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楊飛(양비),朴英綠(박영록) 한국교통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2019 동아문헌연구 Vol.- No.-
한국교통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에서는 매년 문헌연구를 주제로 하는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이번 학술대회는 2019년 9월 28일 한국교통대학교 충주캠퍼스 인문사회관에서 진행되었다. 한중일의 연구자들 참여하여 모두 19편의 논문이 발표 되었으며, 기존 주제의 심화와 새로운 관점의 제시, 학제간 연구의 필요성, 새로이 발견된 자료등 다양한 주제의 발표와 토론이 진행되었다. 특히 이번 학술 대회에는 “국제동아문헌연구학회”의 건립을 위한 한국측 준비위원회(이규갑 · 이강재 · 박영록)의 발의하에 동아문헌연구의 국제적 학회를 건설하기 위한 “준비위원회(籌備委)”를 발족 시켰으며, 준비위원장에는 양주대학 전종무(錢宗武)교수님이 발표회장에 모인 학자들의 만장일치로 추대되었다. 이 기요(紀要 · 綜述)는 양비교수가 2/3 분량에 해당하는 중국 · 일본측 학자의 발표 및 학회의 의의를 기술하고, 박영록교수가 한국어로 진행된 발표의 개요를 첨부하는 형식으로 작성한 것이다. 아울러 본 학술 대회는 “재한중국교사협의회(회장:于鵬성균관대학교 교수)”의 도움을 받았으며, 이 자리를 빌어 감사를 표하는 한편, 앞으로도 두 단체간에 다양한 학술교류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박영록 한국중국언어학회 1995 중국언어연구 Vol.3 No.-
在一個句子裏面沒有主語, 沒有賓語, 有沒帶中心語的`的`字詞組, 或者是前後結構不同的`比字句`심마적적시후, 把這樣的現象能不能叫作`省略`, 這是一個難解決的問題. 有人把這些都說成`省略`, 有人却根本不用`省略`的說法. 近來呂叔湘先生提出了一個條件, 可以辨別某些空成分是不是眞正的省略. 他說第一, 如果一句話離開上下文或者說話的環境意思就不淸楚, 必修添補一定的詞語意思才淸楚; 第二, 經過添補的話是實際上可以有的, 竝且添補的詞語只有一種可能. 這樣才能說是省略了這個詞語.(不然,就是`隱含`) 這種看法現在成了個`公論`. 可是這個條件有幾個問題. 第一, 這個條件所說的`意思不淸楚`, 意思反而不淸楚, 所以不能當一個準據. 第二, 添補條件現出了種種的問題. 呂先生說明添補條件時沒有考慮代用動詞, 代詞等等. 結果他擧提的例子都不正確. 還有, 說隱含時考慮到整個句子, 可是說省略時只考慮到包括空成分的那一段詞組, 所以`隱含`근`省略`不在同一個平面上, 會發生矛盾. 從此會懷疑隱含是可不成立的名子파(至少槪念不正確的). 由於這樣的問題, 對比字句問題, 的字詞組問題等, 這個條件還不能乾脆地回答. 我想在句法平面上最好是不用省略的說法. 在這裏僅僅提出呂叔湘先生所講的`省略條件`的種種問題, 단즘마해결저양적문제, 以後將要祥加討論.
元代 법률공문의 인용문과 인용표지 ‘該’ 동사의 용법 고찰
박영록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4 大東文化硏究 Vol.126 No.-
원대는 공문으로 시행되는 단행법을 기본 법체계로 하며, 그 근거가 되는 공문은 누적식 구조를 갖는다. 이때 법규가 되는 공문들을 모아서 편집한 것이『원전장』 등과 같은 원대 법전이다. 원대의 법전에는 원대 법률공문이 갖는 이러한 단행법 체계와 누적식 구조 때문에 많은 인용문이 등장하게 된다. 원대 법전에서 인용문은 생성적 요인에 따라 ①구조적 인용, ②내용상의 인용, ③편집적 인용의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다. 또 인용문을 이끄는 형식적 특징에 따라 무표지 인용문과 유표지 인용문으로 나눌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 주요하게 다루지는 않지만, 인용의 출현 자체는 무표지 인용문이 다수를 이루는데, 이것은 특히 생성적 측면에서 구조적 인용에 주로 관련된다. 유표지 인용은 흔히 기존에 시행된 공문을 인용할 경우에 활용된다. 인용의 표지로는 ‘一款’, ‘節文’ 등 명사적 표지만 사용되는 소수 사례가 있으나 대다수는 동사 ‘該’가 인용표지로 나타난다. ‘該’가 출현하는 상황은 소수 사례까지 포함하여 모두 24 사례로 나눌 수 있다. ‘該’가 인용동사로 사용되는 기본 의미는 ‘갖추다(備)’ 의미항목에서 유래하였으며, 節該, 譯解 등 복합어를 구성하는 경우들이 있으나 단독 동사로서의 성격도 강하다. The Yuan dynasty used a system of single-act statutes issued in the form of official documents as its basic legal framework. The official documents that served as the basis for this system had a cumulative structure. The Yuan legal codes, such as the Yuandianzhang, were compiled by collecting and editing official documents that served as laws. Quotations in the Yuan legal code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based on their creative factors: ①structural quotations, ②content-related quotations, ③editorial quotations. In addition, quotations can be divided into unmarked quotations and marked quotations based on their formal features. While unmarked quotations are not the primary focus of this research, they are the most prevalent type of quotation in the Yuan legal code, particularly in relation to structural quotations used to maintain the code's structure. Quotations with quotation marks are commonly used when citing previously issued official documents. There are also cases where nominal quotation marks such as ‘一款’ and ‘節文’ are used without quotation verbs. However, in the majority of cases, the verb ‘該’ is used as a quotation mark. The basic meaning of ‘該’ as a quotation verb is derived from the meaning ‘to have’ or ‘to possess’ in the ‘備’ sense. Although it can form compound words such as ‘節該’ and ‘譯解’, it also has a strong independent character as a ver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