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捷解新語』における日本語表記とハングル音注

        조래철 한국일본어문학회 2008 日本語文學 Vol.39 No.-

        本稿は、『捷解新語』の原刊本(1676)、改修本(1748)、重刊本(1781)に見られる日本語本文の판名表記とハングル音注について、それぞれの表記面の基本的な實態を調査·考察し、日本語學習書としての판名表記及びハングル音注の性質を檢討したものである。日本語本文の판名表記を調査·考察した結果、平판名で表記されている판名表記は日本語の―音節に一文字という原則が見られており、大體において表音的であることが分かる。また、原刊本、改修本における판名表記は、特殊な表記が用いられている場合があるが、重刊本の場合は大體に現代の판名遣いとして改修されていることが分かる。一方、日本語本文の右側にあるハングル音注を調査·考察した結果、表記が復雜であり、表記法が一貫していないため、一つ一つの音價を明らかにすることは困難であることが分かる。しかし、『捷解新語』が朝鮮語母語話者のための日本語學習書であることに重点をおいて考察してみると、特殊音素である促音·機音·長音、濁音、重ね子音等のハングル音注は、大體に판名表記に對應して規範的なハングル表記が用いられていることが明らかである。これは日本語と朝鮮語の音韻體系と文字法を考慮し、朝鮮語母語話者の立場から日本語を效率よく學習させようとした結果であると思われる。

      • KCI등재

        『捷解新語』における清音と濁音のハングル音注 - 単子音と重ね子音の用例を中心に -

        趙來喆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4 일본학연구 Vol.42 No.-

        본고는 『捷解新語』의 일본어 청음과 탁음의 한글음주인 단자음과 중자음 용례를 중심으로 조사・고찰한 것 이다. 청음과 탁음의 개별적조사만이 아니라 『捷解新語』전체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여 다 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① 청음의 한글음주가 원간본에서 중간본에 걸쳐 어중・어말 환경에서 중자음을 유지하는 것은 조선어 어중의 무성자음이 유성자음이 되어 탁음의 단자음과 혼동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② 원간본에 주로 사용된 한글음주 ㄸ(tt)를 개수본 이후 ㄷ(t)으로 통일함으로서 촉음과 그 밖의 청음표기인 ㄸ(tt)와 혼동을 해소하여, 한글음주로 양자를 역할 분담시켜 일본어학습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③ 탁음의 한글음주에는 비음적 요소 또는 단자음이 사용되고 청음의 한글음주에는 단자음 또는 중자음이 사 용되고 있다. 특히, 탁음과 청음의 구별에서 가장 혼동하기 쉬운 ダ行音・タ行音의 경우, ダ行音의 한글음주로 t가 사용되고 タ行音의 「た」「て」에는 중자음이, 促音「つ」는 선행음절에 -t가 사용되어 양자를 한글음주로서 변 별하고 있다. ④ 원간본에서 중간본까지 탁음의 중자음 36용례 중에서 30예가 タ行의 濁音이다. 그 이유로 ガ行의 ㄲ(kk)과 ㅇㄱ(ŋk)의 표기는 구별하기 쉬운데 비해, ダ行의 ㄸ(tt)과 ㄴㄷ(nt)은 구별하기 어려워 ㄴㄷ(nt)을 ㄸ(tt)으로 잘못 표기한 결과라고 생각한다. This paper researches both Voiceless consonants and Voiced consonants based on practical examples in the Japanese language. We analyze them independently as well as integrally and draw some conclusions as follows. ① The reason that Transcriptions of Hangul of Voiceless consonants keep the Germination in the middle or in the end of words throughout both ‘GENKANBON’(原刊本) and ‘JYŪKANBON’(重刊本) is to minimize the confusion between the Lax consonants of Voiceless consonants and the Voiced consonants inflected from Voiceless consonants of the Korean language. ② Standardizing tt of Transcriptions of Hangul mainly used in ‘GENKANBON’(原刊本) to t used since then, we resolve the confusion between ‘Soku-on’(促音) and tt of other notations. Japanese learning can take advantage of using this standardization along with replacing both for Transcriptions of Hangul. ③ Nasal character or Lax consonants have been used in the Voiced consonant of Transcriptions of Hangul, and Lax consonants or Germinations have been used in the Voiceless consonant of Transcriptions of Hangul. In especially differentiating between Voiced consonants and Voiceless consonants, we draw a line using t mainly used as Transcriptions of Hangul in the most confusing case of ‘Dagyō-on’(ダ行音)・‘Tagyō-on’(タ行音), Germinations in ‘Ta’「た」 and ‘Te’「て」 of ‘Tagyō-on’(タ行音), and -t in Consonant in a Preceding Syllable of ‘Soku-on’(促音)「つ」. ④ Thirty examples are Voiced consonants of ‘Tagyō’(タ行) among thirty six examples of Voiced Germinations from ‘GENKANBON’(原刊本) to ‘JYŪKANBON’(重刊本). We think that ㄴㄷ(nt) is marked wrongly as ㄸ(tt) because it is too hard to distinguish ㄸ(tt) with ㄴㄷ(nt), while the notation of both ㄲ(kk) and ㅇㄱ(ŋk) is easily recognized.

      • KCI등재

        朝鮮資料における朝鮮語対訳とハングル音注配置 -『捷解新語』改修本を中心に-

        趙來喆 한국일본근대학회 2012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36

        This Article is about examination of translations and transcriptions for the revision copy of "Shokai-ShiNgo"(捷解新語). According to the result, unlike the arrangement of transcriptions in Korean, translations for Japanese texts and transcriptions are basically spelled by form of corresponding one-by-one. Whereas, "Soku-oN"(促音), "Hatsu-oN"(撥音), "You-oN"(拗音), "Zetsunai-Nissyou-oN"(舌内入声音) transcriptions for the Japanese texts are spelled by the form of two-by-one or three-by-one instead being spelled by the form of one-by-one. It is noticeable it is a general way to spell Hangul transcriptions between letters. This is because "Shokai-ShiNgo"(捷解新語) is made for korean people, who got used to korean phonological systems and the principle of spelling korean, they considered about the arrangement of transcriptions to make learners learn the right Japanese pronunciation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日本語史における音韻?化の考察 - いかに日本語?育に役立てられるか-

        趙來喆 한국일본어문학회 2018 日本語文學 Vol.76 No.-

        본 연구는 음성, 음운과 관련성이 깊은 오십음도(五十音?)와 「いろは」의 역사, 그리고 모음의「ア行音·ヤ行音·ワ行音」의 변화와 자음의 「サ行子音·タ行子音·ハ行子音」등 일본어사의 음운변화에 대해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기술하여 일본어사의 다양한 음운변화 고찰을 통하여 현대 일본어교육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먼저 현대일본어에서 五十音?의 反名가 45종류 밖에 사용되지 않는 것은 ア行音·ヤ行音·ワ行音의 혼동, 합류에 기인함을 밝혔으며, 江戶時代이후 ヤ行音·ワ行音이 ア行音에 합류하게 됨으로써 고대일본어에서 어두에만 위치하던 모음 음절이 어중에서도 나타나게 되는 현상 및 ハ行子音p>Φ(f)>h의 역사적 변화와 ハ行?呼音의 일련의 변화는 결국 장모음, 이중모음 발생과 연관성이 있음을 밝혔다. 또한 サ(ザ)行子音이 파찰음에서 마찰음으로 변화가 완료되는 시점은 タ(ダ)行子音チツ(ヂヅ)의 파찰음화가 시작된 시점과 관계가 있으며, タ(ダ)行子音チツ(ヂヅ)의 파찰음화가 완료된 시점과 「四つ反名」ジ:ヂ、ズ:ヅ가 혼동되는 시점과 관련되어 있음을 명확히 하였다. The study focused on the history of “Gojyuonzu(五十音?)” and “いろは”, and the changes in vowels(ア行音·ヤ行音·ワ行音) and consonants(サ行子音·タ行子音·ハ行子音)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phonological changes of Japanese history. How to facilitate the education of modern Japanese by using phonological changes in the history of the Japanese.The 45 types “Kana(反名)" of “Gojyuonzu(五十音?)” are used in modern Japanese because of it is confusion and merger with Kana's(ア行音·ヤ行音·ワ行音) pronunciation and letter. In the Edo period, “Jagyo-oN(ヤ行音)·Wagyo-oN(ワ行音)” will join “Agyo-oN(ア行音)”, with vowels, which existed only in the beginning, in the ancient Japanese language, also appearing in the middle of the word. In addition, historical changes of “Hagyo(ハ行)consonant”(p>Φ(f)>h) and interlinked changes of “Hagyotenko-oN(ハ行?呼音) result in the generation of long vowel, double vowel. Finally, the time when “Sagyo(サ行)·Zagyo(ザ行)consonant” changes from affricatement to fricativeness is related to the time when “チツ(ヂヅ)” affricationalization starts and the time when “チツ(ヂヅ)” affricationalization ends and “ジ:ヂ、ズ:ヅ” is confuse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