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漢文科에서의 문학교육과 한자

        박추현 한국한문교육학회 2003 한문교육논집 Vol.20 No.-

        본고는, 한자로 표현되어진 한문학 작품에는 당연히 한자의 언어ㆍ문자학적인 제 특징들이 자연스럽게 반영되기 마련일 것이고, 이들 작품들을 제대로 이해하고 충실히 감상하기 위해서는, 한자에 관한 언어ㆍ문자학적 기초지식이 보조도구로서 그 기능을 해야 한다는 전제에서 졸견을 피력해 보려고 하였다. 한자는 특정한 시기 또는 특정한 지역에서 한 사람 손에 의해 한꺼번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또한 언어학적인 입장에서 보면, 漢語는 형태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고립어이면서, 기본적으로 단음절어이다. 이러한 제 특징들은 실용적인 문자생활에서는 많은 혼란을 야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문학작품으로 표현되어 질 때는 한문학으로 하여금 오히려 여타 언어ㆍ문자들이 흉내낼 수 없는 독특한 형식미를 갖추게 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본고는 한자로 구성된 문학작품에 나타난 독특한 형식을 정제미ㆍ간결미ㆍ운률미 등의 부분으로 나누어, 해당되는 예문을 제시하고 서술하는 방식으로 전개하였다. 후미에는 수사기교에 관한 내용을 다시 雙關ㆍ錯綜ㆍ縮約 등의 부분으로 나누어, 역시 문학작품에 나타난 예를 구체적으로 나열하여 설명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문학교육과 한자에 관한 언어ㆍ문자학적 기초지식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일단을 천명해 보려고 하였다. In this dissertation I wish to give my opinion that Chinese literatures which express in Chinese characters are apt to be reflected in linguistic and literal characteristic of Chinese characters. We must improve our basic knowledge about linguistic and literal expressions as supporting instrument for 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these literary works substantially. Chinese characters do not be created by a person in a special time or an specific area. It also brings lots of confusions in commanding practieal letter because the Chinese word is not only an isolating language but also basically a monosyllabic word if we approach as a philological view. This problem, however, is expressed by an unique form which cannot be imitated by other languages and letters when it is represented by literary works. This paper divides specific form in literary works into three parts; beauty of regularity, beauty of pithiness, beauty of rhythm. It builds up how we present and describe examples correspond with it. It also explains the rhetorical device at the latter part as concrete example in literary works.

      • KCI등재

        교육용 기초한자의 자소분석

        박추현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05 남명학연구 Vol.20 No.-

        This thesis is the study of an analysis on the graphemes using 1,800 Chinese Characters for examining Chinese Character morphology about educational basic-Chinese-Characters at present. I judge I have to set up the notion and the field first for carrying out this study. So I already announced an article entitled "A Study on the Notion and Classification of Chinese Character's Grapheme", which studied the terminology and the notion about constructional analysis and dealt with the problems and the terminology of holding true at China and Korea's academic world. I have divided educational basic-Chinese-Characters with constructional grapheme on the basis of this at this paper. I have also arranged constructional grapheme on four; stroke grapheme, foundation grapheme, peculiar grapheme and temporary grapheme. Then I have divided and attached variant forms with variant grapheme and isomorphic grapheme, and morphems with ideo grapheme and phonic grapheme.First, constructional graphemes are arranged 208 basic-Chinese-Charactersand 73 special-Chinese-Characters. Temporary graphemes aren't presented separately and they are listed including variant graphemes and isomorphic grapheme. Ideo graphemes as functional grapheme are extracted and listed 269, Phonic graphemes are extracted and listed 513 graphemes.After studying, it is discovered that the research of grapheme analysis is the minimum of complement for recovering limits of the number of educational basic-Chinese-Characters. It is also showed the problems can be solved by the process of Chinese Character's learning. However, the problem of choosing terminology and basic grapheme cannot be solved by this without other researcher's help. I hope they continue their study in a positive light for solving this problem. The popularization of the learning on the graphemes could be realized by this premise. 본고는 현행 교육용 기초한자에 대한 字形學的 검토를 위하여, 1800자를 대상으로 字素分析을 시도한 작업이다. 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자소에 관한 개념과 범위의 설정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판단하고, 字素의 槪念과 分類라는 제목으로 構形分析에 관한 기존의 용어와 개념, 현재 중국 및 우리나라 학계에서 통용되고 있는 용어와 구분상의 문제점 등을 정리하여 발표한 바 있다.본고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하여, 교육용 기초한자들의 자소를 構形素와 機能素로 나누고, 구형소는 다시 筆劃字素ㆍ基本字素ㆍ特殊字素ㆍ形體字素 등으로 분류하여 나열하였으며, 이들 자소들의 變異形態를 變異字素와 同形字素로 구분하여 첨부하였다. 機能素는 表意字素와 表音字素로 분류하였다. 구체적 작업의 내용은, 우선 구형소에 있어서 필획자소를 제외한 기본자소 208개와 특수자소 73개를 추출하여 나열하였으며, 형체자소는 따로 제시하지 아니하고, 변이자소와 동형자소에 포함시켜 함께 열거하였다. 기능소로서의 표의자소는 269개, 표음자소는 모두 513개를 추출하여 열거하였다.작업결과, 자소의 분석 작업이 교육용 기초한자의 字數 제한으로 인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최소한의 보완책이라는 필자의 소견이 일정 정도는 확인이 되었고, 아울러 한자학습과정에서 발생하는 字形上의 諸問題를 해결하는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도 검증이 될 수 있었다. 다만, 용어의 설정이나 기본자소의 선정 등의 문제들은 필자 혼자서 감당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며, 한자교학에 종사하는 이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문제점이 지적되고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자소학습의 대중화 역시 같은 전제하에서야 비로소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字素의 槪念과 分類

        朴秋鉉 慶尙大學校 南冥學硏究所 2004 남명학연구 Vol.18 No.-

        한자의 構形에 관한 분석은 한자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필수 불가결한 작업으로서 전통 문자학에서 일찍부터 시도되어 왔고 그에 관한 방대한 양의 著作들이 전해지고 있다. 현대에 이르러서도 전통적인 관점에서의 연구수요 뿐만이 아니라, 한자개혁·한자교학 혹은 한자의 電算化 등 다양한 분야의 필요성에 의해 이에 관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 필자 역시 몇 해 전부터 현재 우리나라에서 통용되고 있는 楷書字形을 대상으로 그 構形 분석에 관심을 갖고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중이다. 이 과정에서 필자는 해서의 자형을 전통의 편방 개념에 의거해 단순히 의부와 음부로만 구분하고, 不成文字素나 變異字素 등에 관해서는 따로 분석을 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제 작업을 마무리해야 하는 단계에 이르러, 포괄적으로 의부와 음부로만 나누어서는 명쾌하게 해결될 수 없었던 부분들을 정리해야 하고, 또한 이 과정에서 그 동안 필자가 견지하고 있던 자소의 개념과 용어 역시 일부 수정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학계에서 사용해 온 기존의 개념과 용어 및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개념과 용어들에 대한 설명과 분석을 통하여 취할 바와 버릴 바를 구하고, 이것으로서 필자의 疏漏했던 부분을 보충하여 자소에 대한 개념과 분류에 관한 졸견을 피력해 보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필획에서 시작하여 整字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한자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들을 '字素'라 하고, 이들 자소들을 크게 두 부류로 구분하여 '構形素'와 '機能素'로 칭하였다. 구형소는 자형의 構造 形態를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그 층차를 파악하기 위한 구별이고, 기능소는 평면적으로 자소가 담당하는 역할을 분석하기 위한 구별이다. 양자는 서로 대립하는 관계가 아니고 상호 보완적 관계로서, 모든 기능소는 구형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며, 모든 구형소는 단독 혹은 두개 이상이 일정한 방법의 조합과정을 거쳐 기능소의 역할을 하게 된다. 구형소는 세분하면 다시 筆劃字素·基本字素·特殊字素·變異字素·形體字素 등의 네 가지로 구분되며, 필획자소는 구형소 가운데 최하위 단위로서 기본자소를 비롯한 기타자소를 구성하는 筆形에 관여하는 자소이다. 기본자소는 일련의 독체자와 소수의 합체자가 이에 해당하며, 기능소를 구성하는 根幹 역할을 하는 자소이다. 특수자소는 사용범위가 극히 제한되거나 사용빈도가 아주 낮은 자소들을 지칭하는 것이며, 변이자소는 隸變 과정에서 자소의 자형을 필사의 편리나 모양을 고려하여 자연스럽게 변화되었거나 의도적으로 변형시킨 경우이고, 그 來源은 대부분 기본자소에서 나온 것이다. 그러나 그 來源을 잘못 파악하여 전혀 다른 형태로 변한 경우도 적지 않다. 형체자소는 특정한 기본자소와 결합했을 때만 일정한 의미를 갖게 되는, 音義가 없이 형체만 존재하는 不成文 부호를 지칭하는 것이다. 기능소는 합체자의 분석을 위해 전통적 사용해 온 편방의 개념과 동일하며, 다만 그 명칭을 表意字素(意符)와 表音字素(音符)로 나누었다. 이외에도, 자소의 또 다른 분류방법으로 根源字素와 派生字素, 同形字素와 同義字素, 獨體字素와 合體字素, 成字字素와 非字字素 등을 제시하였다. The analysis about the structure and the form of Chinese Character has tried as essential works which were regarded as the basic works at a traditional character research and a lot of books were also delivered about it. The study of this subject has been in progress by not only the study demand at traditional viewpoint but the necessity of the reformation of Chinese Character, Chinese Character Education or computerization of Chinese Character. I have investigated standard script of handwriting which was circulated in Korea from a few years ago and I have also been concerned about the analysis about the structure and the form of Chinese Character. However, the associated term was not unified yet. Even though they used the same term, the notion was different in many cases. We have to classify the regulation of term and notion which is related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and the form. Thus, this paper aims to consider and analyze both the arrangement of original term¬ion and current term¬ion. It is also aims to show the opinion of the arrangement of notion at Chinese Character grapheme of and classification of grapheme. In this paper, it is called "grapheme" that is started from numbers of strokes in Chinese Character to completed character. It is also divided two parts as constructional grapheme and functional grapheme. Constructional grapheme is the discrimation for analysis of structure and form at form of character. It is also for understanding of differences. Functional grapheme is the discrimination for analysis of role which is in charge of grapheme superfically. The relationship of two grapheme is not the opposition but the mutual independence. Every functional graphmeme is consisted of constructional grapheme and every constructional grapheme has its own role through mixing progress of fixed ways for one or more than two grapheme. Constructional grapheme is divided with four; strokes grapheme, foundation grapheme, variant grapheme and temporary grapheme. Strokes grapheme is the lowest unit among these grapheme and is related to form of handwriting. Foundational grapheme is composed of a series of individual character and some compositive character and its role is the basic for functional grapheme. Variant grapheme is the changed grapheme from the process of change to clerical script, which has considered for convenience of copying and shape of foundation grapheme, naturally or intentionally. The origin of this is from foundational grapheme but it is sometimes changed for totally different form by understanding of the origin. Temporary grapheme only has meaning when it is composed of specific foundation grapheme. It also indicated uncompleted character which exists figure without sound and meaning. Functional grapheme is the same notion with radical on one side of a character which is traditionally used for a long time for analysis of compositive character. It is just divided with two term; Ideo grapheme and phonic grapheme.

      • KCI등재

        한국 「敎育用基礎漢字 字素表(試案)」와 중국 「現代常用字部件及部件名稱規範」에 제시된 字素의 비교연구

        박추현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6 남명학연구 Vol.52 No.-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Tentative Plan" from "A Study on a Tentative Plan for “Graphemes Table for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Education"(2015) with the "Specification of Common Modern Chinese Character Components and Component Names"(2009), which was set by the Chinese Ministry of Education and is currently in use, assess gains and losses between them, and supplement the "Tentative Plan" for its insufficient aspects based on the results. For those purposes, the investigator first compared the 310 groups and 453 basic graphemes in the "Tentative Plan" with the 441 groups and 514 components of the Specification. There were the following differences between them: 1. Number of graphemes that were found in both of them: 343 2. Number of graphemes that were found only in the former: 3. Number of graphemes that were found only in the latter: 171 The study analyzed the causes of differences between them with a focus on the second and third outcome above and identified the following causes: 1. A gap between the Haeseo style and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2.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characters covered 3.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s of systemicity of characters and reality 4. Whether the method of layered analysis was used or not 5. Others The study assessed gains and losses between them through comparison and found that both of them failed to observe the "principles of grapheme extraction" set each in a consistent manner and were careless in many parts. The findings, however, bring huge benefits such as searching for ways to review again and supplement the problems with the former and discovering the points that needed specific revision in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characters and separation of groups. In addition, the findings can serve as basic data to solve the issue of common usage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Chinese cultural zone and as important learning materials to figure out the substitution principles of Haeseo and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that are the official shapes of Chinese characters in South Korea and China, respectively. 본고는 「교육용기초한자 자소표 制定을 위한 試案 연구」(2015)에서 제시한‘試案’과 현재 중국 교육부에서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는 「現代常用字部件及 部件名稱規範」(2009)과의 상호비교를 통하여, 兩者 간의 得失을 따져 보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試案’의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이를위하여, 우선 ‘試案’에서 제시한 310개 組 453개 기초자소와 중국의 441개組 514개 部件을 서로 비교하여 일차적으로 아래와 같은 兩者 간의 차이를가려내었다. 1. 양자가 동일하게 선정한 자소: 343개2. 前者에서 따로 설정한 자소: 110개3. 後者에서 따로 설정한 자소: 171개본고는 위의 3과 4를 중심으로 하여 양자 간에 차이가 나는 원인을 분석한결과, 그 원인은 아래와 같은 이유에서 비롯된 것임을 적출 할 수 있었다. 1. 楷書體와 簡體字 간의 乖離 2. 對象 字數의 차이3. 문자의 系統性과 現實性에 대한 인식차이4. 層次分析 방법의 채택여부5. 기타이상의 비교작업을 통하여 양자 간의 得失을 糾明해 본 결과, 양자 모두 각각 설정한 ‘자소추출원칙’을 일관되게 지키지 못한 경우가 적지 않게 확인되었고, 疏漏한 부분 역시 적지 않게 발견되었다. 그러나 작업을 통하여 전자의 문제점을 다시 검토하고 보완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게 되었으며, 자소 數의 增減 、分組(組 나눔) 등의 문제에 있어서는 구체적으로 修訂 해야 할 부분도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은 큰 수확이라고 판단되었다. 이외에도, 본고의 작업결과는 한자문화권에서의 한자공용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현재 韓中 양국에서 각각 公式字形으로사용하고 있는 楷書體와 簡體字간의 互換原理를 파악하는데 있어서의 중요한 학습자료로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楷書體의 字形敎育과 變異字素

        박추현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1 남명학연구 Vol.32 No.-

        The Chinese characters in the form of Kaishuti currently used in Korea have been arranged through a long term process of standardization but have many big and small problems in terms of study and application. One of them is the enormous number of variants of individual graphemes. Chinese characters had the meaning-representing of the forms themselves much damaged after the change to clerical script, and most of the individual graphemes were encoded but still function as the parts of meaning or sound. However, they also take completely different forms according to the locations or the objects and methods of combination in many cases. Those phenomena are part of the most demanding issues to solve when studying and applying Chinese characters. The investigator has invested several years in extracting and sorting out graphemes in Chinese characters with interest and presented preliminary results. In 2010, the investigator presented a paper titled "A Study on the Variant Forms of Graphemes in Chinese Characters in the Form of Kaishuti," which analyzed and sorted out the variant forms of graphemes when there were two or more character forms or two or more different graphemes were arranged in the same forms as the forms of certain graphemes settled down in the form of Kaishuti through Lishu in the family of ancient characters. The primary goals of this study were to propose some ways to make use of variant graphemes for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forms based on those findings and gather some opinions regarding the subject. There will be a good number of issues to emerge in the process, and the most serious one will concern the risk that more confusion will be added to the education if the variant graphemes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characters study and those as part of a practical character system are to be individually distinguish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same criteria. In addition, it is no simple matter to set the scope of Chinese characters to be analyzed. Those issues cannot be solved by a couple of researchers, and it is urgent to get some basic data to initiate the discussion. Thus the study set out to analyze and sort out the individual variant graphemes found in the 1,8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Education" whose scope has already been set, as well as to provide some personal opinions regarding their utilization plans.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한자의 해서체는 오랜 기간 동안의 규범화과정을 거쳐 정리된 것이지만, 그 학습과 운용에 있어서는 여전히 적지 않은 문제점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개별 자소의 변이형태가 워낙 많다는 점이다. 한자는 隸變 이후 자형 자체의 象意性은 많이 훼손되어 대부분의 개별 자소들이 符號化되긴 하였지만, 여전히 義符 혹은 音符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데 비해, 자소의 사용위치 혹은 결합대상이나 방법에 따라 전혀 다른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들은 한자의 학습과 운용과정에서 봉착하게 되는 난제들 가운데 해결하기가 가장 까다로운 문제라 아니할 수 없을 것이다. 필자는 몇 해에 걸쳐 한자의 자소추출 및 정리에 관심을 갖고 일련의 작업을 진행해 왔으며, 2010년에는, 고문자 계통에서의 특정한 자소의 자형이 예서를 거쳐 해서체 자형으로 정착하는 과정에서 두 개 이상의 자형으로 나타나는 경우 혹은 상이한 두 개 이상의 자소가 동일한 형태로 정리된 경우 등의 자소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 변이형태를 분석、정리하여 「한자 해서체 자형에 나타나는 자소의 변이형태 小考」라는 제목으로 졸고를 발표한 바 있다. 본고는 이상의 작업 결과들을 바탕으로 하여, 자형교육 현장에서 변이자소들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관한 방법을 제시하고 공론화하는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이 과정에서 적지 않은 문제점들이 적출 될 것이며, 그 가운데 가장 심각한 문제는, 한자학적인 관점에서의 변이자소와 실용적 문자체계로서의 변이자소를 동일한 기준으로 일일이 구분하고 분석해야 한다면 오히려 교육현장에서 혼란만 가중시킬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분석대상 한자의 범위설정도 간단한 문제는 아닐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결코 개별 연구자 몇 명에 의해서 결정될 문제가 아니다. 다만, 논의의 시작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는 시급히 제시되어야 할 것이라는 판단에서, 본고는 기왕에 설정되어있는 「교육용 기초한자」1800자를 대상으로 하여, 출현하는 개별 변이자소를 분석 정리하고, 그 활용방안에 관한 개인적 의견을 제시해 보려고 한다. 중국 교육부에서는 2009년에 공포한「현대 상용한자의 部件 및 부건명칭 규범(現代常用字部件及部件名稱規範)」을 통하여, 현대한어 3500 상용한자의 514개(441組) 部件을 제시해 놓고 있으며, 이 가운데에는 해서체에서도 운용되고 있는 ⺈(負字頭)、⺧(告字頭)、(春字頭)、(靑字頭)、⺢(水底) 등의 변이자소들도 포함되어 있다. 일반자소 및 변이자소가 모두 정리되어 학계의 논의를 거쳐 그 필요성이 인정된다면, 우리나라에서도 「교육용 기초한자」의 부록으로 構形素로서의 자소목록이 제시되어, 교육현장에서 유용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자 해서체와 간체자의 자소대응관계 분석

        박추현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7 남명학연구 Vol.55 No.-

        Being part of the investigator's series research on graphemes in Chinese characters, this study set out to compare and analyze specifically grapheme correspondence relations between the standard style of Chinese handwriting and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graphemes in the standard style of Chinese handwriting and graphemes in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The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chosen to compare correspondence relations between them was 8,105 from the "Standard Chinese Characters Table"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State Language Commission of China and finally proclaimed by the State Council in 2013. The investigator made the two following attempts with the 8,105 characters: First, the characters whose types based on the standard style of Chinese handwriting continued to be in use were excluded from the 8,105 characters, and the characters that were subjected to replacement or omission in the simplification process were identified. Then the characters were sorted out by the graphemes, which were grouped based on the 214 radicals used in the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for the standard style of Chinese handwriting. Secondly, the identified basic grapheme correspondence relations between the standard style of Chinese handwriting and the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were used to sort out and list the graphemes in the standard style of Chinese handwriting connoted in those of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ose two basic works, the investigator sorted out the types of replacement, analyzed the following issues, and discussed their gains and losses: First, the issue of consistency in the replacement process of graphemes Second, the issue of fitness and ambiguity in grapheme replacement Third, the issue of replacing graphemes and Completed characters Fourth, the issue of isomorphism Finally, other issues 본고는 필자가 관심을 갖고 진행하고 있는 한자 자소관련 연구 작업의 일환으로서, 그 동안 발표해 온 해서체 자소분석 결과와 簡體字 部件 관련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해서체와 간체자 간의 자소대응관계를구체적으로 비교분석해 보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양자간의 대응관계를 비교하기 위한 한자의 字量은 중국 敎育部와國家語言文字工作委員會가 제정하고, 2013년 國務院이 최종 공포한통용규범한자표의 8,105字로 하였다. 본고는 이들 8,105들을 대상으로 하여, 우선 아래와 같은 두 가지작업을 시도하였다. 첫째, 8,105자 가운데 자소대체가 발생한 글자들을 먼저 추려내고, 부분대체 혹은 일괄대체인가를 확인하여, 해서체 자소의 자소별 沿用 및 대체 현황을 정리하였다. 개별 자소들은 전통 해서체 자전에서 사용한 214部首를 이용하여 나열하였다. 둘째, 첫 번째 작업을 통하여 파악된 해서체와 간체자의 기초적 자소대응관계를 이용하여, 간체자 자소가 내포하고 해서체 자소들을 정리하여 나열하였다. 이상의 두 가지 기초 작업을 통하여 추출된 결과들을 대상으로, 대체방식의 유형들을 정리하고, 아래와 같은 문제들을 분석하여 그 득실을논하였다. 첫째, 자소대체 과정에서의 일관성 문제둘째, 자소대체의 적합성과 모호성 문제셋째, 字素대체와 成字대체 문제넷째, 同形化 문제다섯째, 기타

      • KCI등재

        「교육용기초한자 자소표」制定을 위한 試案 연구

        박추현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5 남명학연구 Vol.48 No.-

        Based on the recognition of an urgent need to make a "graphemes table" for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education, this study roughly set the "principles of grapheme extraction" and "organization of graphemes table" based on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m, the study drew up a tentative plan for "Graphemes Table for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Education," set 454 basic graphemes of 311 groups, and presented secondary and tertiary graphemes as well according to the analytical strata differences. The "principles of grapheme extraction" proposed in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Keeping the systemicity of Chinese characters alive based on the structure origins within a possible scope. 2) Examining the origins of Chinese characters based on their Standard script shapes when their current shapes are not available for the purpose. 3) Setting all the graphemes crossed and overlapped as primitive graphemes instead of disassembling them. 4) Disassembling no character shapes that can be disassembled based on their forms on the surface when they do not fit the structure origins or have all of their graphemes not used in other graphemes at all after disassembly. The graphemes table proposed as a tentative plan in the study consists of group numbers, grapheme numbers, primitive graphemes, variant forms, secondary graphemes, tertiary graphemes, names of graphemes, sample characters, and notes. Individual graphemes were enumerated according to the syllabic orders of primitive graphemes listed at the top of each group. The graphemes of each of 311 groups on the graphemes table have three-pronged organic relations with the primitive graphemes at the top of each group in shapes, pronunciations, and characters. Each group presents a list of primitive graphemes, derivative graphemes, and graphemes of the same shapes with the grapheme numbers allocated only to the primitive ones. At the end of the study, the investigator raised a possibility that the issues of "choices between systemicity and current character shapes" and "naming graphemes" could still be problems even though the "Graphemes Table" was made based on the principles of grapheme extraction. It was also proposed to make all sorts of index- and character formation-based graphemes tables to increase the completeness of the table, which requires the standardization of character shapes and pronunciations and the readjustment of strokes and traditional Radical. Since those issues cannot be solved by the arguments of a couple of individuals, the academic world needs to discuss them among the members for their solution. 본고는 교육용 기초한자에 대한 ‘자소표’ 제정이 시급하다는 인식 아래에서, 先行作業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자소추출 원칙’ 및 ‘자소표의 구성’ 등의 大綱을 정하고, 그에 의거해 「교육용 기초한자 자소표」 試案을 작성하여 310組 451개의 基礎字素를 설정하였으며, 分析層次에 따라 二次、三次字素들도 같이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제시한 ‘자소추출 원칙’은, 아래의 네 가지로 요약된다. 1) 가능한 범위 내에서 字理에 근거해 한자의 系統性을 살린다. 2) 현실 자형으로 그 근원을 밝히기 힘든 경우에는 楷書體 자형에 근거한다. 3) 交叉重疊되어 결합되는 자소들은 拆分하지 않고, 모두 기초자소로 설정한다. 4) 외형상 拆分할 수 있는 자형이라 하더라도, 字理에 맞지 않거나 拆分 후의 자소 모두가 여타 자소에서는 전혀 사용되지 않는 경우 拆分하지 않는다. 본고에서 試案으로 작성한 자소표는 組번호、字素번호、基礎字素、變異形態、二次字素、三次字素、字素名稱、例字、備註 등으로 구성되고, 組의 나열은 각 組 제일 위에 위치하는 代表基礎字素의 音順에 의거하였다. 자소표에서 제시하는 310개 組에서, 동일한 組로 편성되어 있는 자소들은 대표기초자소와 서로 形、音、義 삼자간 유기적 관계를 맺고 있는 자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각 組에는 基礎字素와 派生字素 및 同形字素들이 같이 나열되어 있으며, 자소번호는 기초자소에만 부여하였다. 설정한 자소추출원칙에 의거하여 「자소표」를 작성하였지만, ‘系統性과 現實字形 사이의 선택문제’ ‘자소명칭 부여의 문제’ 등은 여전히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는 점도 末尾에 언급하였다. 향후 좀 더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각 종 索引 및 成字字素表 등이 추가로 작성되어야 한다는 견해도 피력하였으며, 이를 위해서는 字形 및 字音의 규범화、筆劃 및 傳統 字典 部首의 재조정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은 어느 한 두 사람의 주장으로 해결될 수 없는 것으로, 學界의 公論化를 통해서 비로소 이루어 질 수 있다는 점 역시 언급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