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고전적 포스트휴먼으로서의 신선·이인 서사와 그 의미

        신상필(Shin, Sang-phil) 국어국문학회 2020 국어국문학 Vol.0 No.193

        〈600백만 불의 사나이〉로 유명한 TV시리즈 속의 초인은 이미 고전에 속하는 이야기가 되었다. ‘아이언 맨’으로 대표되는 헐리우드의 블록버스터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이 너무도 현실감있게 다가와 있기 때문이다. 이는 현실에서도 등장하여 알파고가 인간의 바둑 실력을 무기력하게 만들고 말았다. AI로 대표되는 신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인간의 능력을 넘어서고 있는 것이다. 영화 〈터미네이터〉와 〈매트릭스〉가 보여주는 세기말적 세계관도 전혀 허구로만 느껴지지 않는 이유이다. 더구나 죽음에 대항할 기술들을 적극 수용해 인간의 한계를 넘어서자는 트랜스 휴머니스트의 주장에 마주하게 되면 곧 다가올 인간을 넘어선 그 이후, 즉 포스트 휴먼에 대한 이해와 준비가 요청되는 시점임을 깨닫게 된다. 이 점에서 포스트 휴먼은 아직 미완성이지만 다소 예상 가능한 극단적 과학기술의 시대에 대한 예비적 담론이다. 본고는 트랜스휴먼의 형상에 매우 유사한 신선·이인의 서사를 통해 포스트휴먼의 관점에 접근해 보고자 한다. 과학기술의 발전을 통해 ‘특이점’에 수렴하는 인간의 면모는 도교적 수련의 방식을 거쳐 신선·이인으로 전환했던 인물들의 양상과 대비시켜 논의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이들이야말로 인간 존재를 넘어선 ‘포스트휴먼’의 고전적 사례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당대인들의 신선과 이인에 대한 시각은 선망과 동경의 대상인 동시에 비윤리적 불온성을 지닌 양면성을 지니고 있었다. 이는 평범함을 넘어 제어하기 힘든 능력을 갖게 된 주체로서의 신선과 이인이 선과 악의 어느 방향으로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경계의 시선이었다. 그렇다면 우리 앞에 다가올 포스트휴먼과 트랜스휴먼에 대한 해답은 오래된 미래이자 고전적 포스트휴먼인 신선과 이인들의 행적에 이미 잠재되어 있었던 것이 아닌가 한다. The Superman in the TV series, famous for The Man of $600 Million, has already become a classic. This is because the characters appearing in the blockbuster of Hollywood, represented by ‘Iron Man’, come in so realistically. This also appeared in reality, and AlphaGo made human’s Go ability weak. New technologies represented by AI are surpassing human capabilities day by day. This is why the end-of-the-century worldview shown in the films 〈Terminator〉 and 〈The Matrix〉 is not felt at all as fiction. In addition, when we face the insistence of trans-humanists to overcome human limitations by actively accepting technologies to fight death, we realize that it is the time when understanding and preparation for post-humans is required soon after, beyond humans. However, post-human is a preliminary discourse about the era of extreme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is still unfinished but somewhat predictable. This paper attempts to approach the posthuman perspective through the narrative of the Sinseon and the Yiin, which is very similar to the shape of a transhuman. I think it is possible to discuss the aspect of humans converging to the ‘singularity’ throug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contrast with the aspects of the characters who have converted to Shinseon and Yiin through Taoist training methods. This is because these are the classic examples of “posthumans” beyond human existence. In addition, the perspectives of the people of the day on the Sinseon and the Yiin were both the object of envy and admir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y had two sides with unethical discord. This was a vigilant gaze on which direction Sinseon and Yiin should act in the direction of good and evil, as subjects with abilities that are difficult to control beyond ordinary. Perhaps the answer to the post-human and trans-human that will come before us has already been latent in the actions of the classic post-human, Sinseon and Yiin, as the old future.

      • KCI등재

        사건(事件)의 기록(記錄)과 한문학(漢文學) 사실의 기록과 전(傳) 양식의 새로운 가능성 -「유연전(柳淵傳)」을 중심으로-

        신상필 ( Sang Phil Shin ) 동방한문학회 2009 東方漢文學 Vol.0 No.39

        Yuyeonjeon is a record written by Baeksa Lee Hang-bok in 1607 by the request of Ori Lee Won-ik on the death in prison of Yuyeon who was unjustly accused of the murder of his brother. The record on Yuyeon`s death in prison began after 8 years from the disappearance of brother Yuyu. Yuyeon was exonerated from the charge after 15 years from the execution, and Yuyeonjeon was completed by Lee Hang-bok after going through Lee Won-ik`s hands after 28 years. Because Yuyeonjeon covers a long period from death in prison to the process of exoneration, its contents are also not simple. Dealing with a case with such a complicated background, Yuyeonjeon triggered the subsequent production of various records related to Yuyeon`s death in prison, and these records show transitions around the Jeon style in the 16th~17th centuries. Records influenced by Yuyeonjeon are divided largely into two types. One is materials recorded in written documents. They sympathize with the purpose of Yuyeonjeon, and demand a more objective judgment on murder-related death in prison. The other is Kwon Deuk-gi`s Isaengsongwonrok written by the request of a son of Dalseongryeong Lee Ji who was executed after the 2nd trial on the appearance of Yuyu who had been considered to be murdered. It is focused on refuting contradictions in Yuyeonjeon. Yuyeon`s death in prison clearly shows the influence of literary style in those days in that it formed a collection of records on the same case. In addition, readersitcontradictory responses supporting and criticizing Yuyeonjeon show that there was a certain change in the perception of Jeon style of Geosajikpry (據事直筆). Thus, it is necessary to perceive Yuyeonjeon not from the aspe thof the peculiar style Yuyeon`s case but from the aspe thof literary change based on the collective production of records on the massacres of Confucian scholars, wars, etc. and critical consciousness in the previous ages.

      • KCI등재

        조선후기 역관 아전 계층의 사회와 문화 -필기,야담 자료를 중심으로-

        신상필 ( Sang Phil Shin ) 동방한문학회 2011 東方漢文學 Vol.0 No.46

        본고는 정치가이자 문인이며 학자였던 조선조 사대부들이 자신의 생활 주변에서 기억할 만한, 그리고 기억해야할 필요가 있었던 일화와 사회제도를 수록한 필기의 기록 문학적 성격에 주목하였다. 이와 함께 상층 문화와 생활에서 시야를 넓혀 기층 백성들의 생활과 사회 변화에 대한 관심을 통해 조선중기 이후 서사적 성향이 강화된 야담도 관심의 대상이다. 이들 필기와 야담집은 기본적으로 사회의 다양한 계층을 통해 구전되면서 ``문학적 진실성과 사회적 현실성``을 담아내기 마련이다. 이때 필자는 근원사실로부터 구체화된 이야기들이 조선조 사회를 살아 간 민인들의 현실 감각의 반영태이며, 민간의 설화적 상상력을 가미한 자료 역시 사회적 여건과 정황이 개입됨에 주목하고자 한다. 다만 기록, 혹은 이야기 문학에 담긴 사회적·현실적 실상과 그 반영태를 어떻게 보다 정밀하게 해석하여 유의미한 자료로 구성하는가에 관건이 달려있다. 이에 그 하나의 시도로 中人 계층에 주목해 보았다. 특히 역관과 함께 아전 계층이 그 주요 관심의 대상이다. 이들은 중앙과 지방 행정의 실질적 사무를 담당한 주체로서 법전을 통해 사회적 존재 양태를 재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성문법상의 아전들의 존재 양식과 달리 사회 현실에서 구체화된 이들의 모습과 관습법적 생활 방식의 구체적 면모는 아직도 확인해야 할 부분이 많다. 이 점에서 필기와 야담집은 법적 테두리 안에 규정된 중인들의 보다 실질적인 생활 관습과 면모를 말해주는 의미있는 자료들이다. 본고는 이들 계층에 대한 매우 단편적이거나 사소한 정보에 접근해 보았다. 하지만 이는 문학적 자료를 역사와 사회적 측면에서 읽어 봄으로써 사회제도의 실질적, 혹은 관습적 작동 과정을 재구성해 보려는 시도의 첫걸음이며, 이후 다양한 방면으로 확대되길 기대한다. The present study paid attention to the nature of documentary literature of Pilgi that Sadaebu who were politicians, men of letters and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recorded social institutions and anecdotes which were worthy of being remembered and necessary to be remembered around their lives. Additionally, we were also focusing on Yadam in which an epic tendency was strengthened after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having an interest in ordinary people`s lives and social change broadening their mental vision beyond the culture and life of the upper classes. While basically these Pilgi and Yadam books were handed down by tradition through a variety of classes of society it is certain that they came to reflect ``the literary truth and social realities.`` At this time the author of this paper is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stories embodied from original facts are reflections of a sense of reality by people who lived in society of the Joseon Dynasty, and that social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were involved also in materials in which the folk`s narrative imagination was added. But the question is how to compose them as significant data interpreting the reflections and the social and actual state contained in records or narrative literature in more detail. As a result, we took note of the middle class as an attempt. Especially, official aides as well as interpreters are the object of main attention. They can reorganize social existence features through a code as main agents responsible for practical work in the central and local administration. However, in comparison with the way official aides existed according to the written law the actual features embodied in social reality and concrete aspects of their lifestyle according to the common law should be found out still in many parts. In this respect Pilgi and Yadam books are significant materials of indicating more practical customs and features of their lives in relation to the people from the middle class defined within the legal limit. The current paper approached very fragmentary or minor information on the class. Nevertheless, this is the first step of an attempt to reconstitute the practical or conventional mechanism of social systems by reading literary materials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and society, and we expect it to be expanded to a variety of areas.

      • KCI등재

        기획2 : 한국한자학(韓國漢字學)의 미학적(美學的) 접근(接近)(2) ; 필기 양식의 기록성과 그 미의식의 전개 양상

        신상필 ( Sang Phil Shin ) 동방한문학회 2011 東方漢文學 Vol.0 No.49

        필기는 한국 문학사에서 늦은 출현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다양한 저술들이 산출되었다. 12세기 李仁老의 『破閑集』과 崔滋의 『補閑集』에서 시작한 필기는 기본적으로 문인 지식층인 사대부들의 생활 주변에서 견문한 내용을 기록한다는 분명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 수록 내용은 제재에 따라 詩話, 野史, 笑話의 대체적 구분이 가능하지만 창작층인 사대부들의 생활 의식을 벗어나지 않으려는 저술 기준이 암묵적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로부터 필기는 ``사대부 의식과 그 생활 정감``이 녹아있음에서 기초적이며 중요한 하나의 미의식을 상정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저자들은 史官에 준하는 자세를 지녀 역사서에 실리지 않는 다양한 정보들을 후세에 기록으로 남기고자 하였다. 이때 필기는 ``기록성``에 기반한 ``진실성``을 추구하려는 성향을 강화시킬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필기는 대체로 하층민에 대한 관심이 약할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용재총화』는 관심의 시야를 확장시켜 하층의 구전을 수록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서사적 이야기들을 수록할 수 있었다. 이는 상층의 文才와 하층의 자유로운 사고방식에 연원한 구전이 결합함으로써 이뤄낸 성과이며, 특히 情慾과 관련된 일련의 흥미로운 서사적 이야기로 구성해 내었다. 이후 『어우야담』은 이욕 추구의 사회 세태가 반영된 진솔한 ``人情物態``의 면모를 서사적 이야기 속에 담아내었고, 조선 후기 변화된 사회경제적 정황을 흥미 추구와 함께 서사성 짙은 야담집으로 일구어낼 수 있었다. 한편 조선 후기에는 문인 학자들의 독서 기록적 성격이 농후한 箚記體 필기가 대거 출현하였다. 중국의 고증학적 학문 풍토와도 관련이 되는 이들 필기는 ``학적 추구 성향``을 표출함으로써 자신들의 지적 연대를 일정하게 공유할 수 있었다. 이처럼 문인 지식인들은 당대의 다양한 사회 변화에 지적 관심을 뻗쳐 이를 필기의 기록 전통으로 남김으로써 시대마다 독특한 미적 특성을 지닌 저술들을 창출해 내었다. 이제 필기의 전통과 유산은 그 양식의 미의식에 주목하여 다양한 방법론에서 재주목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기해 둔다. Although writing appeared late in th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various writings are produced continuously. The writing that started from 『Pahanzib』 of Lee In-Ro and 『Bohanzib』 of Choi-Ja has a clear character that records the content observed in the living surroundings of noblemen who are basically writers of the intellectual class. The recorded content can be generally divided into poem and speech, unofficial history and funny speech according to topic, but the writing criterion that doesn`t deviate from living consciousness of noblemen which is the creative class is positioned silently. From this, writing can presume one aesthetic consciousness that is basic and important, as ``noblemen`s consciousness and its living warmth`` are being melt. Together with this, writers had tried to leave various informations unlisted in the history books to future generations as a record by keeping a posture corresponding to officials. At this time, writing could strengthen a propensity to seek ``honesty`` based on the ``record property``. Accordingly, writing cannot help having weak interest about lower class people generally. Nonetheless, 『Yongjaechonghwa』 could record certain epic stories in the process that records oral tradition of the lower class by expanding sight of interest. This is a result that is achieved by combination of oral tradition based on literary talent of the upper class and free though method of the lower class, and especially, it was composed as serial interesting epic stories related to sexual desire. Since then, 『Eou Historical Romance』 has contained aspects of honest "Social Conditions of Sympathy" in the epic story, which the society conditions for seeking greed are reflected, so changed socioeconomic situations of the later period of Joseon could be cultivated as historical romance collection with a thick epic property with seeking of interest. On the other hand, Chagiche(箚記體)`s writing that a reading`s recorded character of scholars in the later period of Joseon largely appeared. These writings related to historical research`s learning climate of China could uniformly share their own intellectual solidarity by expressing ``academic seeking propensity``. Like this, educated literary persons had created writings that have unique aesthetic properties according to an era by extending intellectual interest to various society changes of their own age and leaving this as recorded tradition of writing.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esent tradition and heritage of writing are needed to notice again in the various methodology by paying attention to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style.

      • KCI등재

        필기(筆記)를 통해 본 조선전기 영남지역의 문화와 인물

        신상필 ( Shin Sang-phil ) 우리한문학회 2021 漢文學報 Vol.45 No.-

        嶺南은 畿湖, 湖南, 嶺東, 關西와 함께 한반도의 지역에 대한 호칭이다. 이때 랜드 마크인 ‘嶺’, ‘湖’ 등에 방향을 더해 대체적인 지역을 특정한 것이다. 이 점에서 영남은 ‘큰 고개의 남쪽’, 흔히 문경새재로 불리는 ‘鳥嶺의 남쪽 지방’을 가리키며, 일반적으로 慶尙道지역을 의미한다. 그리고 경상도에는 낙동강이 남북으로 가로지르고 있어 ‘江左·江右’의 구분이 이뤄지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명칭은 지역을 편의적으로 구분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다. 해당 지역의 자연 지리적 여건에서 비롯한 물산과 이를 기반으로 살아가는 民生들의 삶이 일군 역사와 문화의 성격이 그 호칭에 함축적으로 녹아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지역에 대한 인식은 조선후기 李重煥(1690~1752)이 편찬한 『擇里志』의 卜居總論에 地理·生利·人心·山水등과 같은 문화·경제적 특징을 다룬 인문지리서의 출현으로 결실을 맺기도 하였다. 이는 이미 조선전기인 성종 12년(1481) 50권 분량의 『東國輿地勝覽』 간행에서 엿볼 수 있는 인식이기도 하다. 다만 이 경우 지역에 대한 연혁과 경개에 관련 題詠의 문화적 면모를 소개하고는 있으나 영토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접근이라는 점에서 일정한 차이가 느껴진다. 본고는 조선전기의 영남이라는 지역에 대한 인식과 그 형성 과정을 ‘筆記’ 저술에 주목해 확인하고자 한다. 필기 양식이 고려후기로부터 조선전기에 등장하는 과정에서 문인들이 견문한 사실을 기록으로 남긴 영남 지역에 대한 인식과 기억을 살펴보려는 것이다. 예컨대 조선중기 이후 허균과 같은 문인들의 지역에 대한 종합적 평가와 인식의 형성 과정을 조선전기 필기류에 그려진 영남 지역에 대한 단편적 기록과 언급들을 수습함으로써 추적해 보려는 것이다. 이에 본고는 먼저 고려후기 李仁老(1152~1220)의 『破閑集』과 李齊賢(1287~1367)의 『櫟翁稗說』을 통해 조선전기 이전의 영남 지역에 대한 언급들을 살펴보고, 이로부터 조선전기 徐居正(1420~1488)의 『東人詩話』·『筆苑雜記』·『太平閑話滑稽傳』에서 양식적 완성을 이룬 필기들의 언급과 비교함으로써 영남의 인물과 문화에 대한 지역성의 형성 과정을 대비적으로 부조시켜 보고자 한다. Yeongnam, along with Honam, Yeongdong, and Gwanseo, is a title for the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At this time, the general area is specified by adding directions to landmarks such as ‘young’ and ‘ho’. In this regard, Yeongnam refers to the ‘south of the great pass’, the ‘south region of Joryong’, often called Mungyeongsaejae, and generally refers to the Gyeongsang-do region. Also, in Gyeongsang-do, the Nakdong River crosses from north to south, so the distinction between ‘gangjwa’ and ‘gangwoo’ is sometimes made. However, these names do not stop at distinguishing regions for convenience. This is because the name implies the nature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people living on the basis of the natural and geographical conditions of the region. Such awareness of the region has come to fruition with the emergence of a human geography book dealing with cultur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such as geography, physiology, human mind, and arithmetic in the Chongron of Residence of < Taekriji > compiled by Lee Jung-hwan(1690- 1752)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is a perception that can already be seen in the publication of < Dongguk Yeojiseungram >, which is 50 volumes in the 12th year of King Seongjong(1481), in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in this case, although the cultural aspects of Korean poetry related to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the region are introduced, there is also a certain difference in that it is a national approach to the territory. This paper intends to confirm the perception of Yeongna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the process of its format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writings of ‘handwriting’. In the process of writing style appearing from the late Goryeo to the early Joseon Dynasty, I would like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memory of the Yeongnam region, which was left behind by the writers. For example, it is intended to trace the process of comprehensive evaluation and formation of perceptions on the region of writers such as Heo Gyun after the mid-Joseon period by retrieving fragmentary records and references to the Yeongnam region drawn in the writing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Therefore,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mentions of the Yeongnam region before the early Joseon Dynasty through < Pahanjip > by Lee In-ro(1152-1220) and < The Story of Yeog-ong > by Lee Je-hyeon(1287-1367) in the late Goryeo period. From this, the process of forming locality for the people and culture of Yeongnam by comparing it with the mentions of the handwritings that achieved stylistic completion in < Dongin Poetry >, < Pilwonjapki >, and < Taepyeong Hanhwagolgyejeon > by Seo Geojeong(1420~1488)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e would like to emphasize the contrast.

      • KCI등재

        천군류(天君類) 출현의 철학적 기반과 서사문학적 지위

        신상필 ( Sang Phil Shin ) 우리한문학회 2010 漢文學報 Vol.23 No.-

        「天君演義」는 조선 仁祖 시대의 문인인 鄭泰齊가 인간의 마음을 `天君`으로 의인화하고, 酒色으로 평정심을 잃는 상황과 이후 본성으로의 회복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이처럼 심성을 천군으로 의인화한 작품은 김우옹의 「천군전」에서 비롯되어 16, 17세기 일군을 이뤄 근대 초기까지 이어진다. 그 가운데 章回體 작품인 「천군연의」는 서사와 구성의 측면에서 발군으로 꼽히며, 유가 正心工夫를 위해 1917년 한문현토체로 출간되기까지 한다. 이때 천군류 작품의 존재가 어떻게 성립되고 전개되었는가의 의문이 본고의 출발점이다. 선행 연구는 이에 대해 假傳의 전통이나 心學의 전개, 혹은 소설 서사의 차원에서 해답을 찾아 왔다. 본고는 이들 선행 연구에 공감하면서 보다 종합적인 방면에서 천군류의 성립 기반에 접근하고자 한다. 성리학을 기반으로 삼은 조선왕조는 불교, 도교 등 이단을 배척함과 동시에 유교 철학의 이해와 내면화에 따른 확산을 도모할 필요가 있었다. 이때 후학 계도를 위한 「從政圖」 「作聖圖」 등의 유희와 圖說의 전통은 「천군전」의 성립을 가능케 하였다. 또한 유가의 心性論에 근거한 천군류 작품의 서사 방식은 허구에 대한 비판을 무화시킴과 동시에 중국 역사연의 소설을 수용함으로써 보다 서사적 완성도를 갖춘 「천군연의」를 완성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일련의 현상은 조선조 성리학의 철학적 기반과 서사양식의 전개에 따른 사회적 수용의 과정을 고려하며 살펴야 하며, 본고는 그 총체적 구도를 통해 천군류 작품의 성립과 존재 양상을 이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Cheongun Yeonui」, written by Jeong Taejae, a writer in times of King Incho in Chosun Dynasty is a literary work which personified the humans mind as `Cheongun` and illustrated the circumstances of its losing composure and a process of the recovery to its true color. Similarly, works which personified the mind as Cheongun started from 「Cheongun story」by Kim Woo-Ong and continued till early modern times via their peak time in 16th and 17th century where they were developed to form a specific group. 「Cheongun Yeonui」, out of them, a novel composed with Janghwoe style is an outstanding work on view of description and composition, and was published in Chinese Hyunto style in 1917 as a textbook of Jeongsim Gongbu (a study to keep a mind) for Confucian students. The starting point of this paper is originated from a question that how the establishment and existence of Cheongun style works had been developed. Previous studies tried to find an answer from a tradition of Gajeon or development of Shimhak or in a level of novel description. The paper intends to approach a basis of establishment of Cheongun style works in more comprehensive aspects while agrees with these previous studies. It was necessary for Chosun Dynasty whose spiritual basis was Neo-Confucianism to intend an expansion of Neo-Confucianism according to understanding and internalization of Confucianism whereas excluding heresies such as Buddhism or Taoism. Further, a tradition of plays (a kind of board game) such as 「Jongjeongdo」and 「Jakseongdo」and Doseol (Diagram and explanation of philosophical theory) for young students enabled an establishment of 「Cheongun Story」. In addition, it could be developed to 「Cheongun Yeonui」which had more descriptive completeness because Cheongun style works accepted Chinese historical novels while incapacitating criticism on fiction with their description methods. A set of these phenomena should be examined in consideration of a process of social acceptance according to philosophical basis of New-Confucianism during Chosun Dynasty and a development of description style,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shall be able to understand an establishment and existence aspect of Cheongun style works through total structure.

      • KCI등재

        『전등신화(剪燈新話)』를 통해 본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의 서사적 공간 구성

        신상필 ( Shin Sang-phil ) 동방한문학회 2018 東方漢文學 Vol.0 No.77

        15세기 『전등신화』의 탄생과 동아시아적 호응이라는 문화사적 배경 속에서 김시습의 『금오신화』는 탄생하였다. 하지만 그 존재는 『전등신화』와는 달리 한동안 잊혔었고, 근대에 접어들어 崔南善에 의해 1927년 잡지 『啓明』19호에 그것도 일본의 간본을 통해 소개됨으로써 소설사의 귀중한 자산이 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금오신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의 다양한 관점과 의견들을 기반으로 삼으면서, 특히 「李生窺墻傳」에 구현된 공간에 대한 측면을 통해 새로운 시야를 확보해 보고자 한다. 사실 「이생규장전」의 여주인공인 崔娘의 등장과 그가 차지한 공간은 매우 독특하다. 하지만 이에 대한 관심은 구현된 漢詩를 통한 작자의 심리 파악이나, 작품에 그려진 전통 공간으로서의 원림 의경을 비교하는 데 그치곤 하였다. 최랑이 거처하는 공간 자체는 물론 그 공간에 배치된 그림과 한시의 존재는 조선전기의 문화적 동향과 심미 지향을 반영하고 있다. 더구나 이와 같은 현상은 중국 詩畵史의 흐름과 함께 이해할 때 성리학적 유가지식인이자 방외인으로서의 삶을 지낸 김시습 소설의 구성과 주제 의식에 보다 심미적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예상한 주제에 다가선다면 한국한문학의 다양한 양상들이 단순히 문학 자체에 그치지 않고 한중 문화교류의 측면에서 상호 영향을 통해 발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점에서 향후 사회문화 방면 전공자들의 학제 간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In the 15th century, the birth of 『Jeondeungsinhwa(剪燈新話)』 and the birth of 『Geum-osinhwa(金鰲新話)』 in the cultural history background of East Asian response was born. However, the existence was forgotten for a while, unlike the 『Jeondeungsinhwa(剪燈新話)』, and in the 1927 magazine < Gyemyeong(啓 明) > No. 19, a Japanese novel was introduced by Choi Nam-sun, which made it a valuable asset of novels. based on various perspectives and opinions of previous researches on 『Geum-osinhwa(金鰲新話)』, we try to secure a new view through the aspect of space embodied in 「Isaeng-gyujangjeon(李生墻墻傳)」. In fact, the appearance of Choi rang[崔娘], the mistress of the past, and the space he occupied is very unique. However, my interest in this was that I tried to compare the author's psychological understanding through the embodied Chinese poetry and to compare the scenery of the forest as a traditional space drawn on the works. The space itself, as well as the space in which it is located, reflects the specific trends and aesthetics of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Moreover, this phenomenon is expected to be more aesthetically attuned to the composition and theme consciousness of the Kim Siseub novel, which is a scholarly, intellectual, and out-sider living in understanding with the flow of Chinese poetry. It is expected that the various aspects of the Korean Chinese Literature will be developed not only from literature itself but also from mutual influences in terms of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China, if this study reaches the expected topic. From this point of view, we hope that interdisciplinary research will be activated for those majoring in social and cultural studies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김동인의 『야담』 잡지를 통해 본 근대 야담의 서사 기획

        신상필 ( Shin Sang-phil ) 한민족문화학회 2017 한민족문화연구 Vol.57 No.-

        조선전기 成俔의 『?齋叢話』에서 싹을 틔워 柳夢寅의 『於于野談』으로 면모를 일신해 조선후기 꽃을 피운 野談이 있다. 상품경제의 발전과 함께 신분층의 동요에 따른 다양한 인물군상들이 욕망과 인간관계로 얽힌 閭巷의 이야기들 속에 살아 숨쉬는 야담은 조선후기의 사회적 이면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심장한 양식으로 주목받았던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야담의 문학적 운동성은 근대를 맞아 한문의 퇴출과 함께 사라지는 듯 했으나 1920년대 金振九의 야담운동으로, 그리고 신문과 잡지의 야사와 일화 연재로 재조명을 받을 수 있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배경으로 야담 전문잡지인 尹白南의 『月刊野談』과 金東仁의 『野談』이 탄생하여 1만 독자를 넘는 각각 5년과 10년이라는 장기 간행물로 환영을 받았다. 하지만 당시 근대문학을 이끌었던 문단과 평단의 비판이 끊이지 않았고, 현재의 상황도 그리 나아지지 않았다. 본고는 두 야담 전문잡지의 정기 간행이 단순히 조선 전래의 고답적 이야기를 독서 대중의 취미에 영합시킨 식민지적 통속성으로 이해되는 방식을 지양하고자 한다. 윤백남과 김동인이라는 두 잡지 간행자의 역량 안에서 한문으로 기록된 전근대 기록을 번역해 한글로 소화해낸 수많은 문단 작가들의 참여와 야담 작품들의 성과가 실재하기 때문이다. 본고는 전시대야사·야담의 근대적 야담화라는 서사화 기획의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특히 김동인이 1년여의 『월간야담』참여와 이후 『야담』의 운영과 편집 방식을 통해 야담 전문잡지의 독서층 계몽 사업이자 근대 문학 의식제고를 위한 대중 기획의 일환을 확인하려는 것이다. 이는 1930년대 문단에서 역사소설은 물론 순문예의 층위에 자리 잡을 수 없었던 야담 독물을, 『야담』의 발간과 편집방침으로 위상을 제고시켜 1만 독자의 독서 수준을 순문예로서의 소설 독자로 제고키 위한 김동인의 미완의 서사 기획으로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Korean narrative literature started in Late Shilla and Early Koryo, and can be roughly divided into fantastic novels until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full-length Chinese character novels in lat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e Chinese character and Korean alphabet representation system, and novel depicting women`s life in Joseon and full-length family novel as a result of creation of Hangeul, Korean language. Adding to the foregoing, there exist narrating styles such as unique work groups of Mongyurok from the mid-Joseon and Pansori novel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s noticeable existences along with them, there is yadam that put forth the bud from Seonghyeon`s _Yongjaechonghwa _ and bloom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putting on quite a new aspect to Yu Mong-in`s _Eouyadam_. Yadam that recorded stories of yeohang (a village where ordinary people live together) that various characters intertwined with desire and human relations as a result of disquiet over class of social status with development of commodity economy attracted public attention as a significant form in the way that it discloses the hidden side of socie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Literary motility of Yadam which was formed in such way seemed to vanish with liquid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modern times, but back into the spotlight indebted to the Yadam movement by Kim Jin-gu in 1920s, and serialization of unofficial history and anecdotes in newspapers and magazines. Based on the situation of the times, specialized yadam magazines like Yun Baek-nam`s 『Monthly Yadam』 and Kim Dong-in`s 『Yadam』 were created and got a warm welcome for more than 7 years as prolonged publications having over a million readers. Criticism from the literary world and critics that led modern literature were unceasing, and present situation has not bee improved. Instead of understanding periodical publication of the two specialized yadam magazines as a colonial popular style that accommodated traditional highbrow story of Joseon Dynasty to a hobby of reading masses, the purpose of this manuscript is to access from an aspect of a kind of common planning of modern narrative literature in modern narrative literature. Especially,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at Kim Dong-in`s participation in the 『Monthly Magazine』 for more than a year, and operation of 『Yadam』 and editorial method afterward was the business of enlightenment for readers of specialized yadam and public planning for raising awareness of modern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