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곡사 소장 典籍 연구: 사적기와 세조본 『고려대장경』을 중심으로

        申銀齊(Shin Eunjae) 미술사연구회 2021 미술사연구 Vol.- No.41

        본 논문에서는 마곡사 소장 전적을 분류하여 간략하게 소개한 뒤, 사적기와 세조본 『고려대장경』을 분석하였다. 마곡사 사적기에 의하면 마곡사는 13세기 전반 대대적인 정비를 거쳐 고려 후기 크게 성장하였고 이는 15세기까지 지속되었다. 16세기 들어 마곡사는 사세가 축소되었으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특히 대규모 화재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 마곡사는 17세기 중반 이후 공주목의 후원과 인영 등 승려들의 노력으로 대대적인 중창이 이루어졌고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마곡사 소장 불교 경전 가운데에는 국내에서 확인하기 어려운 『고려대장경』 세조본이 3책 포함되었다. 3책은 『대방광불화언경』(주본) 66~70권 1책, 『불소행찬』 2~5권 1책, 『우바새계경』 6~7권 1책이다. 마곡사 세조본을 분석해보면 『고려대장경』 세조본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세조본은 책의 크기가 가로 29cm, 세로 40cm 내외이며 표지는 황지로 연화문이 능화로 제작되어 있고 경전명은 쌍곽 안에 필사되었다. 쌍곽 아래 함차가 표기되었다. 붉은 금색을 띠는 실로 5침 선장되었다. 내지에는 좌우 변란이 인경되지 않았다. 마곡사 세조본은 문헌에 기록된 순왜지와 교왜지로 인출한 경전의 잔본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briefly introduces the publications (jeonjeok, 典籍) owned by Magoksa Temple and analyzes the historical record (sajeokgi, 事蹟記) and the woodblock-printed Tripitaka Koreana published during King Sejo’s reign. According to the historical record of Magoksa Temple, Magoksa Temple was extensively renovated in the 13th century and continued to grow in the late Goryeo Dynasty period until the 15th century. In the 16th century, it became smaller and suffered damage particularly due to huge fires when Japan and Qing invaded Joseon Korea in 1592 and 1636 respectively. After the mid-17th century, it was rebuilt on a large scale to become what it is today, through the efforts of Buddhist monks including Inyoung and sponsored by Gongju-mok, one of Joseon’s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Buddhist scriptures that owned by the Magoksa Temple include 3 sets of the woodblock-printed Tripitaka Koreana published during King Sejo’s Reign. These consist of: one set of the Avatamsaka Sutra (The Flower Garland Sutra), Zhou Version of Volume 66~70; one set of the Buddhacarita, Volume 2~5; and one set of the Ubasaeo Gyesanggyeong, the First Tripitaka Koreana Edition, Volume 6~7. In Korea, there are only a few remaining woodblock-printed Tripitaka Koreana that were pu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This analysis of the woodblock-printed Tripitaka Koreana published during King Sejo’s reign owned by the Magoksa Temple demon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printed books of the period. The books are about 29cm in width and 40cm in length. Their covers are made of yellow paper and have lotus patterns created by using a pattern board called neunghwapan. The title of each scripture is transcribed on a title strip within a double square border called ssanggwak. Hamcha, an order based on the Thousand-Character Classic, is marked under the ssanggwak on each book. They are bounded with reddish-gold threads at 5 points. The inner papers have no lines called byeonran on the left sand right to mark the border around the sheet. The woodblock-printed Tripitaka Koreana pu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owned by Magoksa Temple seem to be the only remaining books of these venerated Buddhist scriptures that are recorded in the literature to be printed on sunweiji and gyoweiji, materials made out of Japanese mulberry pap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