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試談老子思想對当代世界文化整合和科學硏究的指導性意義

        張進峰 동양사회사상학회 2004 사회사상과 문화 Vol.9 No.-

        20세기의 세계는 전통 사상이 비판되고, 전통적인 가치가 파괴되며, 생활 양식이 부단히 개방적인 문화 다원의 시대이다. 동시에 21세기는 (전통) 사상이 계승되고, (전통) 가치가 재건되며, 생활 양식이 보수화되어 가는 문화 정합의 시대이다. 20세기의 각종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킨 핵심은 인류가 자연의 추세를 거스르고 또한 자연을 멀리하여 여러 나쁜 결과를 초래한 데서 찾을 수 있다. 이로 인해 21세기 세계 문화의 정합적 방향은 자연을 근본으로 삼고, 자연으로 회귀하고자 한다. 노자 사상 가운데 “사람은 땅을 법 받는다(人法地)”는 사상, “천지는 어질지 않아서 만물을 짚으로 만든 개로 여긴다(天地不仁 以萬物爲芻狗)”는 사상, “높은 선善은 물과 같다(上善若水)”는 사상, “음을 지고 양은 안는다(負陰抱陽)”는 사상, 도를 먼저 밝히고 덕을 세운다는 “인위적으로 하지 않아도 이루어지지 않는 바가 없다(無爲無不爲)”는 사상이 곧 지금 자연을 근본으로 삼고 자연으로 회귀하는 사상을 잘 이용하여 직접적인 사상 자원으로 삼는 데에 있다. 당연히 노자 사상에는 시대 초월의 정신이 있으며, 그밖에도 현대과학 발전전략 방향에 대해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우리는 당연히 “인간이 자연의 입법이 된다”라고 하는 경향성을 없애야 하며, 이로부터 인류의 도덕과 행위 규범체계를 중건해야 하며, 아울러 이러한 전제에서 과학과 자연을 이용해야 한다. 이러한 덕을 가질 때에 비로소 “인위적으로 하지 않아도 이루어지지 않는 바가 없다”는 경지가 된다. 과학지상주의의 망상을 거쳐서 미혹의 길로 나아가는 인류 사회는 바로 노자의 철학사상으로부터 바른 길로 나아갈 수 있는 지혜를 얻을 수 있다.

      • 論人的存在的層次性

        장진 동양예학회 2013 東洋 禮學 Vol.28 No.-

        인간이 무엇인가 하는 물음은 인간의 본질에 관한 물음이다. 이 물음은 반드시 형이상학적 사유를 통해 해결해야 된다. 전통적 형이상학은 고정된 형이상학적 사유인데, "인간이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인간은 어떤 사물[物]인가"라는 물음으로 이해하여 답한다. 그러므로 이런 단계의 사유에서는 인간의 근본성, 독특성, 우수성을 제대로 드러내지 못한다. 형이상학적 입장에서 보자면 인간 존재는 낮은 것에서 높은 것으로 나아가는 여섯 가지 본질 단계를 가진다. 즉 개별 특수, 개별 일반, 단체 일반, 인류 일반, 생명 일반, 자연 일반이 바로 그것들이다. 형식으로 보자면 존재는 개별과 일반의 통일체이며, 인간 존재는 사람 개인(개별 특수, 개별 일반, 단체 일반) 과 사람 일반(인류 일반, 생명 일반, 자연 일반)의 통일체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볼 때 비로소 "인간이 무엇인가"라는 문제는 제대로 해명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論人的存在的層次性

        장진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3 동서정신과학 Vol.16 No.1

        “인간이 무엇인가”하는 물음은 인간의 본질에 관한 물음이다. 이 물음은 반드시 형이상학적 사유를 통해 해결해야 된다. 전통적 형이상학은 고정된 형이상학적 사유인데, “인간이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인간은 어떤 사물[物]인가”라는 물음으로 이해하여 답한 다. 그러므로 이런 단계의 사유에서는 인간의 근본성, 독특성, 우수성을 제대로 드러내지 못한다. 형이상학적 입장에서 보자면 인간 존재는 낮은 것에서 높은 것으로 나아가는 여섯 가지 본질 단계를 가진다. 즉 개별특수, 개별일반, 단체일반, 인류일반, 생명일반, 자연일반이 바로 그것들이다. 형식으로 보자면 존재는 개별과 일반의 통일체이며, 인간 존재는 사람 개인(개별특수, 개별 일반, 단체일반) 과 사람 일반(인류일반, 생명일반, 자연일반)의 통일체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볼 때 비로소 “인간이 무엇인가”라는 문제는 제대로 해명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圍繞精神與信仰等槪念的交流

        장진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4 동서정신과학 Vol.17 No.1

        ‘정신’은 ‘신체’와 마찬가지로 일종의 객관적인 구조물이다. 그 방향은 한결같이 ‘합리성/ 합리화’를 추구하는데, 정신에 있어서 ‘총체적 위기설’은 존재하지 않는다. ‘위기’란 것은 ‘종교의식/ 사유/ 입장’의 설법으로서, 종교사유의 ‘우환(憂患)의식’으로 구체화 된다. 고전적인 ‘성숙 철학’(mature philosophy)은 역사 형태로서 이미 현대성에 연루되어 왔는데, 고대인의 성숙한 철학 지혜는 현대인의 ‘현대 정신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한다. 논리성이 부족한 고전적인 ‘미성숙 철학’(immature philosophy)은 영감을 줄 수는 있지만 현대 정신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효한 도구’를 제공하지 못한다. ‘현대 정신문제’는 반드시 현대인의 철학과 정신발전 및 철학과 정신창조를 통해서 해결해야 한다. 인간은 ‘정신 지식’과 ‘정신 행동’ 사이에서 나누어진 존재이다. ‘신앙’은 ‘정신행동의 여러 방식’ 중에 하나이며, 일종의 ‘좁은 의미의 정신행동’이다. 신앙은 또한 가장 높은 ‘철학 지혜’일 수 없으며, 그것에 비해 더욱 높은 ‘그 순간의 지혜, 그 순간의 사유, 그 순간의 정신’이다. 정신의 관점에서 볼 때, 세계는 ‘나+나의 세계’이고, ‘목적체+내적 수단+다양한 목표’이다. ‘내가 보는 것’에 의거하면, ‘존재’의 논리에는 두 종류가 있는데, ‘목적의 논리’와 ‘수단의 논리’이다. 목적의 논리는 ‘유일, 통일’을 강조하고, 수단의 논리는 ‘선택, 분열, 적용과 효율의 기회 잡기’를 강조한다. 우리들이 ‘정신 위기’에 대해 논의할 때 그렇다면 과연 ‘누가 정신 위기를 가지고 있는가?’ 즉 우리들이 토론하는 것은 ‘누구’의 정신 위기인가 하는 문제이다. 원칙적으로 말하여 나의 바깥에 있는 존재는 ‘나의 정신위기’를 논의하는 데 있어서 어떤 권리, 어떤 자격, 어떤 의미도 갖지 못한다. ‘생명 존재의 자족성, 즉 신체 자족성과 정신 자족성’으로부터 말해보면 어떠한 개인이라 하더라도 총체적인 ‘정신 위기’가 존재하지 않는다. 본성상 ‘정신위기’는 ‘공공의 말, 공공의 논리’이지, ‘나의 말, 나의 논리’가 아니다. ‘수단의 논리’의 본질은 ‘선택, 분열 및 기회 잡기’이다. 정신적으로 ‘선택 안하고, 분열 안하고, 기회 잡지 않는’ 사람은 ‘정신이 순수한’ 사람이며 다른 한 면에서는 ‘바보’이다. 이러한 사람은 ‘공공적인 환경’ 속에서 생존할 수 없다. 정신 분열은 정상적이며 개인으로서 ‘나’의 정신 위기를 초래하지 않으며, 도리어 나의 생명존재와 정신존재의 세계를 잘 유지시킨다. 본성상 ‘정신위기’는 ‘공공’(公共)이란 형이상학적 ‘가상 주체’가 ‘각종 개체성’의 ‘정신분열 방식의 정신수단의 발전’에 대해 ‘두려움’을 표출해낸것이다. ‘나’(개인)의 정신세계의 성장은 정신 분열 중에서 성장된다. 그러므로 분열이 끝나면 정신 또한 곧바로 죽게 된다. 개인도 그러하고 인류 전체도 그러하다. 인간의 사회 단체생활, 문화발전, 제도발전은 모두 다 정신의 분열과 다양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분열, 다원, 차이, 공생과 공멸이 있기 때문에 인간의 단체생활에도 ‘정신 생태, 인격 생태, 사회 생태, 민족 생태와 제도생태’ 등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인간 구성원들이 절대 평등한 생활을 할 수가 없다. 일부 약세 구성원들 또한 ‘평등한 생활’을 원하지 않다(소극적 인권). 문화 수준의 향상에 따라 정신분열은 정신세계를 풍부하게 한다. ‘위기’는 ‘새로운 문화 수준이 아직 이루어지기 전에’ 표출되는 일부적, 잠시적,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현상에 불과하다. ‘물질적인 재부(財富)의 체계’는 ‘정신구조의 체계’를 지원한다. 즉 ‘물질적인 재부(財富)의 위기’가 없다면 ‘정신 위기’도 있을 수 없다. 인류에 대해 말해보면, 정신이론 형태의 ‘정신 측면’의 것들, 예를 들면 과학, 종교, 철학이란 것은 통일할 수가 없는 것들이다. 그렇지만 실천으로서의 정치제도는 통일할 수 있다. 도덕은 총체적으로 통일할 수 없지만, 법률은 총체적으로는 통일할 수 있다. 전 인류의 정치제도에 있어서 돌파적인 진전이 필요하다. 일종의 진보적인 정치제도는 절대적인 일원성(一元性)과 평등함을 추구하는 제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정신 생태, 인격 생태, 사회 생태 및 민족생태’를 존중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정치제도는 ‘강제적인 역량’으로 보증하겠지만 그 ‘강제적인 역량’은 정신적 개념을 기초로 한다. 전 인류의 일정한 자아동일성은 반드시 필요하다. ‘우주적 가치’도 필요하지만, ‘우주적 가치’라 하여 ‘다른 일체의 가치를 제거’하면 안된다. 인류의 정신위기는 곧 ‘정신적인 자아동일성, 즉 우주적인 가치’가 형성한 문명성, 간난성(艱難性), 반복성이다. 이것은 제거할 것이 아니라 반드시 필요한 하나의 과정이다. 생리학의 입장에서 본 ‘신체’는 하나의 ‘안정적인 대상’이어서, ‘과학적인 방식’으로 이해하기쉽다. 그리고 심리학이 바라 본 ‘마음과 정신’은 ‘무한히 깊이 들어가고 풍부하며 정신이 자유로운 대상’이다. 순수한 심리학 전문 훈련은 20살 이하 사람들의 심리를 분석하는 작업에서만 가능하다. 어떤 사람이 고도의 철학적 소양(인식 사유, 정신생활 방식)을 갖추고서 ‘철학자’가 되었다면, 심리학은 그 사람에 대해 더 이상 어떤 것도 할 수 없을 것이다. “精神”同“身體”壹洋,是壹種客觀建構,其方向壹直是“合理性/合理化”方向,不存在“整體危機”之說。“危機”壹詞是“宗敎意義/思維/立場”的說法。是宗敎思維“憂患意識”的體現。古典的“成熟哲學”作爲歷史形態,已被現代性所“涵納”,古代人成熟的哲學智慧根本上解抉不了現代人的“現代精神問題”;古典的“不成熟哲學”,缺乏邏輯性力度,只可作爲“啓發”,而不能作爲解抉現代精神問題的“有效工具”。“現代精神問題”,必須通過現代人的哲學與精神發展、哲學與精神創造來解抉。人是“精神之知”與“精神之行”“分裂”的動物。“信仰”只是“精神之行諸方式”中的壹種,壹種“狹義的精神之行”。“信仰”幷不是最高的“哲學智慧”,比他更高的是“當下智慧、當下思維、當下精神”。從精神立場看,世界是“我+我的世界”,是“目的體+內蘊手段+多洋性物件”。依“我看”,“存在”的邏輯只有兩種:目的的邏輯、手段的邏輯。目的的邏輯强調“唯壹、統壹”,手段的邏輯强調“選擇、分裂、這用與效率的擇機”。當我們在討論“精神危機”的時候,“誰存在精神危機”?我們討論的是“誰”的精神危機?原則上說,外在於“我”的“他者”無權利、無資格、無意義討論“我的精神危機”。從“生命存在自足性--身體自足性、精神自足性”來說,任何個體都整體上不存在“精神危機”。“精神危機”在性質上是“公共話語、公共邏輯”,而非“我話語、我邏輯”。“手段邏輯”的本質是“選擇、分裂、擇機”,壹個在精神上“不選擇、不分裂、不擇機”的“精神純粹”的人,是“사瓜”,這洋的人在“公共環境”中不能“生存”。精神分裂是正常的,幷不導致個體“我”自身的精神危機,他相反保全了我的生命存在與精神存在世界。“精神危機”在性質上是“公共”這壹形而上學的“虛擬主體”對“各種個體性”的“精神分裂式的精神手段的發展”所表現出來的“恐懼之心”。“我”(個體)的精神世界成長,是在精神分裂中成長,“分裂”終止,精神就當下整體死亡。對個體如此,對人類整體也如此。人類的社會群體生活,文化發展、制度發展,都是精神在分裂及多洋。因爲分裂、多元、差異、共生共抑,人類群體生活中也存在著“精神生態、人格生態、社會生態、民族生態、制度生態”等等。人類成員之間不會過上絶對平等的生活,壹部分弱勢成員也不願過“平等”的生活(消極人權)。文明水準的提升,是精神分裂把精神世界富的結果。“危機”只不過是“新的文明水準尙未成型之前”所表現出的局部的、暫時的、未被整合的現象。“物質材富系統”支援著“精神結構系統”。如果沒有“物質材富危機”,那요便不會有“精神危機”。對人類來說,精神理論形態的“精神層面”的東西,如科學、宗敎、哲學是不可以統壹的;但作爲實踐的政治制度是可以統壹的。道德整體上是不可以統壹的,但法律整體上是可以統壹的。壹種全人類的政治制度需要有突破性的進展。壹種進步的政治制度,不壹定是講求絶對壹元、平等的政治制度,而是尊重“精神生態、人格生態、社會生態、民族生態”的制度。政治制度必然以“强制力量”作保障,而“强制力量”又以精神觀念之下的意誌爲基礎。全人類壹定的精神認同是必須的。“普世價値”是必須的,但“普世價値”不能“消除其他壹切價値”。人類的精神危機是“精神認同--普世價値”建立的文明性、艱難性、反復性,這是壹個必要的過程,而不是要消除的東西。生理學所面對的“身體”是壹個“穩定的物件”,比較容易由“科學方式”來把握。心理學所面對的“心靈、精神”是壹個“無限深入、풍富的、精神自由的物件”。單純的心理學專業訓練,只能做20歲以下人的心理解析工作。當壹個人具有了高度的哲學素養(認識思維、精神生活方式)成爲“哲學人”之後,心理學便無能爲力了。

      • KCI등재

        試談老子思想對當代世界文化整合和 科學硏究的指導性意義

        장진(Zhang Jin-Feng) 동양사회사상학회 2004 사회사상과 문화 Vol.9 No.-

        20세기의 세계는 전통 사상이 비판되고, 전통적인 가치가 파괴되며, 생활 양식이 부단히 개방적인 문화 다원의 시대이다. 동시에 21세기는 (전통) 사상이 계승되고, (전통) 가치가 재건되며, 생활 양식이 보수화되어 가는 문화 정합의 시대이다. 20세기의 각종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킨 핵심은 인류가 자연의 추세를 거스르고 또한 자연을 멀리하여 여러 나쁜 결과를 초래한 데서 찾을 수 있다. 이로 인해 21세기 세계 문화의 정합적 방향은 자연을 근본으로 삼고, 자연으로 회귀하고자 한다. 노자 사상 가운데 “사람은 땅을 법 받는다(人法地)”는 사상, “천지는 어질지 않아서 만물을 짚으로 만든 개로 여긴다(天地不仁 以萬物爲芻狗)”는 사상, “높은 선善은 물과 같다(上善若水)”는 사상, “음을지고 양은 안는다(負陰抱陽)”는 사상, 도를 먼저 밝히고 덕을 세운다는 “인위적으로 하지 않아도 이루어지지 않는 바가 없다(無爲無不爲)”는 사상이 곧 지금 자연을 근본으로 삼고 자연으로 회귀하는 사상을 잘 이용하여 직접적인 사상 자원으로 삼는 데에 있다. 당연히 노자 사상에는 시대 초월의 정신이 있으며, 그밖에도 현대과학 발전전략 방향에 대해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우리는 당연히 “인간이 자연의 입법이 된다”라고 하는 경향성을 없애야 하며, 이로부터 인류의 도덕과 행위 규범체계를 중건해야 하며, 아울러 이러한 전제에서 과학과 자연을 이용해야 한다. 이러한 덕을 가질 때에 비로소 “인위적으로 하지 않아도 이루어지지 않는 바가 없다”는 경지가 된다. 과학지상주의의 망상을 거쳐서 미혹의 길로 나아가는 인류 사회는 바로 노자의 철학사상으로부터 바른 길로 나아갈 수 있는 지혜를 얻을 수 있다. Through the 20th century, traditional thoughts were criticized and traditional values were destructed. But the 21th century is an era that traditional thoughts are succeeded and traditional values are reconstructed. The essential problems of the 20th century were caused by the anti-nature attitudes. Therefore, to construct a new civilization, we should comeback to the traditional thoughts which are harmonious to nature. Lao-tzu is a great thinker in this sense. He was familiar to nature. He loved nature. He insisted to follow nature. Nature was his friend, lover, and teacher. He taught to us that we should comeback to nature. Therefore, Lao-tzu’s thoughts has great implication to current era. It has also great implication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We should learn Lao-tzu's wisdom to build a harmonious relationship with nature.

      • 정신 개념을 비롯한 몇 가지 주제에 대한 철학적 단상

        장진 동양예학회 2013 東洋 禮學 Vol.30 No.-

        1. "정신"은 "신체"와 마찬가지로 일종의 객관적인 구조물이다. 그 방향은 한결같이 "합리성/합리화"를 추구하는데, 정신에 있어서 "총체적 위기설"은 존재하지 않는다. "위기"란 것은"종교의식/사유/입장"의 설법으로서, 종교사유의 "우환(憂患)의식"으로 구체화 된다. 2. 고전적인 "성숙 철학"(mature philosophy)은 역사 형태로서 이미 현대성에 연루되어 왔는데, 고대인의 성숙한 철학 지혜는 현대인의 "현대 정신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한다. 논리성이 부족한 고전적인 "미성숙 철학"(immature philosophy)은 영감을 줄 수는 있지만 현대 정신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효한 도구``를 제공하지 못한다. "현대 정신문제``는 반드시 현대인의 철학과 정신발전 및 철학과 정신창조를 통해서 해결해야 한다. 3. 인간은 "정신 지식"과 "정신 행동" 사이에서 나누어진 존재이다. "신앙"은 "정신행동의 여러 방식" 중에 하나이며, 일종의 "좁은 의미의 정신행동"이다. 신앙은 또한 가장 높은 "철학 지혜"일 수 없으며, 그것에 비해 더욱 높은 "그 순간의 지혜, 그 순간의 사유, 그 순간의 정신"이다. 4. 정신의 관점에서 볼 때, 세계는 "나+나의 세계"이고, "목적 체+내적 수단+다양한 목표"이다. "내가 보는 것"에 의거하면, "존재"의 논리에는 두 종류가 있는데, "목적의 논리"와"수단의 논리"이다. 목적의 논리는 "유일, 통일"을 강조하고, 수단의 논리는 "선택, 분열, 적용과 효율의 기회 잡기"를 강조한다. 5. 우리들이 "정신 위기"에 대해 논의할 때 그렇다면 과연 "누가 정신 위기를 가지고 있는가?" 즉 우리들이 토론하는 것은"누구"의 정신 위기인가 하는 문제이다. 원칙적으로 말하여 나의 바깥에 있는 존재는 "나의 정신위기"를 논의하는 데 있어서 어떤 권리, 어떤 자격, 어떤 의미도 갖지 못한다. "생명존재의 자족성, 즉 신체 자족성과 정신 자족성"으로부터 말해보면 어떠한 개인이라 하더라도 총체적인 "정신 위기"가 존재하지 않는다. 본성상 "정신위기"는 "공공의 말, 공공의논리"이지, "나의 말, 나의 논리"가 아니다. 6. "수단의 논리"의 본질은 "선택, 분열 및 기회 잡기"이다. 정신적으로 "선택 안하고, 분열 안하고, 기회 잡지 않는" 사람은 "정신이 순수한" 사람이며 다른 한 면에서는 "바보"이다. 이러한 사람은 "공공적인 환경" 속에서 생존할 수 없다. 정신 분열은 정상적이며 개인으로서 "나"의 정신 위기를 초래하지 않으며, 도리어 나의 생명존재와 정신존재의 세계를 잘 유지시킨다. 본성상 "정신 위기"는 "공공"(公共)이란 형이상학적 "가상 주체"가 "각종 개체성"의 "정신분열 방식의 정신수단의 발전"에 대해 "두려움"을 표출해낸 것이다. 7. "나"(개인)의 정신세계의 성장은 정신 분열 중에서 성장된다. 그러므로 분열이 끝나면 정신 또한 곧바로 죽게 된다. 개인도 그러하고 인류 전체도 그러하다. 8. 인간의 사회 단체생활, 문화발전, 제도발전은 모두 다 정신의 분열과 다양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분열, 다원, 차이, 공생과 공멸이 있기 때문에 인간의 단체생활에도 "정신 생태, 인격 생태, 사회 생태, 민족 생태와 제도생태" 등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인간 구성원들이 절대 평등한 생활을 할 수가 없다. 일부 약세 구성원들 또한 "평등한 생활"을 원하지 않다(소극적 인권). 문화 수준의 향상에 따라 정신분열은 정신세계를 풍부하게 한다. "위기"는 "새로운 문화 수준이 아직 이루어지기 전에" 표출되는 일부적, 잠시적,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현상에 불과하다. 9. "물질적인 재부(財富)의 체계"는 "정신 구조의 체계"를 지원한다. 즉 "물질적인 재부(財富)의 위기"가 없다면 ``정신 위기"도 있을 수 없다. 10. 인류에 대해 말해보면, 정신이론 형태의 "정신 측면"의 것들, 예를 들면 과학, 종교, 철학이란 것은 통일할 수가 없는 것들이다. 그렇지만 실천으로서의 정치제도는 통일할 수 있다. 도덕은 총체적으로 통일할 수 없지만, 법률은 총체적으로는 통일할 수 있다. 전 인류의 정치제도에 있어서 돌파적인 진전이 필요하다. 11. 일종의 진보적인 정치제도는 절대적인 일원성(一元性)과 평등함을 추구하는 제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정신 생태, 인격 생태, 사회 생태 및 민족생태``를 존중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12. 정치제도는 "강제적인 역량"으로 보증하겠지만 그 "강제적인 역량"은 정신적 개념을 기초로 한다. 전 인류의 일정한자아동일성은 반드시 필요하다. "우주적 가치"도 필요하지만, "우주적 가치"라 하여 ``다른 일체의 가치를 제거"하면 안된 다. 인류의 정신위기는 곧 "정신적인 자아동일성, 즉 우주적인 가치"가 형성한 문명성, 간난성(艱難性), 반복성이다. 이것은 제거할 것이 아니라 반드시 필요한 하나의 과정이다. 13. 생리학의 입장에서 본 "신체"는 하나의 "안정적인 대상"이어서, "과학적인 방식"으로 이해하기 쉽다. 그리고 심리학이 바라 본 "마음과 정신"은 "무한히 깊이 들어가고 풍부하며 정신이 자유로운 대상"이다. 순수한 심리학 전문 훈련은 20살 이하 사람들의 심리를 분석하는 작업에서만 가능하다. 어떤 사람이 고도의 철학적 소양(인식 사유, 정신생활 방식)을 갖추고서 "철학자"가 되었다면, 심리학은 그 사람에 대해 더 이상 어떤 것도 할 수 없을 것이다.

      • KCI등재

        AHP 기법 기반 초고층 건축물 폭발물 테러 위험도 평가모델

        최지웅(崔智雄),강경연(姜京燕),장진(張晋奉),이경훈(李景勳),최인찬(崔仁燦)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2 Crisisonomy Vol.8 No.1

        본 연구는 AHP 기법을 활용한 초고층 건축물의 폭발물 테러 위험도 평가모델을 다룬다. 위험도 평가를 위해 4개 방어선과 유사평가항목으로 분류하여 계층화한 27개의 평가항목을 제시한다. 평가모델은 계층화 된 평가항목을 기반으로 AHP 기법을 적용하여 각 항목의 가중치를 도출한다. 또한, 유사평가항목 간 상호보완효과를 반영하기 위해 평가항목 별 평가등급 통합 방법론을 포함한다. 제시된 평가항목과 평가모델에 대한 사례분석을 위해 건축 및 테러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시행하고, 각 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도출한다. 또한, 형성된 가중치를 활용한 최종 위험도 평가등급 산출모형을 제시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