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고학년 학생의 인터넷 중독 실태 및 원인 분석

        신경선,조미헌,Shin, Kyung-Sun,Jo, Mi-Heon 한국정보교육학회 2003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7 No.3

        인터넷 이용 인구가 증가하면서 인터넷 중독이 사회적 이슈로 등장하게 되었고, 인터넷 이용 층의 연령이 점차 낮아지면서 인터넷 중독에 대한 우려는 초등학생에게까지 미치게 되었다. 이러한 추세와 비교할 때,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인터넷 중독 관련 연구들은 상당수 이루어졌으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충정북도와 대전지역의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의 실태를 파악하고, 인터넷 중독의 원인이 되는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조사 대상의 22.9%가 '초기중독자'로 구분되었다. 인터넷 중독과 관계가 있는 요인으로는 성, 학년, 인터넷 하루이용 시간, 인터넷 이용 목적, 부모와의 관계 만족도, 가족간의 대화 시간, 친구 관계, 학교 생활 만족도등이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알아본 결과, 인터넷 이용 시간, 부모 관계 만족도, 가족 대화 시간 등이 중독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

        건축물 내외부의 친환경 구성을 위한 입체녹화의 부문별 디자인 적용요소에 관한 연구

        신경선(Kyung-Sun Shin),김원필(Won-Pil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4

        입체녹화가 도시환경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친환경 건축물의 새로운 대안으로 부각되고 국내 적용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건축물 준공사례를 대상으로 건축물 내·외부에 반영되고 있는 입체녹화의 공간특성을 조사하고 구성체계 및 디자인요소를 분석하여 친환경구성을 위한 부문별 디자인 적용요소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분석결과, 입체녹화는 건축물 내 다양한 외부공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대형화하는 고밀도 개발형태를 보이며 초기에는 전시, 교육 등 공공시설이 많았으나 최근에는 공동주택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공동주거 Unit에 다양한 근접공간을 도입하고 사적 공간에서 독립적인 녹화공간을 제시하는 등 거주자의 선호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근접공간을 이용하도록 계획하는 방법은 일률적인 국내 공동주거의 디자인을 지양하고 거주자의 다양한 행위를 유도할 수 있다. 새로운 공간분위기와 다양한 옥외공간으로 인한 커뮤니티 장소들은 사회적 상호 작용을 통해 공동주거의 생활패턴을 변화시키고 새로운 마을공동체를 조성하는 방법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대지의 환경특성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건축물 형태에 자연지형과 경사로를 이용하는 경향을 뚜렷이 보이고 있어 외부공간 환경조성 디자인요소에 대한 후속 연구도 필요하다. As the 3D Greenery system is known to improve the urban environment, it works as new alternative for eco-friendly building and warrants further study for application to the domestic field. This study aimed to apply the design components for eco-friendly composition by investigat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3D Greenery System reflected in interior and exterior of buildings and to analyze the organization and design elements of domestic and foreign cases. The results showed that instances of the Greenery System tended to be a large scale and high-density development in order to expand various exterior spaces. Although its early forms were often found in such public facilities as exhibition and education purpose, cases of multi-unit dwelling have been growing. Allowing apartment residents to prefer intimate space by providing various such spaces for residential units and offering independent green spaces would induce diverse residents’ lifestyles rather than monotonous design. The analysis also indicated that community space composed of various outdoor spaces and atmosphere would change life patterns of multi-housing and establish a real neighborhood through social interaction. Moreover, further investigation of the design patterns of outdoor space arrangement is needed since the Greenery system actively reflects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building sites and clearly shows a tendency to utilize natural terrain and slope in building shapes.

      • KCI등재

        건축물 내외부의 친환경 구성을 위한 입체녹화에 관한 전문가 의식 조사 연구

        신경선(Shin, Kyung-Sun),김원필(Kim, Won-Pil) 대한건축학회 2016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2 No.5

        In the era of the Green Building, three-dimensional greenery system is becoming a new trend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design professionals, and is being actively studied as a core axis of eco-friendly architecture.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practitioners" awareness of the concept of Three-dimensional greenery system and actual condition of application throughout practical fields in the country and to explore practical design guidelines to activate the concept further. For this purpose, the application of 3D greenery system was analyzed by each survey index, and Chi square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how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design professionals is related to the research problems. It was found that many design experts understood 3D greenery system as a necessary design component in urban environment, and preferred slope and large-scale site layout for the diversity of space, increase of exterior of buildings, greenification of balcony area. Secondly, it is appeared that the experts perceived 3D greenery system as emotional factor such as aesthetical and eco-friendly icon, rather than pragmatic effect of energy savings, air purification, and noise reduction. Thirdly, the study found that typology of greenification merely focused on such public space as natural outdoor ground, and green roof for the benefit of green certification. Fourthly, it was contended that consistent maintenance and managing cost were main obstacles for the experts to apply 3D greenery system to the projects. Finally, it was concluded that 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of 3D greenery system was needed for related design experts to apply actively. Further, the study implied that the establishment of clear definition on 3D greenery system and its typology of 3D greenery system in relation to the composition of facade is necessary and design guideline and details need to be developed for diverse space formulation of interior exterior area.

      • KCI등재

        "V在NP"結構的句法特點及對動詞的選擇特點

        신경선 ( Kyung Sun Shin ) 한국중국언어학회 2013 중국언어연구 Vol.0 No.44

        坐在椅子上`` 과 같은 ``V在NP`` 구조의 통사적 특징을 둘러싸고 전통적으로는 範繼淹(1982), 劉月華·潘文娛·故韋(2001) 등의 학자를 중심으로 동보구조(動補結構)로 해석하는 의견이 많았으나, 현재는 동보구조 혹은 동목구조(動賓結構)로 해석될 여지를 모두 갖고 있으며 오히려 동목구조를 입증할 증거가 더 많다고 보고 있다. 또한 胡裕樹·範曉(1996), 陳昌來(2002) 등에 의한 ``V在``의 ``동개식(動介式)``화 이론은 앞으로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판단된다. 《現代漢語頻率詞典》에 수록된 단어 중 출현 빈도가 비교적 높은 단어를 대상으로 북경대학 corpus(CCL)에서 검색한 예문을 기초로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단음절 동사는 ``V在NP`` 구조 출현에 큰 제약을 받지 않으나 哭, 笑, 鬧, ?, 求, 罵, ?, ?, ?, 怨, 猜 등과 같은 심리동사와 見, 讀, 洗, 尋, 解, 閉, 到, 過, 回, 下, 進, 起, 動, 謝, 要, 給, 轟, 誇, 犯, 査, 渡, 敎, 試, 賽, 氣, 滅, 變, 成, 減 등의 동사는 본 구조에 출현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이음절 동사는 ``V在NP`` 구조 출현에 제약을 받는데 본문의 조사에 따르면 다음의 53개 이음절 동사는 이 구조에 출현할 수 있다. 包括,保護,表現,表示,産生,成立,出現,處理,存在,創造,發表,發生,發現,反映,工作,規定,活動,合作,堅持,進行,解放,建設,解決,決定,控制,擴大,勞動,利用,聯合,聯系,建立,計算,結合,集中,結束,前進,生産,生長,實現,使用,失敗,團結,休息,掌握,設計,形成,學習,應用,分布,合成,消滅,指揮,組織 등의 동사는 그 내부구조가 대부분 병렬식으로 합성사를 이루는 각각의 형태소가 ``V在NP`` 구조에 출현할 수 있는 경우이고, 편정식 합성사를 이루는 형태소 중하나의 형태소가 본 구조에 출현할 수 있으면 그 합성사도 ``V在NP`` 구조에 출현할 수 있다. 이음절 동사 중 내부구조가 동목식(動賓式)합성사, 동보식(動補式)합성사들은 ``V在NP`` 구조에 출현을 제한 받으며, 특히 동목식합성사는 定都,藏身,埋頭,拍板,留學,投身,隱身,置身,葬身,紮根 등 10개를 제외하고는 모두 본 구조에 출현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동보식합성사는 동목식합성사 처럼 극소수는 아니지만 역시 상당수가 제한 받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와 같은 제약을 받는 이유는 동목식합성사로 구성된 ``V在NP``구조가 ``동사(형태소)+목적어(형태소)+보어(在)``의 어순으로 현대중국어의 일반적인 어순인 ``동사+보어+목적어``에 배치되고, 동보식합성사 역시 ``동사(형태소)+보어(형태소)+보어(在)``구조를 이루어 현대중국어의 어순과 배치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王還(1957), 範繼淹(1982), 沈家煊(1999)등은 ``V在NP`` 구조의 의미에 대하여 ``동작의 결과(動態)로 어떤 처소에 도달하다`` 혹은 ``어떤 처소에서 동작이 발생하다``, ``어떤 처소에서 어떤 상태(狀態)가 지속되다`` 등으로 해석하였고, 본 연구에 따르면 동사의 내부구조 이외에 동사의 처소성(〔+處所〕) 자질이 ``V在NP`` 구조에 출현할 수 있는 조건 중의 하나로 출현이 제한된 대부분의 동사들은 동작의 발생으로 결과가 어느 처소에 도달했다거나 존재상태가 발생한다는 의미특징을 갖지 않기에 ``V在NP`` 구조의 의미특징과 부합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試論“NP上”表方所的用法及其偏誤分析

        申敬善(Shin Kyung-sun) 중국어문학연구회 2008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49

        중국어에서 공간 관계를 나타내는 역할은 대부분 방위사가 담당한다. 그동안 현대 중국어의 단순 방위사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있었지만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중국어 교육을 진행함에 있어 방위사 사용의 오류는 매우 쉽게 볼 수 있는 현상이며 이에 대한 분석과 대응방법에 관한 연구는 더욱 큰 관심을 필요로 하는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呂叔湘선생의『現代漢語八百詞』의 분류를 중심으로 공간 개념을 나타내는 방위사‘上’을 위주로 하는 ‘NP上’의 특징과 한국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중국어 교육에 있어서의 몇 가지 유의사항을 설명하고자 한다. ‘NP上’의 사용에 있어 유념해야할 사항 중 첫째는 참조물과 목적물의 관계이다. ‘上’의 사용은 단순히 목적물이 참조물 위에 위치했을 때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 참조물의 내부 혹은 참조물 중간에 위치하였을 때에도 가능하다. (예: ‘車上’, ‘從門上的?璃看出去’) 둘째, 참조물이 평면인가 아닌가의 문제이다. 참조물과 목적물의 위치 관계가 상하의 관계로 볼 수 있을 때, 참조물을 평면으로 간주할 수 있다면 목적물과 참조물의 접촉 여부와 상관없이 반드시 방위사 ‘上’을 사용해야 하며 ‘裏/下/中’ 등으로 대체할 수 없다. 참조물이 평면이 아닌 입체적 공간일 경우 만일 참조물이 이동 가능한 물체, 혹은 한정된 울타리는 있으나 사방이 둘러싸여 막힌 상태 즉 밀봉된 상태가 아니라면 ‘上’과 ‘裏’를 혼용할 수 있다. 만일 참조물이 밀봉되어 있거나 이동할 수 없는 물체이라면 ‘上’을 사용할 수 없고 반드시 ‘裏’를 사용해야 한다. 한국 학생들이 ‘NP上’을 사용할 때 자주 보이는 오류의 형태는 크게 ‘사용해야 할 곳에 사용하지 않는 경우(缺用)’, ‘사용하였으나 다른 방위사를 사용한 경우(?用)’, ‘사용해서는 안 될 곳에 사용한 경우(多用)’로 분류할 수 있고, 이러한 오류를 야기하는 근본적인 원인으로는 첫째, 한국 학생들이 중국어를 학습 할 때 해당 중국어 항목과 유사한 한국어 항목의 특징을 대응시켜 활용하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즉 모국어의 참조개념을 중국어 학습에 적용시킨다는 점이다. 둘째, 방위사‘上’을 비롯한 단순 방위사의 사용법, ‘上’ 앞에 위치한 ‘NP’의 구조와 어법적 특징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할 때, ‘NP上’의 학습은 언어학적 지식과 학습자의 문화적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야 하며, 양자를 적절히 결합하여야만 대외한어교학의 목표를 보다 합리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겠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