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이상곡의 분절과 해석 : 향가와 관련하여

        신재홍 한국어교육학회 2013 국어교육 Vol.0 No.140

        In this study one of the poems of Koryeo dynasty, Isanggok is divided into 10 lines as Hyangga in Silla dynasty and interpreted like this. When snow fell heavily on a mountain hut like drizzle On the frosty winding path of tight frost columns crunching noise. Each eaves and brushwood doors For the hardly frozen shape my heart wave roughly. I'm nesting the hut with missing my lover gone away Would he come to here through the stupefied path? Who should perish soon and fall into hell for being hit by lightning Will I walk another mountain path with leaving my lover? Was it a promise saying this or that? Oh, sweetheart, it's a promise living together forever. Isanggok is a poem that shows obscenity from illicit love affair. The secret place of two lovers, desolation and dreariness of the path toward that place, lyric I's feelings like the shape of frozen path, fear for suffering a punishment due to guilt, lament for destiny of perish of body, and the promise to keep at last etc., the pitiful emotions of female speaker are expressed on the poem. Therefore the speaker of the poem may be a prostitute of a red-light district not a faithful widow. We should estimate this poem's lyric value highly. Because the delicate sensual descriptions of poetic situation is eminent and the emotions of waiting and pledge for lover is appealing. This poem is a high level lyric in that the emotional concreteness is in accord with poetic situation.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set a place of this poem on the stream of Korean lyric history. Through this study Isanggok is appeared as a poem to be constructed with the same poetic structure of 10 lines Hyangga of Silla dynasty. The mixed foots turned from 3 foots, insertion of zest-phrases and alteration of interjection in last two lines etc. is a change on the lyric history. But Isanggok follows 10 lines Hyangga in the basic form and meaning structure. It is significant in that this poem expresses the pitiful love feelings which are deficient in existing works of Hyangga. The change in stream of Korean lyric history is distinguished in the rhyme change from 3 foots to 4 foots. The poems of Koryeo dynasty, Koyreo-Gayo having 3 foots jointly with Hyangga make a intermediate role in change to 4 foots lyrics like Shijo and Gasa. Some works of Koyreo-Gayo show the rhyme features of transitional period, and Isanggok is one of the cases. In short, Isanggok has significances in the side of pure lyric features and the side of place in the stream of lyric history.

      • KCI등재

        군신 관계의 관점에서 김만중 소설 읽기

        신재홍 한국독서학회 2019 독서연구 Vol.0 No.53

        This study would interpret Guunmong and Sassinamjeonggi based on the biographical facts of Kim Man-jung, especially his relationship with Sukjong who was the king of the age. Kim Man-jung, as the uncle of the queen, had a relationship with the royal family, and acted as a member of Seoin which was a political party bounded by bloodline, schooling, and regionalism. In the era of political party struggle in 17th century, he served as a royal aide during the reign of Seoin, but excluded by Sukjong during the reign of Namin which was opposing party against Seoin. He had some offices during the reign of Namin, but he criticized power holders of that time. His second and third exiles were in the midst of the political change in 1689. His relationship with Sukjong changed with the changes of reign, and eventually he died in exile. Preferentially I summarized Kim Man-jung’s thought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onarch and vassal recorded in various materials. First, the monarch should communicate like a parent’s child without any concealment. Second, he must listen to his vassal’s opinions and be given a hand in the discipline of his character. Third, he must defeat the petty and crafty vassals’ party and cooperate with the virtuous and gentle vassals’ party.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narch and vassal, I interpreted Kim Man-jung’ novels, Guunmong and Sassinamjeonggi. In Guunmong the process of the affections between man and woman appears on the front,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monarch and vassal is set up behind it. In the process of Yang So-yu’s marriage to the imperial family, the crisis and solution of the relationship appear. This reflects the author’s experience of relationship with the royal family and the desire for the grace of monarch. The Sassinamjeonggi develope the problems of the family on the front, the problem of the state in the background. In order to satire political situation the author took Eom sung’s period of Ming dynasty. His firm will is projected to the figure of Sassi suffering from arguments, and wish for the change of his monarch’s mind appears in the figure of Yu yeon-su wielded by Kyossi and regained intelligence. But we could read the conflicts between wife and concubine and the meaning of human virtual nature. So this novel have a complex themes. If we could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onarch and vassal, it is revealed that the intentions of one author are reflected in different aspects in Guunmong and Sassinamjeonggi. The approach to the works with writer’s biographical facts could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related to the days more concretely. 본고는 군신 관계를 중심으로 김만중의 전기적 사실과 생각을 정리하고, 그러한 관점에서 <구운몽>과 <사씨남정기>를 읽어 보고자 하였다. 김만중은 왕후의 숙부로서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고 혈연, 학연, 지연에 따라 서인의 일원으로 정치 활동을 하였다. 17세기 당쟁의 시대에 기해예송~갑인예송, 경신환국~기사환국의 서인 집권기에는 왕실 측근으로 활동하였지만 갑인예송~경신환국, 기사환국~서거까지의 남인 집권기에는 숙종에게 배척당했다. 남인 집권기에도 관직을 지녔으나 허적, 윤휴, 허목 등을 비판하여 왕의 진노를 사면서도 그 뜻과 자세를 견지하였다. 세 번 유배를 당했는데 두 번째와 세 번째는 기사환국의 와중이었다. 몇 번의 환국으로 숙종과의 친소 관계가 바뀌었다가 결국 유배지에서 서거하였다. 여러 자료에 나타난 김만중의 군신 관계론을 정리하였다. 첫째, 군신 사이는 부모 자식처럼 숨김없이 소통해야 한다, 둘째, 군주는 신하의 의견을 경청하고 인격 수양에 보필을 받아야 한다, 셋째, 군주는 신하 가운데 소인 당을 물리치고 군자 당과 협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사례별 논설에서는 제갈공명을 통해 신하는 유교적 수양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행사를 해야 한다고 하였고 사안‧왕탄지의 예에서 국가와 운명을 함께하는 신하를, 이필‧왕안석에서 군주 계도를 위한 간쟁과 풍간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군신 관계의 관점에서 김만중의 두 작품을 살펴보았다. <구운몽>은 남녀 주인공의 결연이 주된 흐름이지만 그 배경에 군신 관계의 문제가 전개된다. 양소유가 황실과 혼인하는 과정에 군신 관계의 위기와 해결 과정이 압축적으로 그려져 있다. 이상적 군신 관계에 기반한 황실의 시혜에 의한 갈등 해결이라는 점에 작가의 의도가 담겨 있다. <사씨남정기>는 가정사를 전면에 내세우고 국가사를 배경에 두어 사건을 전개하였다. 가와 국의 유비적 관계를 전제로 간쟁과 개오의 주제를 그려 내어 정치적 풍간의 의도가 읽히지만 가정 내 처첩 갈등을 통해 인간 본성의 회복이라는 주제를 찾을 수도 있다. 복합적 주제에 대한 다면적 이해를 의도한 작품이라 하겠다. 이렇듯 군신 관계에 주목할 때 <구운몽>과 <사씨남정기>에서 한 작가의 의도가 서로 다른 양상으로 드러남을 알 수 있다. 환상적, 이상적인 <구운몽>에서도 군신 관계의 위기와 극복이 전개되었고, 가정 내 갈등이 중심인 <사씨남정기>에는 당대 정국에 대한 우의가 담겼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김만중의 두 소설이 작가의 생애 및 당대 현실과 관련된 양상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필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화랑세기??의 신빙성에 대한 어문학적 접근

        신재홍 한국고전문학회 2006 古典文學硏究 Vol.29 No.-

        The issue of the genuineness of Hwarangsegi has been in a state of controversy among groups of historians. The HyangGa recorded in that text led scholar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o take part in the debate. I expect to ascertain the genuineness of the text by analyzing its linguistic styles. The stories have been organized in different contexts from that of other texts. For example, the weddings of Baekun and Jehu, Chunchu and Munhee in Hwarangsegi were described in different contexts and views from those in Samguksajeolyo or Samgukyusa. The stories of the text were written in realistic, concrete, and natural ways. The sentences are arranged in Korean sentence order. The arrangements of object-predicate, complement-predicate, adverb-verb are found in the text. The auxiliary verbs of classical Chinese were used with different function, and the particles and conjunctions found were deleted at times. Hyangchals, the letters of Silla, borrowed from classical Chinese letters are found in the text. And a few letters make the meaning of the Hyangchals written in HyangGas more specific. Hyangchals, with which SongSadahamGa were written, show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spelling. Not only is the spelling similar to that of HyangGas which remain today, but also it ha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nd the stylistic features of the text are reflected in the letters of SongSadahamGa. When the above features are reviewed comprehensively, it would be possible to state that Hwarangsegi, due to transcription of the original text, is a genuine text. 화랑세기의 진위 여부에 대한 논란은 역사학계를 중심으로 아직도 진행 중이고, 그 속에 실려 있는 향가 <송사다함가>에 대해서도 국어국문학계의 견해가 갈려 있다. 본고는 화랑세기 전반을 살펴서 그 문체적 특성을 분석하여 향가를 포함한 이 자료의 가치를 판별해 보고자 하였다. 사건 서술의 면에서, 이 자료는 기존의 자료와는 다른 맥락에서 사건들을 엮어 갔다. 백운ㆍ제후와 춘추ㆍ문희의 혼인 사건을 예로 들어 분석해 보면, 삼국사절요, 삼국유사에 기술된 그 사건들의 맥락과 서술의 관점이 화랑세기의 그것과는 분명히 차이가 난다. 사건들이 사실적, 구체적, 정합적으로 서술되어 있는 반면, 조작의 흔적이나 의도를 찾기 어렵다. 문장 구성의 면에서, 이 자료에는 우리말 어순에 따른 문장이 많이 나타난다. 목적어-술어, 보어(→주어)-술어, 부사어의 위치, 본용언과 보조용언에 함께 걸리는 한문 조동사, 한문 어조사ㆍ접속사ㆍ뜻글자ㆍ문장성분의 생략 및 전이 등의 용례를 확인할 수 있다. 어휘 선택의 면에서, 이 자료에는 향찰이 포함되어 있다. ‘中, 是, 也, 所, 主, 爲, 去, 以, 之’ 등이 이 자료에 쓰인 향찰의 예들이다. 또한, 현존 향가의 향찰들의 당대 용법과 의미를 시사해 주는 한자들도 주목되는 바, ‘遊, 物, 屬’ 등이 그러한 예들이다. 여기에 더하여 <송사다함가>의 표기와 관련한 기존의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향찰 표기의 특징을 재검토해 보았다. 기존 향찰의 용례와 비교하여 같거나, 비슷하면서도 구분되거나 하기 때문에 의의가 있다는 점, 화랑세기의 문체적, 내용적 특징이 이 작품의 향찰에도 반영되었다는 점을 들어 그 가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 보면, 화랑세기는 원본이 필사, 전승된 바의 진본에 해당하지 않을까 하는 잠정적인 결론에 도달한다. 이 자료의 내용에 대한 역사학계의 고증이 더욱 정치하게 진행되고, 본고의 연구 시각이 지닌 편향성이나 논거의 취약함이 다시 비판되기도 하여, 화랑세기의 진위 문제에 대한 좀 더 생산적이고 진전된 판단을 하게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쌍화점>의 장소성과 대화 맥락

        신재홍 한국시가문화학회 202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 No.53

        This paper attempted a more detailed examination of the specific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Ssanghwajeom>, which was considered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sexual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The aim was to reveal the nature and significance of the poem by focusing on ‘placeness’ and conversation context. The skipping of meaning between poetic lines is a characteristic of the poem. The refrain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lines, the fourth and fifth lines, and the fifth and sixth lines of each stanza briefly breaks the progress of the meaning. The sexual affair briefly present and then move on to control the rumor from the first to fourth line. When fifth and sixth lines are combined, the second speaker appears and announces her intention to join, and the first speaker offers words of caution. Through leaps of meaning between the lines an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alves, the subject matter of affair and word, sexual relation and rumor is expressed. The affair and word is shaped through the process of amplifying and synthesizing the meaning of the place where each stanza begins. As the poetic thoughts unfolds, three meanings are intertwined and added: first, a place that performs its original function, second, a place where sexual intercourse takes place, and third, a place where people talk and listen about the affair. In terms of the spread of words, places have a wide network of connections. The reason why the second speaker tried to join in after listening to the tip given by the first speaker was because the connection between places was assumed. The spatial network was also applied to the audience of the poem at the banquet, and they would have appreciated it with interest in the affair and alertness against rumors. In the context of a conversation, when viewed through the dialogue style of the second half of the poem, the monologue style of the first half is also accepted as part of the conversation. The first half of first to fourth line is what the first speaker told the second speaker. In response to this, the second speaker responds in fifth line, and the first speaker responds again in sixth line, saying, “There is no overgrown and rude place like that place.” This was realized through an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peakers, who are probably courtesans or female servants. In terms of dialogue, the appearance of fantastic beings and personified objects in the third and fourth stanzas is understandable. The four stanzas of the poem are structured in a series of settings, such as an exotic reality situation, a religious reality situation, a fantasy situation, and a mixed situation between reality and fantasy. By expanding the poetic situation from reality to fantasy, the effect of heightening the entertain- ment atmosphere would be achieved. 본고는 남녀상열지사의 대표 격으로 여겨진 <쌍화점>의 구체적 내용과 성격에 대해 좀 더 세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장소성과 대화 맥락에 초점을 두어 작품의 성격 및 의의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 작품은 행간에서 의미의 건너뜀이라는 특징을 보여 준다. 각 연 제3행과 제4행, 제4행과 제5행, 제5행과 제6행 사이의 여음구는 앞뒤 행의 의미 진행을 잠시 끊어 준다. 제1・2행과 제3・4행의 발단부와 전개부는 사건을 간략히 제시한 데에서 소문이 나지 않게 입단속하는 것으로 넘어간다. 제5・6행이 결합하면서는 제2화자가 등장하여 동참 의사를 밝히고 제1화자가 경계의 말을 한다. 행간과 전・후반부 사이에서 의미의 비약을 통해 사건과 말, 성관계와 소문이라는 제재를 표현하고 있다. 작품의 제재인 사건과 말은 각 연의 시작인 장소의 의미가 증폭, 종합되는 과정에서 형상화된다. 시상 전개에 따라 장소는 첫째, 원래의 기능을 하는 곳, 둘째, 남녀의 성관계가 벌어진 곳, 셋째, 사건에 관한 말이 나며 들며 하는 곳 등 세 가지 의미가 얽히며 더해진다. 말의 전파라는 점에서 장소는 넓은 범위의 연결망을 갖는다. 제1화자가 해 준 귀띔을 듣고 제2화자가 동참하려 한 것은 장소와 장소의 연결이 전제되었기 때문이다. 공간적 연결망은 연회석의 청중에게도 적용되어 남녀 관계에 대한 흥미와 함께 소문에 대한 경계심을 품으며 감상했을 것이다. 대화의 맥락에서 작품 후반부의 대화체를 통해 보면 전반부의 독백체도 대화의 일부로 수용된다. 제1∼4행의 전반부는 제1화자가 제2화자에게 귀띔한 내용이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해 제5행에서 제2화자의 반응이 나오고 다시 제1화자가 제6행의 “그 잔 데같이 덤불져 거친(무성히 무예한) 곳이 없다.”라고 대답한다. 이는 두 화자의 친밀한 관계에서 이루어졌는데 아마도 그들은 기녀 또는 여자 하인인 듯하다. 이러한 대화의 상황에서 제3, 4연의 환상적 존재와 의인화된 사물은 말로만 표현된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전 4연은 이국적 현실 상황-종교적 현실 상황-환상적 상황-현실과 환상의 혼합 상황 등이 설정된 기승전결의 구조인데 시적 상황을 현실에서 환상으로 넓힘으로써 유흥적 분위기를 고조하는 효과를 얻고 있다. <쌍화점>은 성관계에 대한 호기심과 그 소문에 대한 경계, 전・후반부의 대화체 방식, 기승전결의 연 구성 등이 어우러진 작품이다. 사건과 말이라는 제재를 향락과 경계, 욕망과 절제의 긴장 속에 즐길 수 있어 연향에 적합한 성격을 갖추고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