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국내 수출기업의 자사 브랜드에 관한 연구

        류재수,공종화 공주영상정보대학 2002 논문집 Vol.9 No.-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우리나라 자사 브랜드 수출기업이 수행하는 브랜드전략에 의한 수출성과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마케팅론적 접근 및 기타 이론을 통해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기존 연구들이 기업규모에 대해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연구 대상을 특정기업에 중점을 두지 않고 자사 브랜드에 의한 수출기업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자사 브랜드에 의한 수출성과를 시장의 특수성과 마케팅에 의한 방법으로 구분하여 연구하던 것을 본 연구에서는 수출성과의 다양성을 감안하여 경영자의 관여도(mind)의 개념을 추가로 도입하여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로서는 기존연구에서 가치성과의 개념과 비용성과의 개념에 따른 두 차원으로 나누어 수출성과의 통합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연구되었으나, 이를 통합하여 연구를 시도하였다. 또한 기업의 전략적 차원인 경영자의 관여도라는 개념을 추가적으로 분석에 포함 시켰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Michael E. Porter(1979)는 브랜드 충성도 특성 요인인 기업 규모에 따라서 자사 브랜드 수출에 의한 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본 연구 결과 브랜드 충성도 특성 요인인 기업규모가 자사 브랜드 수출에 변수로써 작용한다는 가설에 특별한 것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유는 기업 규모가 브랜드 정책에 있어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해외시장의 특수성이 자사 브랜드 의한 수출에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본 결과, 해외시장의 특수성에 따른 수출성과에 마케팅론적 접근이 주요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기존연구결과와 대치되는 것으로서, 마케팅론적 접근방법에 다른 이론적 배경을 통합하여 우리나라 브랜드에 의한 수출기업에 적용한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자사 브랜드에 의한 수출기업의 경우 선진국보다 개도국 및 후진국에 의한 자사 브랜드 수출이 큰 것으로 나라났으며, 해외시장 조사활동 루트를 보면 바이어에 의한 시장조사 활동보단 해외전문기관을 통한 조사활동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수출기업 대부분은 바이어를 통한 시장조사활동 루트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전문 해외시장조사 기관을 통해 수출하는 상대국가보단 미흡하다고 해석 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집중도가 높을수록 브랜드에 의한 수출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효과적인 기업광고가 해외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자사브랜드 수출 비율에 따라서 시장 점유율과 매출액에 비례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경영자의 관여도가 자사 브랜드에 의한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관여도(mind)에 따라 자사 브랜드에 의한 수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개발의 적극적 투자와 브랜드 수출에 대한 홍보, 브랜드 전문인력양성 등 수출에 영향을 많이 미침으로 경영자의 마인드가 무엇보다도 필요한 시점이다. 지각된 품질의 특성 요인인 연구 개발 능력에 의한 분석 결과를 보면 자체 제품 개발과 수입 업자에 의한 개발로 분류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 수출 기업은 자체 제품 개발을 통해 시장 지배력을 획득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사 브랜드에 의한 수출이 수입업자에 의한 개발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조활동을 주도하는 수출기업에 있어서 시장 지배력을 획득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생산품의 우월성인데 이것은 수출기업의 제품개발·혁신능력에 의해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지각된 품질 특성요인인 경로개입도 분석결과, 간접수출과 직접수출, 복수 경로의 세 차원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간접수출 경로를 선택하는 것 보다 직접수출 또는 복수경로에 의한 수출 성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 이유는 간접수출로 인해 유통상의 마진이 빠지기 때문이며, 또한 제품에 대한 권한이 미약해 짐으로써 해외시장에서의 경쟁력이 약화되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 환경경영시스템에서의 기업 전략에 관한 연구

        류재수,조은희 공주영상정보대학 1999 논문집 Vol.6 No.-

        기업을 둘러 싼 주위 환경은 환경에 대한 가치관이 없이는 존립 할 수 없는 상황으로 급진전되고 있다. 이는 환경과 무역을 연계한 각종 규제와 더불어 정부의 정책 또한 환경친화적 기업으로 유도하는 방향으로 강화되고 있다. 여기에 지구환경문제의 부각과 폐기물 문제의 심각화 등 주변의 환경문제를 통하여 소비자는 환경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행동양식이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기업의 환경경영체제의 구축이 더 이상 미를 수 없는 과제가 되었는데, 그것은 과거처럼 단기간 동안 기업의 특정 부서가 환경문제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이고 전략적으로 환경친화적인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기업전체가 환경경영체제로 탈바꿈해 전사적으로 환경오염해결에 대처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환경경영체제의 구축은 반드시 필수적인 환경친화전략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앞에서 우리는 제품이 환경친화적으로 설계되고 생산되어 고객에게 마케팅 되어 최종적으로 폐기 혹은 재활용되는 과정에 따른 효과적인 전략들을 제시하였다. 또한 그 전략들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국내외 기업들의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성공적인 환경경영체제와 전략은 기업에게 많은 성과를 안겨다 주는 것이 사실인데, 이는 사례를 통해서도 입증되었는데 이러한 성과들은 다음과 같다. 먼저, 경영측면에서 얻을 수 있는 성과를 살펴보면 첫째, WTO체제 출범에 따른 업무의 세계화 추진, 둘째, 환경친화적 기업 이미지 확보, 셋째, 직원의 의식개혁 및 자신감 고취 넷 째, 지역 주민과의 신뢰성 확보로 민원발생 최소화, 다섯째, 외부의 환경관련 요구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관리부문에서 얻을 수 있는 성과로는 첫째, 목표를 선정·계획·수행하는 틀의 제공 둘째, 업무의 표준화 및 관리체계의 혁신 셋째, 관리의 Loss제거 및 효율화 넷째, 업무의 노하우 축적 및 공유 다섯째, 환경비용관리 체계 확립으로 환경비용을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현장부문에서 얻을 수 있는 성과로는 첫째, 환경경영체제 이행을 위한 부서별 업무 분담이 명확하고 환경손실의 감소 둘째, 투입원자재 및 에너지의 보존과 절감 셋째, 환경기술 개발 촉진 넷째, 깨끗한 작업환경 조성으로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는 것 등이다. 위와 같이 환경경영체제와 전략의 수행은 기업의 경영·관리·현장부문 모두에 매우 긍정적인 성과를 가져다주는데, 이들은 결국 고객에게 신뢰를 안겨 주고, 비용을 절감케 하며, 매출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업과 궁극적인 목적 성취라고 단언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많은 선진기업들이 현재 환경보호와 기업 경쟁력 강화라는 양쪽을 모두 달성하고 있지만 아직도 국내 산업계는 그렇지 못한 상태다. 91년 페놀사건이 발생했을 때 거센 소비자의 항의를 보면서 국내 기업들은 환경경영에 대한 관심을 가졌었으나 99년인 현재 진정한 환경경영체제 수립과 전략을 수행하고 있는 기업은 그다지 많지 않다. 즉 필요성만을 인식했을 뿐이지 환경경영이 기업경영의 주된 흐름이 되고 있지 못한 것이다. 그러한 주된 이유로는 최고경영진의 환경에 대한 인식부족을 들 수 있겠다. 선진환경경영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기업의 환경경영은 최고 경영층의 의지에 강하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몇몇 기업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국내 기업은 환경은 비용을 유발한다는 오해를 아직도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 수출입 제품에 대해 환경과 무역을 연계하는 세계적인 흐름과 정부와 규제, 소비자들의 환경제품에 대한 소비확산으로 인한 환경리스크에 대한 인식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런 환경리스크는 최악의 경우 기회상실로 인한 매출감소, 매출감소로 인한 경쟁력 상실, 기업활동의 규제, 부당소송, 가동중지 혹은 분담금 등을 지불해야하는 경우를 가리킨다. 환경문제에 대해 우리가 90년대 초반부터 줄기차게 외쳐오는 것은 21세기가 이제 목전에 다가왔으며, 21세기는 환경주의 시대가 될 것이라는 주장이었다. 그러나 99년 현재까지도 국내의 많은 기업들은 그러한 주장을 애써 외면하려고 하고 있다. 물론 환경친화적 경영은 단기적으로는 추가비용을 유발하는 것이 사실이나 장기적으로 기업의 가장 효과적인 경쟁력이 된다는 것이 많은 사례들에서 입증되고 있다. 이제 우리는 DFE, LCA, 그린 마케팅, 폐기물 재활용 전략 기법 등의 도입과 활용을 더 이상 늦출 수도 없으며 늦추어서도 안될 것이다.

      • 중소 유통기업에서의 효율적인 공동 수·배송 물류시스템 도입 방안에 관한 고찰

        류재수,송연식 공주영상정보대학 2001 논문집 Vol.8 No.-

        중소유통기업에서의 효율적인 공동 수·배송 물류시스템을 합리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우선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 정보를 토대로 하여 시스템을 설계하고 그것을 기초로 작업과정을 상세히 작성하여야 한다. 필요한 자료에는 수주에서 납품까지의 시간이나 수주에서 다음번 수주까지의 시간, 차량 단위의 적재율, 차량의 회전율, 차량의 운행대수, 수·배송의 범위와 루트, 수·배송비용의 비율 등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요구되는 검토 항목들은 다음과 같다. ① 수·배송 네트워크의 정비 : 물류거점에 대한 최적 배치와 직접 수송비율의 확대. ② 최적운송수단의 선택 : 육·해·공 운송수단의 원가파악, 구역, 노선, 택배요금의 비교. 차종비교 (대형 전용 차량 또는 경량 차량) ③ 수송효율의 향상 : 가동율과 적재율의 향상 및 상·하역 시간의 단축 ④ 공동 수·배송의 실시 : 사업부문 및 업계 등을 연결하는 수평적 물류시스템의 설계 및 도·소매점 등을 연결하는 수직적 물류시스템의 설계. ⑤ 수·배송의 합리화 수단 고려 : 계획화, 공동화, 정기화, 표준화, 풀화(Pooling). ⑥ 수·배송 합리화를 위한 아이디어 도입 : 대형차량으로의 대체. 사업부문이나 업계간의 공동화. 다른 기업의 재료구입처나 고객에 대한 업무활동의 공동화, 물류센터 및 유통센타의 재배치, 수·배송 정보시스템의 확립, ⑦ 제1차 운송과 제2차 운송간의 연결 : 간선운송과 단말운송간의 연결 이상으로 중소유통기업에서의 합리적인 공동 수·배송 물류시스템을 설계 및 도입, 추진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사항들을 검토하였다. 이를 유통기업의 특성에 따라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하주의 공동 수·배송 물류시스템에 대한 의욕과 함께 시스템화의 능력을 제고시키는 일이다. 또 공동배송을 실현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었으면 물류시스템은 경쟁은 해도 수송 등 개별적인 면에서는 협조한다고 하는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 사내의 이해와 협조를 얻어내야 한다. 공동 수·배송 물류시스템을 달성하려면 여러 가지 곤란한 조건이 있을 수 있으며 단순히 하주 및 기업만의 노력으로도 불가능 할 것이다. 운송업자나 기업측의 지원은 물론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정부의 강력한 지원도 필요할 것이다.

      • 인터넷 백화점의 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류재수 공주영상정보대학 2000 논문집 Vol.7 No.-

        최근 세계적으로 급부상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인터넷 비지니스 즉 전자상거래의 규모는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 이 가운데서도 많은 기업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는 분야는 인터넷 쇼핑몰이다. 그러나 서비스 기업의 하나로 새롭게 인식되는 품질요인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형편이며, 또한 서비스 품질로 인식되는 품질요인에 관한 연구도 미미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터넷 백화점의 서비스품질에 관한 연구로써 기존연구와 인터넷 백화점 사례를 통해서 고객들이 평가하는 서비스품질요인을 추출한 연구로써 기존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요인과 각 인터넷 백화점들이 주안점을 두고 있는 부분을 통해서 서비스의 품질요인을 추출하고자 한다. (1) 할인율 정보의 제공, (2) 구매실적에 따른 보상, (7) 방문유도를 할 수 있는 시스템, (4) 상품 및 서비스의 체계적 분류. (5)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 (6) 개인정보에 대한 안전성, (7) 전자우편, 전화로 백화점 연락 가능성, (8) 고객대응 능력, (9) 시스템 안전성 및 편리성, (10) 인증마크의 획득여부, (11) 새로운 상품 및 서비스의 개발, (12) 상품 및 서비스의 독점적 제공, (13) 상품 및 서비스 검색의 편리성, (14) 상품 및 서비스 가격, (15) 주문의 입력 및 취소가 편리성, (16) 개별적으로 정보를 교횐(on-line 상담), (17) 부가 정보 및 서비스의 제공, (18) 환불, 교환, 반품에 대한 안전과 신속한 응답, (19) 다양한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 (20) 지불수단의 안전과 다양한 대금결재 방법. (21) 배달과정에서 정확성, 신속성, (22) 품질과 A/S에 대한 확실한 보장, (23) 결제과정에서 판매자에 대한 신뢰성 (24) 고객정보의 활용, (25) 쇼핑시간의 단축으로 정리할 수 있다. 소비자들은 인터넷 백화점을 위에서 살펴본 요인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인터넷백화점은 기존에 가지고 있는 패러다임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수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오프라인상에 이루어지고 있는 기존 백화점에서 온라인상에 인터넷 백화점으로 변화와 소비자의 서비스품질에 대한 평가기준을 바탕으로 하는 소비자만족 전략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중소기업에서의 생산직 사원의 연봉제 도입을 위한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류재수,송연식 공주영상정보대학 2002 논문집 Vol.9 No.-

        연봉제의 전략 최근 우리 기업의 연봉제 도입추세는 가히 열풍이라고 부를 만하다. 연봉제의 빠른 확산의 속도는 그 만큼 관심이 집중되었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연봉제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연봉제의 이해와 노사양측이 달리 해석하고 있는 경향도 있다. 이것은 고용조정이나 임금삭감이라고 생각하는 차원에서 볼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임금지급방법이 연봉개념이지 계속근로를 전제로 하여 연구되었으며 능력이 있는 사원에게는 고임금을 지급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으며, 어떠한 방법으로든지 자극적인 임금제도로 정착할 수 있는 방안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효율적인 연봉제가 정착하기 위해서 개념을 정확히 이해시키고 또한 연봉제 설계시에 한국적인 기업문화에 맞는 기법으로 전개하였다. 연구의 한계 연구를 시행하는데 있어 한계점으로 나타난 것은 많은 기업집단, 즉 피보험자의 수준이나 범위가 한정되어 있어 정확한 분석이 되었나 하는 아쉬움이 있다. 많은 업종이나 규모, 직위 또는 전국적인 범위에서 피보험자를 선정하였으면 하는 바램이었다. 또한 실험결과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선정에서 응답자의 이해부족이나 개인적 특성과 집단적 특성을 세분화하여 예비실험분석을 거쳐 보완하고 검토하여 설문지 설계를 보다 더 충실하게 설계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실증분석의 요약 실증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연봉제의 지식정도나 필요성은 많은 피보험자들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고용불안이나 퇴직금 보장의 문제점은 연봉제라기 보다는 피보험자들의 본인이 능력이나 성과 또는 노력정도에서 연봉결정이 이루어지므로 자신을 낮출 수 있는 마음자세가 이루어질 때 고용보장은 가능하며, 불안감은 없어질 것이며 퇴직금에 대한 부분은 사회보험제도를 활용하여 퇴직보험을 본인이 관리함으로서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평가방법에 공정성확보와 신뢰가 이루어질 수 있는 평가방법을 기술적으로 검토하고, 평상시에 수시로 자기고과를 실시한다면 연봉제의 정착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기타 법정수당이나 가산임금의 지급방법은 모형개발에서 제시한바와 같이 당사자의 이해만 시키면 문제가 없을 것이며, 젊은층에서 보다 더 긍정적인 평가는 앞으로 연봉제의 확산이 이루어 질 수 있다는 증거라 볼 수 있다. 생산직 사원에 대한 연봉제 모형개발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가산임금은 시간외 근로수당 임금으로 환산하고, 변형근로시간제를 응용하여 총시간관리를 한다면 오히려 출퇴근 관리, 즉 지각, 조퇴, 결근에 대한 사항은 해소될 수 있다. 부족한 시간에 대하여는 본인이 토요일이나 휴일에 메울 수 있도록 배려하고, 부득이 작업상 여의치 못할 경우 분기별 총시간에 대한 정산을 실시한다면 매월 지급하는 연봉은 일정액으로 지급할 수 있고 별도 등급분의 지급연봉시 차감하면 문제가 없다. 연봉제를 도입하는 주된 이유는 전통적인 연공급 임금제도의 여러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이다. 연봉제는 동기유발형 임금체계로서 성과 및 능력주의를 고취할 수 있으며, 우수한 직원과 열등한 직원을 구분함으로써 무사안일주의를 타파하고, 신상필벌의 원칙을 세우는 효과가 있다. 근무연한에 관계없이 고액 연봉지급이 가능해 짐으로써 우수한 인재를 발굴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고령화와 인사적체의 문제를 안고 있는 기업에서 연봉제를 통하여 능력에 따라 임금을 지급함으로써 승진 이외의 동기유발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매년 호봉승급으로 인하여 노동비율이 자동적으로 누적되어 인건비가 준 고정비화 되는 현상을 해소하며 인적자원의 유연화로 경쟁력강화가 연봉제 도입의 중요한 필요성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An Analysis of Constraints on Pyroprocessing Technology Development in ROK Under the US Nonproliferation Policy

        류재수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23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21 No.3

        Since 1997, the Republic of Korea (ROK) has been developing pyro-processing (Pyro) technology to reduce the disposal burden of high-level radioactive waste by recycling spent nuclear fuel (SNF). Compared to plutonium and uranium extraction process, Korean Pyro technology has relatively excellent proliferation resistance that cannot separate pure plutonium owing to its intrinsic characteristics. Regarding Pyro technology development of ROK, the Bush administration considered that Pyro is not reprocessing under the Global Nuclear Energy Partnership, whereas the Obama administration considered that Pyro is subject to reprocessing. However, the Bush and Obama administrations did not allow ROK to conduct full Pyro activities using SNF, even though ROK had faithfully complied with international nonproliferation obligations. This is because the US nuclear nonproliferation policy to prevent the spread of sensitive technologies, such as enrichment and reprocessing, has a strong effect on ROK, unlike Japan, on a bilateral level beyond the NPT regime for non-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