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여성골프스타의 이미지 유형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홍준기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no find the factors (image elements and image levels) that mostly influence the endorsement power by power measurement of sports stars as advertisement endorsers through their image analysis. For this purpose, we chose golf as an advertisement sport and golf club advertisement model, and investigated a model selection method which we designed by applying the method. 'measurement of the endorsement power factors of sports stars by their image analysis'. Concrete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1) to ascertain the sub factors of image construction 2) to identify image levels or factors that affect the attitude toward advertisements and advertising product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313 students(151 men and 162 women) in C university and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Seri Pak has familiar and popular image and appeals to purchasers by her powerful image, so when we apply her to advertisement, we should consider these facts. 2) Mihyun Kim is characterized by her cheerfulness, social image, and fimiliarity, so we need a marketing strategy that emphasizes these points. 3) Jiyun Park is a player worthy of utilization in marketing by her western image such as generous and active characteristics.

      • KCI등재

        Prostaglandin $F2{\alpha}$ 투여가 수퇘지의 성행동과 정액 채취 훈련에 미치는 영향

        홍준기,유재원,조규호,김명직,박준철,김인철,정일병,Hong, Joon-Ki,Ryu, Jae-Weon,Cho, Kyu-Ho,Kim, Myung-Jick,Park, Jun-Chul,Kim, In-Cheul,Jung, Il-Byung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09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Vol.24 No.1

        Prostaglandin $F_2{\alpha}$ ($PGF_2{\alpha}$) can facilitate release of epinephrine from the adrenal gland. The objective was to extend these findings and determine the effects of $PGF_2{\alpha}$ on sexual activity and semen collection training in sexually inexperienced boars. Boars (n=32; $281{\pm}18$ days of age) were moved individually once weekly to a semen collection room equipped with an artificial sow. Before entering the semen collection room, boar received i.m. treatments of $PGF_2{\alpha}$ at doses of 5 (n=8), 10 (n=8), or 20 (n=8), and control boar (n=8) were not treated. Reaction time (elapsed time after entering collection pen until the start of mounting) for boars receiving 5mg ($3.3{\pm}0.9\;min$), 10mg ($3.3{\pm}0.8\;min$) $PGF_2{\alpha}$ was shorter (p<0.05) than for controls ($6.7{\pm}0.9min$). Duration of ejaculation (min) per session was longer (p<0.05) for $PGF_2{\alpha}$ (10 mg, 20 mg)-treated boars ($7.3{\pm}0.7\;min$, $6.9{\pm}0.7\;min$), compared to control ($3.4{\pm}0.8\;min$). The number of training session per boars was less (p=0.056) for $PGF_2{\alpha}$ 10mg-treated boars ($1.0{\pm}0.4$), compared to control ($2.0{\pm}0.4$). Semen characteristic such as volume, concentration, the number of total ejaculated sperm, were similar for $PGF_2{\alpha}$-treated and controls. There was no apparent difference on sperm movement characteristics (Mot: motility, VCL : curve linear velocity, VSL : straight line velocity, VAP : average path velocity, LIN : linearity) after semen preservation by collected with or without $PGF_2{\alpha}$ treatment. In summary, administration of $PGF_2{\alpha}$ in boars increased the sexual activity and facilitated the training boars to mount an artificial sow for semen collection, but did not affect semen characteristic.

      • KCI등재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보유량 증가를 위한 기술 지표 및 거래 시간 기반 전략

        홍준기,강민구,김순태 한국산학기술학회 202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5 No.9

        가상화폐는 일상 속 자산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ETF 승인은 제도권에서 받아들이기 시작한 것을 계기로 자산으로서 입지가 강화되고 있다. 우리는 가상화폐를 더 이상 단순 투자의 대상이 아닌 일상에서 화폐로 사용하거나 금과 같이 안전 자산으로 보유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주목한다. 본 연구는 기술지표와 거래 시간을 기반으로 한 가상화폐 보유 전략의 효과성을 분석하며, 이동평균선(MA, Moving Average), 볼린저 밴드(BB, Bollinger Band), 상대강도지수(RSI, Relative Strength Index) 상대강도지수(RSI, Relative Strength Index, 상품 채널 지수(CCI, Commodity Channel Index) 등 기술지표를 활용하여 백테스팅 결과를 수집한다. 우리의 접근 방법을 분석 및 평가하기 위해 매수 후 보유(Buy & Hold) 전략과 비교한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대상으로 보유량 증감률, 최대손실률(MDD, Maximum Draw Down), 보유기간 등을 평가한 결과, 기술지표 기반 보유 전략이 가상화폐 보유량 증가에 효과를 보였다. 거래 시간에 따라 보유 전략의 수익률의 차이를 확인하고 적합한 투자 시간을 분석했다. 이는 가상화폐 자산을 보유하면서 보유량의 증가를 원하는 투자자에게 유용한 방법 될 것이라 기대한다. Cryptocurrencies are establishing themselves as financial assets, and the approval of Bitcoin and Ethereum exchange traded funds signifies their acceptance within the regulatory framework, strengthening their position as assets. This study focuses on individuals who no longer view cryptocurrencies merely as investment targets but who use them as currencies in daily life or hold them as safe assets like gold.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cryptocurrency holding strategies based on technical indicators and trading times, collecting backtesting results using indicators like moving average, Bollinger Bands, the Relative Strength Index (RSI), and the Commodity Channel Index (CCI). To analyze and evaluate our approach, we compare it with the buy-and-hold strategy. The evaluation metrics for Bitcoin and Ethereum include the rate of increase in holdings, the maximum drawdown, and the holding period. The results show that a technical indicator holding strategy is effective in increasing cryptocurrency holdings. The study also examines the differences in the returns from these strategies depending on the trading time, and analyzes the optimal investment timing. We expect this to be a useful method for investors who wish to increase their cryptocurrency holdings to maintain their assets.

      • KCI등재후보

        초저출생 시대의 상비병력 충원방안에 관한 연구

        홍준기,박상중 조선대학교 군사학연구소 2024 군사발전연구 Vol.17 No.3

        이 연구는 초저출생1)에 따라 2030년대 중반부터 가시화되는 2차 인구절벽 시대의 위기 에 대비하여 미래 북한군과 한국군의 상비병력 규모를 전망하고, 한국군의 적정 상비병력 확보를 위한 실질적인 병력충원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검토, 남·북한 통계자료 분석, 사례연구 등 복합적인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3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여 평가하였다. 첫째, 미래 북한의 인구구조 변화와 북한군의 병력 규모에 대해 분석하였다. 미래 북한의 인구구조는 급격한 인구감소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북한의 상비병력 규모는 현재와 유사 한 120만 명대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현재 북한의 상비병력 규모가 한국보다 약 2.56배 수준임을 고려할 때, 2030년대 이후에는 약 3.5배 수준까지 격차가 더욱 커질 것 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2차 인구절벽 시대 한국의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한국군의 병력 규모를 전망하였 다. 미래 한국의 인구구조는 2040년을 기준으로 심리적 한계선인 5천만명 이하로 감소하고, 합계출산율은 2018년 1명 이하인 0.98명으로 떨어진 이후 2023년 0.72명까지 급격하 게 하락하는 등 전방위적인 인구절벽 시대에 봉착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에 따라, 2022 년 말 기준 한국군 상비병력 규모 약 50만 명은 현 병역제도가 유지될 경우 2040년에는 약 35만 명 수준으로 현재 대비 약 15만 명 정도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따라서, 국 가 차원에서 특단의 병력충원 방안이 강구되지 않는다면 한국군은 장기간 만성적인 상비병 력 부족 상황에 직면할 것으로 우려되었다. 셋째, 다양한 병력충원 방안 중에서 기존에 논의되었던 모병제나 여성 징병제와 같은 실현 가능성이 작은 방안을 제외하고 여성을 포함한 지원병제, 전역 간부 대상 리턴십 (Returnship) 도입, 귀화 외국인 대상 병역 의무 부과, 여군 인력의 대폭 확대 등 실질적 으로 실현 가능한 병력충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미래 한국군의 상비병력 규모 판단과 관련된 기존 연구에서 시도하지 않았던 남·북한 인구구조 변화와 상비병력 규모를 전망하여 비교·분석한 창의적인 연구이다. 또한, 상비병력 충원방안을 현실성 있게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정책적 함의가 있다, This article aims to forecast the size of standing armed forces in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face of a second demographic cliff, which is expected to fully manifest from the mid-2030s, and suggest practical recruitment measures to ensure the appropriate size of standing armed forces in Republic of Korea (ROK) in the future.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set and analyzed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this study forecast demographic changes in North Korea and the size of North Korea (NK)’s armed forces. As NK’s population is not expected to decline as rapidly as ROK’s in the future, the size of NK’s standing armed forces is expected to remain similar to the current level of 1.2 million. Considering that the size of NK’s standing armed forces is currently approximately 2.56 time that of the ROK’s, the gap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is expected to further widen to approximately 3.5 times after 2030. Second, this research forecast demographic changes in the ROK during a second demographic cliff and the size of ROK’s armed forces. ROK is expected to face a demographic cliff across the board as it’s population is expected to drop below the psychological level of 50 million by 2040 while its fertility rate is expected to fall sharply to 0.72 in 2023 after reaching 0.98, which dives below 1 for the first time since 2018. Regarding the supply of armed forces, assuming that the ROK’s current military service system is maintained, the number of ROK’s standing armed forces is expected to decrease by about 150,000 from 500,000 by the end of 2022 to about 350,000 by 2040. Subsequently, ROK’s military is expected to face a chronic shortage of standing armed forces for a long period of time unless the country finds a breakthrough to recruit armed forces at the national level. Third, this article suggested the options that can be practically implemented to recruit armed forces, other than less feasible options, such as the all volunteer military system or the female conscription system, which have been discussed previously. As measures to recruit armed forces, this paper suggests introducing the volunteer-based military system and returnship for retired military officers, imposing mandatory military service for naturalized foreigners, and greatly increasing the number of female soldiers. This study forecasts and compares demographic changes and the size of standing armed forc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hich has not been attempted in previous studies on determining the size of ROK’s standing armed forces in the future. Furthermore, this study has policy implications as it suggests creative options to recruit standing armed forces.

      • KCI등재

        분열분석(들뢰즈), 정신분석 그리고 헤겔 철학에 관한 비교 연구 III - 들뢰즈의 안티 오이디푸스와 천 개의 고원에 대한 정신분석적, 헤겔철학적 관점에서의 비판적 고찰

        홍준기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23 현대정신분석 Vol.25 No.1

        이 논문은 헤겔 철학 그리고 정신분석의 관점에서 특히 후기 들뢰즈 철학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초기 들뢰즈는 자신의 필요에 따라 정신분석을 취사선택적으로 수용했지만, 특히 가타리와의 공동 저작인 안티 오이디푸스 이후부터는 정신분석을 근본적이고 철저하게 비판하는 입장으로 전환한다. 이러한 입장 변화는 들뢰즈 철학과 정신분석과의 관계에 관한 문제를 우리에게 제기한다. 전기 들뢰즈와 후기 들뢰즈의 정신분석 수용의 유사점과 차이점은 무엇이며, 이러한 입장 변화가 이론적, 실천적으로 설득력 있는지 등에 관한 보다 근본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국내외의 대부분의 연구가 이러한 문제에 대해 체계적인 대답을 제시하지 않거나 대답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특히 안티 오이디푸스 와 천 개의 고원 을 중심으로 후기 들뢰즈의 존재론적, 철학적 입장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하고, 특히 정신분석 및 헤겔 철학의 맥락에서 후기 들뢰즈 이론이 갖는 이론적 실천적 문제점들에 대해 비판적으로 탐구한다. 안티 오이디푸스 에서 들뢰즈는 정신분석을 철저히 비판하는 쪽으로 선회하고 ‘분열증’을 특권화하지만, 이는 사실 정신분석적 개념, 그리고 정신분석적으로 재해석된 스피노자의 개념을 오히려 이용하는 자기 모순에 빠진다. 그리하여 그는 천 개의 고원 에서는 보다 철학적이고 존재론적인 비임상적 개념을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본 연구는 이러한 쟁점을 재구성할 것이며, 더 나아가 들뢰즈가 물론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지만 헤겔 철학을 오히려 더욱 헤겔적으로 수용하는 경향을 보이게 되었음을 보일 것이다. 이를 통해 후기 들뢰즈, 헤겔 철학, 정신분석의 관계를 비판적으로 재구성할 것이며, 끝으로 포스트마르크스주의의 길을 열었던 후기 들뢰즈 철학이 갖고 있는 정치철학적 난점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할 것이다.

      • KCI등재

        막-효소 반응기를 이용한 Cyclodextrin의 생산

        홍준기,염경호 한국막학회 1998 멤브레인 Vol.8 No.3

        가용성 전분으로부터 CGTase 효소에 의한 Cyclodextrin(CD) 동족체의 생산 실험을 dead-end형 막모듈을 설치한 막-효소 반응기에서 수행하였다. 회분 반응기에서의 CD 동족체 생산시 생산물 저해작용 및 생산된 CD의 다른 환원당으로의 분해에 의해 반응시간에 따른 전분의 CD 동족체로의 총 전환율이 최대 45%를 나타내었다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반면 분획분자량 10,000 달톤의 분리막이 설치된 막-효소 반응기에서의 CD 동족체 생산시 CD 동족체를 생산 즉시 반응기로부터 막을 통해 연속 분리할 수 있어 총 전환율이 35%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10% 전분용액 및 2 atm 조작압력하에서 막-효소 반응기를 24시간 운전하였을 때 CD 동족체의 누적 생산량은 약 3.7 kg/m2이었다. A study on the bioconversion of soluble starch to cyclodextrin(CD) homologue by CGTase was performed in the membrane-enzyme reactor equipped with a dead-end type membrane module. in the batch reactor, the total conversion of soluble starch to CD homologue was decreased rapidly from a maximum value of 45 % with increasing reaction time due to the product inhibition and breakdown of CD homologue to the reducing sugars. However, in the membrane-enzyme reactor, the total conversion of soluble starch was maintained at a constant value of 35 % throughout the reaction, since the membrane(MWCO = 10,000) promptly separated CD homologue from the reaction mixture. After the macdon for 24 hr in the membrane-enzyme reactor using a 10 % soluble starch solution, the cumulative production amount of CD homologue was about 3.7 kg/m2 at the operating pressure of 2 atm.

      • KCI등재

        장내미생물 Gram 염색패턴을 이용한 누에나방 유충 건강 상태 예측 CNN 알고리즘 모델 구축

        홍준기,윤덕한,오서연,김민서,이지연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3 과학영재교육 Vol.15 No.1

        The present article confirms the crucial role of the microbial environment in the large intestine as a measure of individual health, as demonstrated through silkworm larvae feces. To further explore this,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model was constructed using Gram staining pattern data of intestinal microbes, and its usability was confi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stinal inflammation on individual health, silkworm moth larvae were fed Dextran Sulfate Sodium (DSS) along with mulberry leaves, and the concentration of DSS was varied.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a low distribution ratio of Proteobacteria at the Phylum level, while the control group had a high distribution ratio. The opposite trend was observed in Firmicutes, which was confirmed by changes in the Gram staining pattern at the sub-classification stage.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lower species diversity index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uggesting a significant effect of the DSS solution treatment on individual health. As a result, cocoon formation occurred more rapid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ate of molting increased with weight gain. The CNN algorithm model was developed using big data on Gram staining patterns of intestinal microbes from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Verification using the validation group demonstrated high accurac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health status of silkworm larvae can be predicted through intestinal microbes using the CNN algorithm model, provided that pre-processing procedures such as Gram staining are further elaborated in future studies. 대장 내부 미생물 환경이 개체 건강의 중요 척도라는 것을 누에나방 유충 분변을 통해 확인하고, 장내미생물 Gram 염색패턴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 모델을 구축해서 모델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황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장 내 염증을 유발하는 물질인 Dextran Sulfate Sodium(DSS)의 농도를 변화시켜 뽕나무 잎과 함께 누에나방 유충에게 먹인 실험군은 정상 개체인 대조군에 비해 장내미생물의 종 다양성이 감소하였으며 체중 증가와 함께 탈피속도가 빨라지면서 고치 형성이 빠르게 일어났다. 메타지놈 분석을 통해 Phylum 수준에서는 Proteobacteria의 경우 대조군에서 높은 분포 비율이 확인되지만, 실험군에서는 낮은 분포 비율을 보였다. Firmicutes의 경우에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이런 경향은 하위 분류단계로 이어졌으며 Gram 염색패턴 변화로 확인되었다. 실험군에서는 종 다양성 지수가 낮았으나 대조군에서는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DSS 용액 처리가 개체의 건강에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군과 대조군에 대한 장내미생물 Gram 염색패턴에 대한 빅 데이터를 통해 CNN 알고리즘 모델을 구축하고, 검증군을이용한 검증 결과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향후 Gram 염색 등과 같은 전처리 과정이 정교해진다면 장내미생물을 통해 누에나방 유충 건강 상태를 CNN 알고리즘모델로 빠르게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