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84년도 춘계총회 및 학술발표회 행사진행 및 발표논문요지] 말똥성게 , Hemicentrotus pulcherrimus 에 대한 온천수의 급성독성

        박청길,이석모 한국수산학회 198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17 No.3

        溫泉川과 같은 도시하수는 석유화학공업을 비롯하여 새로운 합성섬유, 살충제, 세척제 등을 생산하는 유역의 산업폐수와 이들 생산품을 사용하는 가정하수가 주종을 이루고있다. 이런 하수가 灣으로 流入되어 海水와 혼합 될 때는 다양한 毒性끼리 서로 合成, 中和되어 최초의 特性과는 전혀 다른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를 化學的 分析을 통해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기술이 미처 따르지 못하고 있다. 이에 溫泉川을 시험용 액으로 말똥성게에 대한 急性毒性을 실험하여 水質汚濁이 水族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적으로 조사하였다. 실험방법은 수질분석을 통해 방류수 수질기준과 비교하였고, 下水를 海水와 희석하여 96시간동안 대순환식으로 말똥성게의 管足에 의한 부착정도를 관찰했다. 96시간 말똥성게의 부착에 영향을 주는 농도는 40.0∼51.0%로 適用係數 0.1을 適用, 影響限界濃度는 4.0∼5.1%임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는 수질분석을 통하여 방류수 수질기준까지 처리해야할 수준보다 훨씬 낮게 나타남을 보여준다. 이러한 현상은 기준이 미쳐 설정되지 못한 계면활성제(LAS)와 같은 성분이 半致死濃度 이상으로 汚染되어 있고 그외 복잡다양한 염들이 서로 혼합되어 毒性을 야기시키고 있음을 입증한다.

      • KCI등재

        해수중에서 유처리제 및 유처리제 / Bunker - C 유 혼합물의 생분해도와 용존산소소비에 관한 연구(Ⅰ) : 유처리제의 생분해도와 용존산소소비 The Biodegradability of Dispersants and the Dissolved Oxygen Consumption in the Seawater

        박청길,김광수,유선재 한국수산학회 1993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6 No.5

        유처리제의 생분해도와 유처리제가 해수중의 용존산소에 미치는 영향을 究明하기 위해서 세 제품의 유처리제(SG, GL, WC)와 비이온 계면활성제(OA-5)에 대한 TOD분석, 원소분석 및 해수중에서의 생분해 실험을 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의 유처리제는 2.37∼2.80㎎의 TOD, 1㎎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2.45㎎의 TOD를 나타내었다. 2. 유처리제는 탄소가 67.6∼76.5%, 수소가 10.2∼12.3%였고,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탄소가 65.3%. 수소가 10.3%였으며 어느 것에서도 질소는 검출되지 않았다. 3. 유처리제는 생분해시 제품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1㎎의 유처리제가 0.403∼0.595㎎의 BOD_5 및 7.703∼0.855㎎의 BOD_(20)를 유발하였다. 또한 1㎎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0.50㎎의 BOD_5 및 0.97㎎의 BOD_(20)를 나타내었다. 4. 해수중에서 탈산소계수(K₁)는 유처리제(4.0㎎/ℓ)의 경우 0.121∼0.171/day, 비이온 계면활성제(2.0㎎/ℓ)의 경우 0.181/day로 나타났다. 또한 유처리제 1㎎의 최종산소요구량(L_o)은 0.789∼0.953㎎로서 계면활성제 1㎎의 최종산소요구량 0.956㎎과 비슷하였으며, Glucose 1㎎의 TOD값 1.07㎎에 접근하는 값이었다. 5. 해수 중의 생분해도(BOD_5/TOD)에 있어서, 유처리제는 17∼21%,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약 20%로서 모두 중간 분해군에 속하였다. As the dispersants and the dispersant/oil mixtures are degraded naturally by the microorganisms in the seawater, the consumption of dissolved oxygen may cause marine organisms to be damaged especially in the waters where the dissolved oxygen level is low due to the pollution and the restriction of seawater flow. The biodegradation experiment, the TOD analysis and the element analysis for three dispersants(SG, GL and WC) and a nonionic surfactant(OA-5) were conducted for the purposes of evaluating the biodegradability of dispersants and studying the effect of dispersants on dissolved oxygen in the seawater. The results of biodegradation experiment showed 1㎎ of dispersants to be equivalent to 0.403∼0.595㎎ of BOD_5 and to 0.703∼0.855㎎ of BOD_(20), and 1㎎ of nonionic surfactant to be equivalent to 0.50㎎ of BOD_5 and to 0.97㎎ of BOD_(20) in the natural seawater. The results of TOD analysis showed 1㎎ of dispersants to be 2.37∼2.80㎎ of TOD and l㎎ of nonionic surfactant to be 2.45㎎ of TOD. The results of element analysis showed carbon content and hydrogen content to be 67.6∼76.5% and 10.2∼12.2% for dispersants, and 65.3% and 10.3% for nonionic surfactant, respectively. No nitrogen element was detected in dispersants and a nonionic surfactant. The biodegradability of dispersants shown as the ratio of BOD_5/TOD was found to be in the range of 17∼21%, and that of nonionic surfactant was found to be about 20 %. This means that dispersants and nonionic surfactant belong in the organic matter group of middle-biodegradability. The deoxygenation rates(K₁) and ultimate oxygen demands(L_o) obtained through the biodegration experiment and Thomas slope method were found to be 0.121∼0.171/day and 3.155∼3.810㎎/ℓ for 4㎎/ℓ of dispersants and to be 0.181/day and 1.911㎎/ℓ for 2㎎/ℓ of nonionic surfactant in the seawater, respectively.

      • KCI등재

        해수중에서 유처리제 및 유처리제 / Bunker - C 유 혼합물의 생분해도와 용존산소소비에 관한 연구(Ⅱ) : 유처리제 / Bunker - C 유 혼합물의 생분해도와 용존산소소비 The Biodegradability of Dispersant Bunker - C Oil Mixtures and the Dissolved Oxygen Consumption in the Sea

        박청길,김종구,김광수 한국수산학회 1993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6 No.6

        해수중에서 유처리제에 의해 유화·산된 Bunker-C유의 생분해도와 이로 인해 나타나는 용존산소소비를 연구할 목적으로 국내에서 시판 중인 유처리제 및 국내 연안에 있어 유류오염사고의 주종을 이루고 있는 Bunker-C유에 대한 TOD분석과 원소분석을 행하고, 또한 Bunker-C유/유처리제 혼합물에 대해 천연해수를 이용한 생분해 실험을 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의 Bunker-C유는 3.16㎎의 TOD를 나타내는 반면에 1㎎의 유처리제는 2.80㎎의 TOD값을 나타내었다 2. Bunker-C유는 87.3%의 탄소와 11.5%의 수소를 함유하였으며 유처리제는 76.5%의 탄소와 12.2%의 수소를 함유하였다. Bunker-C유와 유처리제 중 어느 시료에서도 질소는 검출되지 않았다. 3. 천연해수 중에서 일정량의 Bunker-C유(4㎎/ℓ)에 대하여 유처리제를 10:1∼10:5의 혼합비율로 첨가한 Bunker-C유/유처리제 혼합물에 관해서 정리하면, 혼합물의 BOD_5는 0.34∼2.06㎎/ℓ였고 BOD_(20)는 1.05∼5.47㎎/ℓ였다. 또한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혼합물의 BOD는 증가하였다. 혼합물은 생분해도(BOD_5/TOD)가 3∼11%로서 저율 분해군에 속하였다. 또한 혼합비율이 10:1에서 10:5로 증가함에 따라 혼합물의 생분해도는 3%에서 11%로 증가하였다. 혼합물의 탈산소계수(K₁)는 0.072∼0.097/day였으며, 혼합물의 최종산소요구량(L_o)은 1.113㎎/ℓ∼6.746㎎/ℓ로서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최종산소요구량도 증가하였다. The biodegradation experiment, the TOD analysis and the element analysis for dispersant, Bunker-C and dispersant/Bunker-C oil mixtures were conducted for the purposes of evaluating the biodegradability of dispersnat/Bunker-C oil mixtures and studying the consumption of dissolved oxygen with relation to biodegradation in the seawater. The results of biodegradation experiment showed the mixtures with 1:10∼5:10 mix ratios of dispersant to 4㎎/ℓ of Bunker-C oil to be 0.34∼2.06㎎/ℓ of BODS and to be 1.05∼5.47㎎/ℓ of BOD_(20) in natural seawater. The results of TOD analysis showed 1㎎ of Bunker-C oil to be 3.16㎎ of TOD. The results of element analysis showed the contents of carbon and hydrogen to be 87.3% and 11.5% for Bunker-C oil, respectively, but nitrogen element was not detected in Bunker-C oil. The biodegradability of dispersant/Bunker-C oil mixture shown as the ratio of BOD_5/TOD was increased from 3% to 11% as a mix ratio of dispersant to 4㎎/ℓ of Bunker-C oil changed from 1:10 to 5:10, and the mixtures were found to belong in the organic matter group of low-biodegradability. The deoxygenation rates(K₁) and ultimate oxygen demands(L_o) obtained through the biodegration experiment and Thomas slope method were found to be 0.072∼0.097/day and 1.113∼6.746㎎/ℓ for the mixtures with 1:10∼5:10 mix ratios of dispersant to 4㎎/ℓ of Bunker-C oil, respectively. The ultimate oxygen demand of mixture was increased as a mix ratio of dispersant to Bunker-C oil changed from 1:10 to 10:5. This means that the more dispersants are applied to the sea for Bunker-C oil cleanup, the more decreases the dissolved oxygen level in the seawater.

      • KCI등재

        식품저장용 옹기류의 납 용출에 관한 연구

        박청길,이군자 한국수산학회 198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14 No.3

        Leaching of lead from glazed potteries was studied under various conditions. The amount of lead was determin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Lead content was tended to increase with lowering pH of the solution below pH 4, but it was not detected at above pH 6 during the storage period of six weeks. More lead was leached out from the glazed potteries with red color than those of black color at the same pH. No lead was detected when the medicine-boiling pots were boiled with water or 4% acetic acid solution for six hours. A significant accumulation of lead, however, was shown in Kimchi and mixed solutions of organic acids when they stored in the lazed potteries more than three weeks, although they appeared lead-free by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 Test Method.

      • 天然水中의 微量 重金屬의 化學種에 관한 硏究 : 1. 河川水中에 첨가한 구리(Ⅱ)의 化學種 1. Chemical species of the added copper(Ⅱ) in river waters

        朴淸吉 釜山水産大學校 1981 釜山水産大學 硏究報告 Vol.21 No.2

        河川水中에 구리 이온을 첨가 하였을 때 어느 정도가 자유 이온 상태의 化學種으로 남아 있고 어느 정도가 水中 成分과 結合된 상태의 化學種으로 있게되는지, 그리고 어떤 成分과 主로 結合하는지를 究明하기 위하여 Ion specific electrode를 이용해서 落東江, 보수천, 水營江 및 釜山水産大學內 샘물에 對하여 調査한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天然河川水에 구리 이온을 점차로 첨가하면 최초 微量첨가 동안에는 자유 이온 상태의 化學種으로 存在하는 것이 아니고 거의 대부분이 結合된 상태로 存在하였다. 2. 구리가 結合된 상태로 存在하는 정도와 그 量은 試水中의 總炭素 濃度와 관련이 있었다. 즉 總炭素量이 45.7㎎/ℓ로 가장 높은 학교 샘물이 試合能力이 가장 컸고 總炭素量이 8.4㎎/ℓ로 가장 낮은 落東江의 구포 試水가 結合能力이 가장 작았다. 3. 구리와 結合에 관여하는 成分으로는 落東江물과 학교샘물의 경우 거의 全部가 carbonate였으나 汚濁이 심하게 된 보수천과 水營江의 경우 carbonate가 역시 主였으나 그의 有機物에 의한 역할도 인정되었다. 4. 보수천과 水營江의 구리-有機物 錯體의 conditicral stability constant를 계산해 보면 보수천이 3.75×10⁴이고 水營江은 3.04×10⁴이었다.

      • SCOPUSKCI등재

        천연수중 구리 및 카드뮴의 화학종 예측

        박청길,김은식,Chung Kil Park,Un Sik Kim 대한화학회 1985 대한화학회지 Vol.29 No.6

        To predict speciation of copper and cadmium in natural waters, the stability constant of complexes formed between copper or cadmium and natural organic ligands have been determined by the ion selective electrodes at pH 6. The stability constants for copper and cadmium, log $K'_{CuL} = 5.80\;and\;log K'_{CdL}=3.82$, were incorporated inot MINEQL computer program and prediction of chemical species of copper and cadmium in a model fresh water system was made by using this computer program. The natural organic ligands form complex with cupric ions at the concentration of $10^{-6}$ moles/l and with cadmium ions at the concentration of $10^{-5}$ moles/l. This result showed that prediction of chemical species of heavy metals in natural waters was not possible without taking into account the presence of the natural organic ligands. 천연수중에 들어간 구리 및 카드뮴이 천연수중의 각종물질들과 상호작용하여 어떤 화학종으로 존재하게 될 것인가를 예측하기 위하여 금속과의 착화반응에 관한 자료가 아직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천연유기물과 구리 및 카드뮴간의 착화물의 안정도 상수를 측정하였다. 이온 선택성 전극을 사용하여 pH6에서 전위차 적정법으로 구한 천연유기물과 구리 및 카드뮴 간의 착화물의 안정도 상수는 각각 log $K'_{CuL} = 5.80,\;log K'_{CdL}=3.82$였다. 이 값을 MINEQL 컴퓨터 프로그램의 자료에 새로이 넣고 모델 하천수에 대하여 전연유기물의 존재를 고려했을 때와 고려하지 않았을 때의 구리 및 카드뮴의 화학종을 계산하여 비교 검토해 보았다. 천연유기물이 $10^{-6}M$ 정도만 있어도 구리와 착화물을 형성하였으며 카드뮴의 경우는 천연유기물이 $10^{-5}M$ 정도 있으면 착화물을 형성 함으로서 천연유기물이 금속들의 화학종 분포에 상당히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동해안 냉수괴의 해양화학적 고찰

        박청길 한국수산학회 1978 한국수산과학회지 Vol.11 No.2

        韓國 東海岸海域에서 夏季에 出現하는 冷水塊의 全成機構를 海洋化學的인 側面에서 檢討한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東海沿岸의 冷水塊出海域의 燐酸鹽과 溶存酸素의 특수한 關係를 調査한 結果 東海南部 沿岸海域인 甘浦부근 海域에서만 湧昇現象을 인정할 수 있었으나 그 以北 東海中部海域에서는 湧界現象을 인정 할 수 없었다. 2. σ_t-O₂ diagram에 의해 東海沿岸海域의 構成水塊를 分析하면 T-S diagram으로는 區別하기 어려운 北韓寒流系水와 日本海固有冷水를 區別할 수 있었다. 3. 東海南部 沿岸海域을 除外한 東海中部 沿岸海域에 出現하는 冷水塊의 起源은 日木海固有冷水의 湧昇에 의한 것이 아니고, 北韓寒流가 沿岸을 따라 南下하는 現象 때문으로 보인다. The cold water mass appeared in offshore of the east coast of Korea in summer season was studied in aspect of chemical oceanography. Such a typical relationship between phosphate and dissolved oxygen as shown in the upwelling regions could not be found in the east coast except around the Kampo coast, southern part of the east coast. It is possible to isolate the North Korean Cold Water from the proper water of the Japan Sea by using σ_t-O₂ diagram. The origin of the cold water mass in offshore of the east coast of Korea in summer is not mainly due to the development of upwelling of the proper water of the Japan Sea but the southward flowing of the North Korean Cold Wat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