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성과평가시스템 회계정보의 적합성이 역기능적 행위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신현대,이정기 한국회계정보학회 2006 회계정보연구 Vol.24 No.1
신현대**이정기*** Shin, Hyun Dai*Lee, Jung Ki**
다발성 손상에서 발생한 전위성 쇄골 간부 골절의 보존적 치료
신현대,이광진,김영모,우세민,송호섭 대한골절학회 2004 대한골절학회지 Vol.17 No.4
목적 : 보존적 방법으로 고에너지 손상에 의한 다발성 손상에서 발생된 쇄골 간부 골절을 치료하는 것이 저에너지 손상에 의한 쇄골 간부 단독 골절에서 만큼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쇄골간부 단독 골절과 쇄골 간부 골절을 포함한 다발성 손상으로 진단받고 쇄골 골절에 대해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성인 환자들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48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쇄골 간부 단독 골절만 있는 경우가 12례, 다발성 손상에서 쇄골 간부 골절이 동반된 경우가 36례였다. 골절 정도에 따라 단순 전위만 있는 골절을 A형(단순 방사선 사진상 골절면의 접촉 비율이 50% 이상인 경우를 A1, 50% 미만인 경우를 A2), 그리고 분쇄 골절을 B형으로 분류하여 단독 골절군과 다발성 손상군에서의 골유합 시기, 불유합 비율, 임상적 결과 등을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 쇄골 간부 단독 골절군에서 골절 양상은 A1형 7례, A2형 4례 그리고 B형이 1례였고, 다발성 골절군에서는 A1형 8례, A2형 16례 그리고 B형이 12례였다, 쇄골 단독 골절군 12례 중 1례에서 불유합이 발생하였고, 11례는 평균 2.91개월에 골유합 소견이 나타났다. 쇄골 골절을 포함한 다발성 손상군에서는 36례 중 7례에서 불유합이 발생하였고, 29례는 평균 3.58개월에 골유합 소견이 나타났다. 임상적 결과는 우수 이상인 경우가 쇄골 단독 골절군에서 8례 (67%), 다발성 손상군에서 19례 (53%)였다. 추후 불유합으로 수술을 시행한 8례 모두 골유합 소견을 보였다. 결론 : 쇄골 골절의 치료는 전위가 있더라도 보존적 치료가 원칙이지만, 성인의 다발성 손상에서 발생안 쇄골 간부 골절에서 불유합의 발생 가능성은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으나 (P value=0.183 Fisher's exact test), 쇄골 단독 골절에 비해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 보존적 치료시 불유합 발생 가능성 항상 염두해 두어야하며, 따라서 조기에 수술적 치료를 신중히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 Purpose : To analyse the comparative clinical results between adults with multiple injury including the clavicular shaft fracture and only clavicular shaft fracture who had supportive care through retrospective aspect. Materials and Methods : We had 48 adult patients in this hospital with simple fracture and multiple injury including the clavicular shaft whom we were able to evaluate at leat more than a year. 12 of 48 patients were with only clavicular shaft fracture and the rest of them were with multiple injury. We classified patients into two groups those who had fracture with displacement for group A(A1 for the cases with over 50% of fracture surface contact rate and A2 for less than 50% from the images of simple X-ray) and those who had comminuted fracture for B. We compared the time of bone union, nonunion rate of only davicular fractures and multiple injury, clinical results for patients who had supportive care with retrospective aspect. Result : A1 (7 cases), A2 (4 cases), B (1 case) were prevalent in the group of only clavicular shaft fracture and A1(8 cases) and A2 (16 cases) and B (12 cases) were prevalent in the group of multiple injury. For the case with supportive care, we could find 1 nonunion case (8%) and 11 union cases on average 2.91 months in the group of only clavicular shaft fracture and 7 nonunion cases (19%) and 29 union cases on average 3.58 months in the group of multiple injury. The best clinical results had occurred in 8 cases (67%) of only clavicular shaft fracture group and 19 cases (53%) of multiple injury group. We could find out the from all 8 nonunion cases that took operation afterward. Conclusion : Although the choice of treatment of clavicular fracture is supportive care, but multiple injury including the clavicular fracture is a high-energy injury, so the possibility of comminuted and displacement is high, so that nonunion rate is high. The possibility of early surgery must be considered seriously.
신현대,권기헌,서인석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09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19 No.4
세계적인 대학평가기관으로는 세계의 유력지인 더 타임즈평가(QS, Quacquarelli Symonds)와 중국상해교통대학, 스페인의 Webometrics 평가기관을 들 수 있는데, 세계대학 순위평가는 국가, 지역의 대학 실정과 역사적 환경이 다른 상태에서 실시하는 평가결과이며, 대부분 효과성 위주로 평가를 하고 있어 규모가 큰 대학과 역사가 오래된 대학이 유리한 결과가 나오게 되어 있다.본 연구는 효과성 위주의 평가와는 달리 상대적 효율성의 관점에서 세계적 대학순위평가를 시도한후 그에 따른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현재의 세계적 대학순위평가를 분석・비교하고, 국가별로 학술역량이 우수한 대학을 중심으로 상대적 효율성을 평가하여, 국제적 규범의 성격을 지닌 세계적대학순위평가 시스템의 평가기준 설정에 추가지표로 효율성부분을 적용하여 평가를 시도하였다. 효율성 평가기제로는 자료포락분석(DEA)과 대학간의 개체간 군집분석을 하였는데, 분석결과로는 규모가작고 결과물이 높은 대학이 유리하여 기존의 세계대학평가 결과와는 상이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는향후 새로운 세계대학 순위평가에 있어 새로운 평가의 관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세계고등교육의 질 보장 시스템 구축과 대학순위 평가체제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성과평가시스템의 적합성이 조직구성원의 성격적 특성과 동기부여에 미치는 영향
신현대 남서울대학교 2011 남서울대학교 논문집 Vol.17 No.1
The aim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individual personalities of employees have an influence on their organization motivation with working job and as the result of the tendency which policy of performance evaluation should be adopted so as to obtain positiv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like the following. First, a policy evaluated employee performance by measuring the financial accomplishment can form the organization motivation with working job on the employees who are strongly conservative. On the other hand, a policy evaluated employee performance by measuring the non-financial accomplishment can form the organization motivation with working job on the employees who are not conservative very much. Second, a policy evaluated employee performance by measuring the financial accomplishment can form the organization motivation with working job on the employees who are easily inclined to emotional aspect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employees who are not mercy of emotion,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able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those of the organization motivation was not observed. Third, a policy evaluated employee performance by measuring the financial accomplishment can form the organization motivation with working job on the employees who are inclined to be active. On the other hand, a policy evaluated employee performance by measuring the non-financial accomplishment can form the organization motivation with working job on the employees who are not inclined to be active. Finally, exceptionally a policy evaluated employee performance by measuring the non-financial accomplishment can form the organization motivation with working job on the employees who have nervous temperament. On the other hand, a policy evaluated employee performance by measuring the financial accomplishment can form the organization motivation with working job on the employees who don't have nervous temperament. 본 연구에서는 국내 상장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조직구성원의 성격적 특성,조직의 성과평가시스템의 특성 ,동기부여 등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조직구성원의 성격적 특성과 성과평가시스템 간의 적합도가 동기부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수적 성향이 강한 조직구성원의 경우에는 재무적 성과에 비중을 둔 성과평가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비재무적 성과에 비중을 둔 성과평가방법을 적용하는 것보다 동기부여가 더 긍정적으로 형성되는 반면, 보수적 성향이 약한 조직구성원 의 경우에는 비 재무적 성과에 비중을 둔 성과평가방법을 적용하여야 동기부여가 더 긍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둘째, 감정성 성향이 강한 조직구성원의 경우에도 재무적 성과에 비중을 둔 성과평가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비재무적 성과에 비중을 둔 평가방법을 적용 하는 것보다 동기부여가 더 긍정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감정성 성향이 약한 조직구성원의 경우에는 성과평가시스템 채무적 정보의 특성변수와 동기 부여 변수 간에 유의적인 관계가 성립되지 않았다. 셋째, 행동성 성향이 강한 조직구성원의 경우에는 재무적 성과에 비중을 둔 성과평가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비재무적 성과에 비중을 둔 성과평가방법을 적용하는 것보다 동기부여가 더 긍정적으로 형성되는 반면, 행동성 성향이 약한 조직구성원의 경우에는 비재무적 성과에 비중을 둔 성과평가방법을 적용 하여야 동기부여가 더 긍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넷째, 신경성 성향이 강한 조직구성원의 경우에는 비재무적 성과에 비중을 둔 성과평가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재무적 성과에 비중을 둔 성과평가방법을 적용하는 것보다 동기부여가 더 긍정적으로 형성되는 반면, 신경성 성향이 약한 조직구성원의 경우에는 재무적 성과에 비중을 둔 성과평가방법을 적용 하여야 동기부여가 더 긍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과평가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려면 그것이 상황에 적합한 정보특성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하여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더 구체적인 사례연구 등을 통하여 상황에 적합한 성과평가시스템 수립 방안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신현대 남서울대학교 2005 남서울대학교 논문집 Vol.11 No.2
The effect of financial characteristics of group companies on the preferences of consolidated versus individual corporate income tax system This study classifies corporate enterprises by their financial features and analyzes those financial features in terms of their impacts on the introduction of the Consolidated corporate Income Tax System.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influence that Ratios of Profitability has upon tax savings effect, that is, the Individual Consolidated Income Tax differentials: First, in Korea, the ratios of profitability of the corporate group have 'inverse' effects on CTD. Second, the profitability ratio differentials of a controlling company in a corporate group have 'positive' effects on CTD. Analyzed in the study, the impact of Ratios of Capital Structure upon CTD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you can see from the dismissal of the hypothesis, "the ratios of capital structure of the consolidated group have inverse effects on CTD, Second, in Korea, the differences in the ratios of the controlling company's capital structure of a corporate group have 'inverse' effects on CTD. The analysis of Ratios of Activity in terms of their impact on CTD is summarized as follows:First, the Activity Ratios of a corporate group have 'positive' effects on CTD. Second, the differentials in ratios of activity of a corporate group in Korea have 'inverse' effects on CTD.
신현대,차수민 대한수부외과학회 2014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19 No.2
Chronic instability of distal radioulnar joint (DRUJ) can develop after injury such as fractures or dislocations, to the bony structures or to the soft tissue as like ligament, capsule. If proper treatment is not performed, normal biome- chanics of DRUJ would be altered, thus arthritic joint with chronic functional impairment, pain resulted in. The proper treatments included several proce- dures for repair of the bony structures and recovery of realignment, various methods for soft tissue repair and reconstruction in unstable condition without bony structures destruction. Several salvage methods such as Darrach proce- dure, hemiresectional interposition arthroplasty, Sauve-Kapandji procedure, were recommended for the advanced arthritic DRUJ. Wide ulnar resection, one- bone forearm procedure, prosthetic replacement for DRUJ were rarely indicat- ed, but the a few long-term results were reported. Operative stabilization (repair or reconstruction) for each structure assumed as DRUJ instability, is essential and proper selection among the several salvage procedures for the advanced arthritis joint, is needed. 원위 요척 관절의 만성 불안정은 골절, 탈구 등으로 인한 골성 구조물 손상 또는 인대, 관절막 등의 연부 조직의 손상으로 유발되며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 지지 않으면 원위 요척 관절의 정상 생역학의 변화가 초래하여 만성 기능 장애, 통증을 유발하는 관절염의 단계로 진행을 하게 된다. 적절한 치료로는 골성 구조물에 대한 복원, 정열의 회복을 위한 여러술기가 있으며 골성 구조물의 손상이 크지 않은 연부 조직 손상에 의한 불안정의 경우 역시 여러 연부 조직 복원 및 재건의 방법을 이용한다. 원위 요척 관절의 정상 관절 연골의 파괴로 진행되면 관절에 대한 여러 구제술을 동원하게 되는데 Darrach 술기, 반절제 개재 관절성형술, Sauve-Kapandji 술기 등이 대표적이다. 드물게 광범위 척골 절제술, 요척 유합을 통한 단일 골 전완술, 인공 관절 치환술 등도 적응이 되는 경우가 있으나 장기 결과에 대해서는 아직 보고된바가 없다. 원위 요척 관절의 불안정 존재 시에는 불안정의 원인이 되는 구조물에 대한 복원, 재건 등의 수술적 치료를통해 안정화 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관절염 진행 시에는 가장 적합한 구제술을 선택해야 한다.
양측 상완 원위부에 발생한 Kimura씨 병의 치험 1례 : 증례보고 A case report
신현대,이광진,이승진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97 충남의대잡지 Vol.24 No.2
Angiolymphoid hyperplasia with eosinophilia(ALHE), or Kimura's disease, is an uncommon lesion of unknown etiology with a predilection for skin of the head and neck region. It usually presents as one or a few smooth-surfaced nodules which are often asymptomatic. Histologically the nodules reveal two components : abnormal proliferating vessels and a cellular infiltrate consisting of lymphocytes and eosinophils, involving both the dermis and the subcutaneous tissue. A case of sixteen years old boy is presented of an unusual lesion around the elbow joint followed from December 1994 to September 1997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 had marginally resected symetrically developed lesion around elbow joint measuring 3x5x7㎝, and then medicated with prednisolone 60mg per oral medication to postoperative 10 d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