지 5년간 수행되었다. 그 결과, 총 74과 231속 352종이 확인되었으며, 쌍자엽식물 255종, 단자엽식물 89종, 양치식물 8종으로 분류되었다. 농경지유형별로는 논에서 55과 203종, 밭에서 49과 218종, 과수원에서 44과 115종, 도로변에서 48과 202종이 출현하였다. 본 조사를 통하여 논은 쑥과 고마리, 밭과 도로변은 쑥과 개망초, 과수원은 닭의장풀과 바랭이로 대표되며 농업생태계에서 출현율이 가장 높은 식물은 쑥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출현식물 중 $C_4$식물은 8과 25속 38종으로 확인되었으며, 논, 과수원, 도로변에서는 $C_4$ 단자엽식물의 출현율이 높았으며 밭에서는 다른 농경지유형에 비해 쌍자엽식물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이러한 $C_4$식물의 출현율 차이는 고온 건조한 우리나라 밭 주변 식물서식환경을 반영하고 있으며, 논과 과수원은 상대적으로 습윤한 미기후조건에서 건조조건이 아니라 온도조건에 의해 $C_4$ 단자엽식물이 분포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농업생태계를 대표하는 $C_4$식물 중 단자엽식물은 바랭이와 닭의장풀이며 쌍자엽식물은 개비름과 명아주로 확인되었다. 본 조사에서 총 47종의 귀화식물이 확인되었으며 토양의 수분환경조건이 상대적으로 건조한 밭과 도로변에서 많은 귀화식물이 출현하였다. 귀화식물 가운데 $C_4$ 식물은 비름속의 개비름과 털비름 2종으로 나타났으며, 단자엽식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농경지유형에 따른 대표적인 $C_4$식물의 분포특성이 확인되었으며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의 상승으로 고온에 적응성이 높은 $C_4$식물의 새로운 유입과 이미 유입된 종 가운데 농업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래식물의 확산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In order to search for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n C4 plants at the paddy fields, uplands, orchard and roadside in South Korea, vascular plants were investigated. Flora investigation had been carried out from May 2002 to October 2006 at 241 plots. In the results of survey, the flora of these areas consist of 74 families, 231 genera and 352 species totally. The class frequencies were arranged by the order of Magnoliopsidae (255 species), Monocotyledoneae (89 species), Pteropsida (7 species) and Sphenopsida (1 species). The number of species in each investigated agricultural field types was 55 families with 203 species in paddy field, 49 families with 218 species in uplands, 44 families with 115 species in orchard and 48 families with 202 species in roadside respectiviely. Representative species compositions of these four agricultural field types were characterized by Artemisia princeps, Persicaria thunbergii in paddy field, Artemisia princeps, Erigeron annuus in upland and roadside, Commelina communis, Digitaria ciliaris in orchard, respectively. Therefore, indicative species in agricultural ecosystem was Artemisia princeps. Among the investigated 352 species, $C_4$ plants identified were 38 species, and the occurrence ratio of $C_4$ monocotyledonous plants were higher in paddy field, orchard and roadside than upland. Such differences in the occurrence ratio of $C_4$ plants under diverse agricultural field types reflect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condition such as micro-climate, soil moisture under various agricultural fields. Dominant $C_4$ monocotyledonous plants were Digitaria ciliaris and Commelina communis, while $C_4$ dicotyledonous plants were Amaranthus mangostanus and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in agricultural fields.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47 species and occurrence ratio were higher in upland and roadside than other agricultural field types. Among the investigated naturalized plants, $C_4$ plants were Amaranthus mangostanus and Amaranthus retroflexu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ve $C_4$ plants in agricultural field types, revealed that the projected increase in temperature due to climate change may provide better conditions for the growth of $C_4$ plants. Thus, the necessity of long-term monitoring should be conducted on the diffusion of $C_4$ plants that may threaten influence agroecosystem in Korea.

      • 경북 고령군 미숭산 일원 생태숲 조성지 주변 산림식생의 군락특성

        조광진,박인환,김명현,김혜영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4 대구경북연구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ecologically applicable information when planning the ecological forest throughout the phytosociological investigation in ecological forest site of Goryeong-gun, Gyeongbuk. In this study, a total of 31 vegetation data containing 170 taxa collected and analyzed and 9 plant communities were classified. Ec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including plant composition, community structure, distribution pattern and so on. In the Lindera erythrocarpa-Pinus densiflora community, the endangered species Ⅱ degree Aconitum austrokoreense Koidz., lis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was recorded. In Quercus mongolica community, Korean endemic plant Stewartia pseudocamellia Maxim. was observed. The valley of study area was dominated by Lindera erythrocarpa Makino. 31 relevé were analyzed by using coefficient of squared Euclidean distance of 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 for ordination analysis. The mountainous topography and soil moisture condition were the main ecological factor determining the distribution of the classified plant communities. The ecological information of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a basic data for ecological experience program and ecological education space. 본 연구는 경북 고령군 생태숲 조성지에 분포하는 산림식생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조사를 통하여 생태숲 계획시 적용가능한 생태학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31개 지점에서 170분류군을 포함하는 9개 식물군락이 분류되었으며 각 군락별 종조성, 군락구조, 분포양식 등에 대한 생태적 특성이 규명되었다. 소나무-비목나무 군락에서는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야생식물 Ⅱ급인 세뿔투구꽃이 관찰되었고 신갈나무 군락에서는 한국 특산식물인 노각나무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산지 계곡에는 비목나무가 우점하고 있었다. 31개의 식생자료와 환경요소와의 경향성분석을 위해 PCoA에 의한 좌표결정법, 유클리디언거리계수가 이용되었고 그 결과 토양의 수분조건과 산지지형이 식물군락의 분포를 결정하는 주요 생태적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밝혀진 연구지역에 대한 생태적 정보는 생태교육 및 생태체험 프로그램의 재료 및 공간으로 높은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 비슬산 참꽃문화제 방문객의 이용행태와 만족도분석을 통한 축제의 개선점 제안

        조광진,박인환,성지영,김혜영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5 대구경북연구 Vol.14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uggest improvements of Biseulsan(Mt. Biseul) azalea cultural festival through the visitor's behaviors and satisfaction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of visito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bout the two trail(Trail-A: Yugasa direction from Daegueonsaji, Trail-B: Maryeongjae direction from Daegueonsaji), the visitors who used the Trail-A tended to climb down the mountain toward the Bisul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after entering with small groups composed of friend or family into the Bisul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But the visitors who used the Trail-B tended to climb down the mountain toward the Bisul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after entering with large groups composed of club members into the Yugasa. In order to see the azalea habitat and climb the summit, they used Trail-B. Improvements of this festival showed to improve growth environment of azalea and to held this festival during the azalea blooming period through the correct prediction of blooming period. The educational and informative festival contents were necessary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in Biseulsan Azalea Cultural Festival. And the public relations through the media outlets were required. 본 연구는 방문객의 이용행태를 분석하여 비슬산 참꽃문화제의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수행하였다. 주요 등산로 2곳(A 등산로; 대견사지를 기점으로 유가사방면으로 향하는 등산로, B등산로; 대견사지를 기점으로 마령재방면으로 향하는 등산로)의 탐방객 이용행태를 분석한 결과, A 등산로를 이용하는 탐방객은 가족 또는 친구와 함께 소규모로 자연휴양림으로 입장한 후 다시 자연휴양림으로 하산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 B 등산로를 이용하는 탐방객은 정상등반과 군락지 감상을 목적으로 동호회 사람들과 함께 단체로 유가사로 입장한 후 자연휴양림으로 하산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축제의 개선점은 진달래의 생육환경개선과 진달래의 개화시기를 정확하게 예측하여 개화기간 중에 축제가 개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방문객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교육적이고 유익한 축제내용을 보강하고 언론매체를 통한 홍보를 활성화해야 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한국 동부지역 밭잡초의 생태적 특성

        조광진,오영주,이욱재,최정오,손수인,김명현,양동우,김창석 한국잔디학회 2015 Weed & Turfgrass Science Vol.4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pattern of weed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n the dry field in the Eastern region of Korea. The weed species data were obtained from 12 regions in Gangwon-do and Gyeongsang-do. 150 taxa were recorded from three main distinguished habitats; inside of dry field (IDF), embankment around the end of dry field (EDF), levee slope of dry field (LS). The weed species of three different habitats were IDF 83 taxa, EDF 133 taxa and LS 105 taxa. The species showing higher rNCD value was Portulaca oleracea in IDF, Digitaria sanguinalis in EDF and Humulus japonicus in LS. Compositae was dominant family followed by Gramineae, Polygonaceae and Leguminosae. Life form was distinguished as Th-R5-D4-e and three different habitats showed the same results. Disturbance index was analysed as IDF 83.1%, EDF 68.4%, and LS 62.9%. Naturalized rate was analysed as IDF 28.9%, EDF 22.6%, and LS 20.0%.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weeding management, land use intensity, and human interference effect on the distribution index and naturalized rate of weed.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동부지역(강원도, 경상남도, 경상북도)의 밭에서 발생하는 잡초의 분포현황 및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조사결과 밭내부(IDF), 밭둑(EDF), 경사면 식처도 동일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교란지수는 작물을 직접적으로 재배하는 밭내부가 83.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밭둑 68.4%, 경사면 62.9% 순이었고 귀화율도 밭내부가28.9%, 밭둑이 22.6%, 경사면 20.0%로 조사되었다. 밭에서서식처의 안정성은 밭잡초의 교란지수, 귀화율, 제초관리, 토지이용 강도나 인위적 간섭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판단되었다.

      • KCI등재

        만경강 신천습지의 식물군락별 종조성적 특성

        조광진,이정아,임정철,추연수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2 환경영향평가 Vol.31 No.6

        하도습지는 하천 생태계의 중요한 요소로 지금까지 조사된 내륙습지 목록의 약 38%를 차지하고 있다. 만경강에 위치한 신천습지 또한 보 축조로 유속이 느려지고 퇴적물이 쌓이면서 형성된 하도습지이다. 신천습지의 보전 가치와 생태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식생 및 식물 다양성을 파악하였으며, 총 45개의 식생자료가 수집되었다. 총 153분류군(49과 117속 146종 2아종 5변종)으로 구성된24개 식물군락이 구분되었다. 종조성적으로 군락별 출현율이 가장 높은 식물은 환삼덩굴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소리쟁이, 참새귀리, 개망초, 쑥 등과 같이 이차초지에서 생육하는 일년생 초본 식물종이 빈번하게관찰되었다. 귀화식물은 38분류군이 조사되었고 도시화지수는 10.3%, 귀화율은 24.8%로 분석되었다. 식물군락은 크게 침수식생, 부엽 및 부유식생, 일이년초본식생, 다년생초본식생, 목본식생으로 분류되었다. 일정 수심을 유지하며 유속이 느린 유수역과 정수역, 간헐적 수위변동을 경험하는 연안대, 건조한 고수부지 환경 등 다양한 서식공간을 반영하는 식물군락의 분포가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식물군락 발달은 야생생물에게도 서식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생물다양성 증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농업생태계에서 농경지유형에 따른 C4식물의 출현과 분포

        조광진 ( Kwang Jin Cho ),오영주 ( Young Ju Oh ),강기경 ( Kee Kyung Kang ),한민수 ( Min Su Han ),나영은 ( Young Eun Na ),김미란 ( Mi Ran Kim ),최락중 ( Lak Jung Choe ),김명현 ( Myung Hyun Kim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3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논, 밭, 과수원, 도로변에 생육하고 있는 식물상을 조사하여 C4식물의 분포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현장조사는 2002년부터 2006년까지 5년간 수행되었다. 그 결과, 총 74과 231속 352종이 확인되었으며, 쌍자엽식물 255종, 단자엽식물 89종, 양치식물 8종으로 분류되었다. 농경지유형별로는 논에서 55과 203종, 밭에서 49과 218종, 과수원에서 44과 115종, 도로변에서 48과 202종이 출현하였다. 본 조사를 통하여 논은 쑥과 고마리, 밭과 도로변은 쑥과 개망초, 과수원은 닭의장풀과 바랭이로 대표되며 농업생태계에서 출현율이 가장 높은 식물은 쑥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출현식물 중 C4식물은 8과 25속 38종으로 확인되었으며, 논, 과수원, 도로변에서는 C4 단자엽식물의 출현율이 높았으며 밭에서는 다른 농경지유형에 비해 쌍자엽식물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이러한 C4식물의 출현율 차이는 고온 건조한 우리나라 밭 주변 식물서식환경을 반영하고 있으며, 논과 과수원은 상대적으로 습윤한 미기후조건에서 건조조건이 아니라 온도조건에 의해 C4 단자엽식물이 분포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농업생태계를 대표하는 C4식물 중 단자엽식물은 바랭이와 닭의장풀이며 쌍자엽식물은 개비름과 명아주로 확인되었다. 본 조사에서 총 47종의 귀화식물이 확인되었으며 토양의 수분환경조건이 상대적으로 건조한 밭과 도로변에서 많은 귀화식물이 출현하였다. 귀화식물 가운데 C4 식물은 비름속의 개비름과 털비름 2종으로 나타났으며, 단자엽식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농경지유형에 따른 대표적인 C4식물의 분포특성이 확인되었으며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의 상승으로 고온에 적응성이 높은 C4식물의 새로운 유입과 이미 유입된 종 가운데 농업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래식물의 확산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In order to search for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n C4 plants at the paddy fields, uplands, orchard and roadside in South Korea, vascular plants were investigated. Flora investigation had been carried out from May 2002 to October 2006 at 241 plots. In the results of survey, the flora of these areas consist of 74 families, 231 genera and 352 species totally. The class frequencies were arranged by the order of Magnoliopsidae (255 species), Monocotyledoneae (89 species), Pteropsida (7 species) and Sphenopsida (1 species). The number of species in each investigated agricultural field types was 55 families with 203 species in paddy field, 49 families with 218 species in uplands, 44 families with 115 species in orchard and 48 families with 202 species in roadside respectiviely. Representative species compositions of these four agricultural field types were characterized by Artemisia princeps, Persicaria thunbergii in paddy field, Artemisia princeps, Erigeron annuus in upland and roadside, Commelina communis, Digitaria ciliaris in orchard, respectively. Therefore, indicative species in agricultural ecosystem was Artemisia princeps. Among the investigated 352 species, C4 plants identified were 38 species, and the occurrence ratio of C4 monocotyledonous plants were higher in paddy field, orchard and roadside than upland. Such differences in the occurrence ratio of C4 plants under diverse agricultural field types reflect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condition such as micro-climate, soil moisture under various agricultural fields. Dominant C4 monocotyledonous plants were Digitaria ciliaris and Commelina communis, while C4 dicotyledonous plants were Amaranthus mangostanus and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in agricultural fields.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47 species and occurrence ratio were higher in upland and roadside than other agricultural field types. Among the investigated naturalized plants, C4 plants were Amaranthus mangostanus and Amaranthus retroflexu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ve C4 plants in agricultural field types, revealed that the projected increase in temperature due to climate change may provide better conditions for the growth of C4 plants. Thus, the necessity of long-term monitoring should be conducted on the diffusion of C4 plants that may threaten influence agroecosystem in Korea.

      • 05 포스터 발표 : 자연생태 환경 분야(PN) ; 제주도 밭 경작지에 생육하는 식물의 다양성

        조광진 ( Kwang Jin Cho ),김명현 ( Myung Hyun Kim ),최락중 ( Lak Jung Choe ),최순군 ( Soon Kun Choi ),김민경 ( Min Kyeong Kim ),정구복 ( Goo Buk Jung ),홍성창 ( Seong Chang Hong ) 한국환경농학회 2014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4 No.-

        제주도는 지리적으로 동해와 황해 그리고 동중국해를 접하고 있어 겨울에도 따뜻하며, 연중 바다의 영향을 많이 받는 독특한 기후조건을 나타낸다. 토양은 대부분 화산회토로 산성이 강하고 비옥도가 낮은 편이어서 우리나라의 타 경작지와는 다른 독특한 식물생육조건을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생육환경을 기반으로 살아가는 제주도 밭경작지 식물의 생태적 특성 또한 특이할 것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는 제주도 밭경작지 내 생육하는 식물상의 다양성을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농업환경의 변동양상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현장조사는 2013년 제주시 한림읍 2지역과 서귀포시 성산읍 2지역을 대상으로 6월과 9월 2차례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밭내부와 돌담을 포함한 밭둑 그리고 경사면으로 서식처를 세분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제주도 밭경작지에는 68과 173속 194종 38변종 5품종으로 총 237분류군이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서식처 유형별로는 밭 내부에서 38과 121분류군이, 밭둑에서 68과 217분류군이, 경사면에서 29과 71분류군이 출현하였고 밭둑에 가장 많은 식물종이 관찰되었다(Table 1). 경사면에서 식물종의 출현빈도가 낮은 이유는 조사지역 일원의 밭경작지는 대부분 평지에 위치하고 있어 밭과 밭사이에 경사면이 넓게 발달하고 있지 않아 다른 서식처 유형에 비해 조사면적이 협소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과별 분포 특성을 살펴보면, 국화과(Compositae)가 11.8%로 가장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고 다음으로 벼과(Gramineae; 10.5%), 백합과(Liliaceae; 5.5%), 콩과(Leguminosae; 4.6%) 마디풀과(Polygonaceae; 3.8%) 등의 순이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제주도 밭경작지의 식물상 현황은 생물자원을 활용하여 농업생태계의 환경변동성을 평가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